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불안요인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 나, 다 급지별로 2개 학교씩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수학학습부진아 3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요인과 학년별, 성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의 경우 수학불안요인에서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Saved in:
| Published in |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 11; no. 2; pp. 315 - 335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30.06.2008
한국학교수학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0890 2713-4350 |
Cover
| Abstract |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 나, 다 급지별로 2개 학교씩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수학학습부진아 3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요인과 학년별, 성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의 경우 수학불안요인에서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수학불안에서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의 수학불안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요인에서는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학의 추상성, 수학교육과정, 시간부족 요인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권위 요인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초등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학습부진아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수학불안이 초등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 나, 다 급지별로 2개 학교씩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수학학습부진아 3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요인과 학년별, 성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의 경우 수학불안요인에서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수학불안에서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의 수학불안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요인에서는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학의 추상성, 수학교육과정, 시간부족 요인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권위 요인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초등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학습부진아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수학불안이 초등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 나, 다 급지별로 2개 학교씩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수학학습부진아 3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요인과 학년별, 성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의 경우 수학불안요인에서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수학불안에서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의 수학불안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요인에서는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학의 추상성, 수학교육과정, 시간부족 요인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권위 요인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초등학생과 비교했을 때 학습부진아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수학불안이 초등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recognize importance of easing anxiety on mathematics for underachievers and to examine a plan to solve a problem with anxiety, by analyzing factors which make underachievers anxious on the mathematics. First, we analyze factors which mak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nxious on the mathematics. Second, we compare and analyze a level of anxiety on the mathematics and factors which cause anxiety 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o their grade and gender. This study's participants were 308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t 4th, 5th, and 6th grade, studying at six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three different areas. The results of factors which mak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nxious on the mathematics obtained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First, in the top-category factor,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re influenced by following factors in order, which are a mathematic subject, learner's attitude, environment, and a teacher.Second, in the factor of making students anxious 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o their grade, although the mathematic anxiety of students at 6th grade is higher than students at 4th and 5th grade, in the anxiety differences between the different grades.Third, in the factors which make the students anxious 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o their gender, female students show more anxiety than male students.In summary, an anxiety of the underachievers at the elementary schools are different in the top and sub-category factor, according to their grades and their gender. It is shown that the underachievers feel more anxiety compared to normal elementary schools, and therefore the anxiety on the mathematics is one of the causes of under-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KCI Citation Count: 10 This study is to recognize importance of casing anxiety on mathematics for underachievers and to examine a plan to solve a problem with anxiety, by analyzing factors which make underachievers anxious on the mathematics. First, we analyze factors which mak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nxious on the mathematics. Second, we compare and analyze a level of anxiety on the mathematics and factors which cause anxiety 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o their grade and gender. This study's participants were 308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t 4th, 5th, and 6th grade, studying at six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three different areas. The results of factors which mak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nxious on the mathematics obtained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op-category factor,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re influenced by following factors in order, which are a mathematic subject, learner's attitude, environment, and a teacher. Second, in the factor of making students anxious 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n their grade, although the mathematic anxiety of students at 6th grade is higher than students at 4th and 5th grade, in the anxiety differences between the different grades. Third, in the factors which make the students anxious 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o their gender, female students show more anxiety than male students. In summary, an anxiety of the underachievers at the elementary schools are different in the top and sub-category factor, according to their grades and their gender. It is shown that the underachievers feel more anxiety compared to normal elementary schools, and therefore the anxiety on the mathematics is one of the causes of under-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 나, 다 급지별로 2개 학교씩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수학학습부진아 3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요인과 학년별, 성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의 경우 수학불안요인에서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수학불안에서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의 수학불안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요인에서는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학의 추상성, 수학교육과정, 시간부족 요인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권위 요인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초등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학습부진아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수학불안이 초등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
