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로의 유추적 발견
본 연구에서는 공간도형을 학습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 작도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 작도로의 유추적 발견 과정을 Geogebra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3학년 자연계열 학생 1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적 방법을 경험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대해서 본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각 5명씩 구성하여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 작도 과정을 분석하는 사례연구이다. 본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 작도에 대한 정확한 사전지식이 학습되어 있으나 사면체...
        Saved in:
      
    
          | Published in |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 20; no. 4; pp. 445 - 464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31.12.2017
     한국학교수학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0890 2713-4350  | 
| DOI | 10.30807/ksms.2017.20.4.006 | 
Cover
|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공간도형을 학습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 작도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 작도로의 유추적 발견 과정을 Geogebra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3학년 자연계열 학생 1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적 방법을 경험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대해서 본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각 5명씩 구성하여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 작도 과정을 분석하는 사례연구이다. 본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 작도에 대한 정확한 사전지식이 학습되어 있으나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는 작도를 어려워하였다. 하지만 분석적 방법으로 Geogebra를 활용해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의 작도과정을 거꾸로 찾아가며 작도방법을 탐구한 본집단의 학생들은 스스로 작도방법을 유추하여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의 작도 방법을 찾아내는 유추적 발견이 가능하였다. Geogebra를 통해 시각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완성된 그림으로 조작 및 탐구가 가능하였고 변화과정을 직접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자신의 유추 과정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피드백 할 수 있었다. 또한 추론 결과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기하 탐구에 대한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13164520332 | 
| ISSN: | 1229-0890 2713-4350  | 
| DOI: | 10.30807/ksms.2017.20.4.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