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 분석 -인쇄, 컴퓨터, 모바일 매체를 중심으로

연구배경 본 연구는 재난 정보를 위험사회에서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 인식함에 따라 재난 정보의 효과적인 정보 시각화를 위해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대국민 재난 정보 서비스를 토대로 인쇄 매체의 매뉴얼, 컴퓨터 매체의 웹 사이트, 모바일 매체의 어플리케이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정보 시각화의 필수요건인 자크 베르텡의 그래픽 요소와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요소가 갖는 주요 시각요소를 색채, 형태, 크기, 위치와 방향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형원리에 근거한 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51; pp. 7 - 18
Main Authors 현은정, Eun-jeong Hyun, 임경호, Kyung-ho L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1.05.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본 연구는 재난 정보를 위험사회에서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 인식함에 따라 재난 정보의 효과적인 정보 시각화를 위해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대국민 재난 정보 서비스를 토대로 인쇄 매체의 매뉴얼, 컴퓨터 매체의 웹 사이트, 모바일 매체의 어플리케이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정보 시각화의 필수요건인 자크 베르텡의 그래픽 요소와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요소가 갖는 주요 시각요소를 색채, 형태, 크기, 위치와 방향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형원리에 근거한 정보디자인의 시각적 효과를 분석기준으로 국내·외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재난 정보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재난 정보디자인은 정보의 양은 많으나 정보의 위계나 구분을 나타내는 시각요소 간의 차이가 작고, 여백은 부족하고 불규칙하였다. 그리고 색채의 사용량은 많았으며 텍스트의 가독성은 뛰어나지만, 자간과 행간, 글자의 크기와 무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재난 정보는 정보전달자 중심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정보습득에 대한 실효성이 낮고, 매체별 통일성이 없는 정보디자인으로 사용성에 혼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효과적인 재난 정보디자인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정보설계와 시각요소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구성해야 하며, 정보의 위계 및 구분을 명확히 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또한, 구상적 이미지와 최소한의 텍스트를 사용하여 공간의 효율성과 정보전달력을 높여야 하며, 재난 정보디자인의 통합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재난 정보전달체계를 형성해야 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isual factor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demonstrated by mass media since disaster inform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to live a safe life in current society. Methods manuals, websites of computer media, mobile applications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In addition, graphic factors proposed by Jacques Bertin, the essential factor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visual factors of typographic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colors, forms, size, location and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s of information design by moudling principles. In this way, visual factor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domestic·overseas medi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opos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Korea. Result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Korea has excessive amount of information less difference in visual factors indicating hierarchy and classification of the information and irregular and insufficient margin. Furthermore, the usage of colors was excessiv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font size and weight was insufficient while text readability was superior. As such, it has been found that disaster information in Korea was created focusing on the information communicator thus the users cannot receive the information properly and the information causes confusion to the users due to information design lacking unity.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and create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design, the design should consider linkage between information design and visual factors while clarifying information hierarchy and classification to maximize visual effects. Also, concrete image and minimum texts should be used to improve space efficiency and information delivery. In this sense, integrative guidelines regarding disaster inform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form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ystem.
Bibliography: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ISSN:2233-9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