| Author | 김성준 정지연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정지연 – sequence: 2 fullname: 김성준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5718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pNjz1Lw0Acxg-pYK39CEIWB4fAvebuxlJ8qRYKUucjSS8SUhNJunTr0KGIg6ChVezs4qBgi5_JXL-DtXFw-PMMz4_fw38XVOIk1lugijkiNiUMVkAVYSxtKCTcAfUsCz0IqSMFFKQKmuZzUjx8mMlslT9Z6zO3i2I5Mq9jk4_NfGaVTbGcmHxinh_N_MtM763ibrTKXywzff9evO2B7cDtZ7r-lzVweXzUbZ7a7c5Jq9lo2xoRAW2BqEcgQT3JnUBoxnzJpY99LQIBCRHcdSlFDAuKsaMRE9pH0uW6x7gvXShJDRyW3jgNVOSHKnHDTV4lKkpV46LbUghhhta6Gjgo2SjMBqGKe1lfnTXOOxiu30aYMPo7JP9xw8RLlJckka_jgU4VhQhCh3MCxca3X3LaTQeh39fqJg2v3XSoJMSEkx9Rgn8Q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Copyright |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
| Copyright_xml |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
| DBID | M1Z P5Y SSSTE JDI ACYCR |
| DEWEY | 510.71 |
| DatabaseName | 학술교육원 E-Article 교보문고 스콜라 Scholar Scholar(스콜라)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Mathematics |
| DocumentTitleAlternate | A Study on the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of Mathematical Underachiev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 EISSN | 2713-4350 |
| EndPage | 335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125180 JAKO200831235452849 4010067730880 90237 |
| GroupedDBID | M1Z P5Y SSSTE .UV JDI ACYCR |
| ID | FETCH-LOGICAL-e1380-814b3031d976f8e55c979c2ce8f803387aa4415284226e158ec19a7ed57c9a093 |
| ISSN | 1229-0890 |
| IngestDate | Fri Sep 27 04:43:38 EDT 2024 Fri Dec 22 12:03:40 EST 2023 Tue Feb 18 14:58:20 EST 2025 Thu Apr 17 16:20:42 EDT 2025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2 |
| Keywords | 초등수학 학습부진(아); 수학불안(요인); 학년별.성별 차 ; Mathematical underachievers; Mathematics anxiety; Difference between grades and gende 수학불안(요인) Mathematics anxiety Difference between grades and gender 학년별.성별 차이 Mathematical underachievers 초등수학 학습부진(아)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1380-814b3031d976f8e55c979c2ce8f803387aa4415284226e158ec19a7ed57c9a093 |
| Notes | KISTI1.1003/JNL.JAKO200831235452849 G704-001597.2008.11.2.005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83123545284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21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25180 kisti_ndsl_JAKO200831235452849 kyobo_bookcenter_4010067730880 earticle_primary_90237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08-06-30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08-06-30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6 year: 2008 text: 2008-06-30 day: 30 |
| PublicationDecade | 2000 |
| PublicationTitle |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PublicationYear | 2008 |
| Publisher |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한국학교수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한국학교수학회 – name: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SSID | ssib004698083 ssib023739037 ssib044738300 ssib036279259 ssib053377546 |
| Score | 1.408197 |
| Snippet |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This study is to recognize importance of casing anxiety on mathematics for underachievers and to examine a plan to solve a problem with anxiety, by analyzing... |
| SourceID | nrf kisti kyobo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315 |
| SubjectTerms | 교육학 |
| TableOfContents | 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수학학습부진아
2. 수학불안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분석
1. 수학불안요인 분석
2. 학년별,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요인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
| Title | 초등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불안요인에 대한 연구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90237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773088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83123545284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57189 |
| Volume | 11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08, 11(2), , pp.315-335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3-4350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300 issn: 1229-0890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1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V1Lb9NAEF61PXFBIKgIjypC-BRcrb3eeOdoO0GlCLi0Um-Wn6gEJSikBzigHnqIEAckiFoQPXPhABKt-E3E_Q_M-NG4UKQChzib2dnXzMrzzWZ3lrFbAGmcKA56Owy4bqFDoAcSUj0WgVKhFBQxhnZbPGivrFurG3Jjbv52bdfS1ihcjl6ceq7kX7SKNNQrnZL9C80eV4oETKN-8YkaxueZdKx1Pc1FMKi0rquB0FyDKPgTkNLRQGqAPn-VyvMczZXE7bZpjwNSHFtTFiWQp0wgv2r9XlNVTFXcRcLRoCrmFhRbA94ibuXljRTlvVaZ6SIp70YZ9vFxNZiSr8rt1FrOKcBP61SHuoAtUXtSc_OE45V9wdGBQdOI3tjKrK175LmcKimFwI-7N2PBZqHMQdkU4nVQ4PzEYomqdvaV0_s_R1KzE6YJOlfFTafLSU4z0d_XEX3ymj0QxVnVEloIIWdmt9pq8Is1PhH3uxdt-o8Gfm_oo3dzF701RKOKz7N5YdBtHfdfdmv_UIOqRfY3hS2Az6An4hQbaq6uZdlCiVloRkT9FAsxP4xXjY3wWTm30XUjf2aTvp8PwgEisf4wrSGxtQvsfOlCNZ2izEU21xtcYl72bTx9-zUb7x1N3jfxk706mB5uZ592sslOtr_XLHKmh-NsMs4-vMv2v2e7b5rT19tHk4_NbPfLj4PPl9n6ne6at6KXF4ToiSEUp-XrECGYESOmTlUiZQQ2RGaUqFRxIZQdBLRcgAgMnYzEkCqJDAjsJJZ2BAEHscgW-oN-coU1VWAGwNPQsGOwIommN02jyIrpflUR2kGDLVay8J8WcWB8ICk32FIuGb8fP3virzr3Hpr57X2mQN8EWwZiIJH55DXTjutk6FvcIJiI1hXNZ4PdRFnmuv6zzq-ehekaOzeb9NfZwmi4ldxAzDwKl_LJ8hMfGZaV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4%88%EB%93%B1%EC%88%98%ED%95%99+%ED%95%99%EC%8A%B5%EB%B6%80%EC%A7%84%EC%95%84%EC%9D%98+%EC%88%98%ED%95%99%EB%B6%88%EC%95%88%EC%9A%94%EC%9D%B8%EC%97%90+%EB%8C%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ED%95%99%EA%B5%90%EC%88%98%ED%95%99%ED%9A%8C%EB%85%BC%EB%AC%B8%EC%A7%91%2C+11%282%29&rft.au=%EC%A0%95%EC%A7%80%EC%97%B0&rft.au=%EA%B9%80%EC%84%B1%EC%A4%80&rft.date=2008-06-30&rft.pub=%ED%95%9C%EA%B5%AD%ED%95%99%EA%B5%90%EC%88%98%ED%95%99%ED%9A%8C&rft.issn=1229-0890&rft.eissn=2713-4350&rft.spage=315&rft.epage=33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25180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0890&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0890&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0890&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