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주간의 복부 확장 기법을 적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대학 운동 선수의 신체 균형 능력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운동 선수들을 대상으로 8주간의 복부 확장 기법을 적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신체 균형 능력 및 기능적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총 20명의 대학 운동 선수를 대상으로(AEM군 9명, 대조군 11명) 8주간의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AEM군은 체간 안정화 운동시 복부 확장 기법을 적용하여 운동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호흡에 관련된 지시사항 없이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두 그룹 모두 체간 안정화 운동 적용 전·후 신체 균형 능력과 기능적 움직임에 대한 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3; no. 2; pp. 152 - 160
Main Authors 강의수, Eui-soo Kang, 강다연, Da-yen Kang, 박노준, Nochun Park, 정진욱, Jin-wook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0.06.2022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2.33.2.15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대학 운동 선수들을 대상으로 8주간의 복부 확장 기법을 적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이 신체 균형 능력 및 기능적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총 20명의 대학 운동 선수를 대상으로(AEM군 9명, 대조군 11명) 8주간의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AEM군은 체간 안정화 운동시 복부 확장 기법을 적용하여 운동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호흡에 관련된 지시사항 없이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다. 두 그룹 모두 체간 안정화 운동 적용 전·후 신체 균형 능력과 기능적 움직임에 대한 검사를 측정하여 두 그룹의 운동 적용 전·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신체 균형 능력은 Lower Quarter Y-Balance Test (LQYBT), 기능적 움직임은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왼쪽 LQYBT 결과 시기×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 =.041), 사후검증 결과 AEM군과 대조군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000, p =,000). 오른쪽 LQYBT 결과 시기×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p =0.33), 사후검증 결과 AEM군과 대조군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000, p =,000). FMS 검사의 총점 결과 시기×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 =.039), 사후검증 결과 AEM군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p =.001) 대조군에서는 유의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p =.255).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8주간의 복부 확장 기법을 적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은 대학 운동 선수에게 있어 신체 균형 능력과 기능적 움직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TSE) with abdominal expansion maneuver (AEM) that lasted for 8 weeks on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movement in college athletes. METHODS Twenty college athlet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EM=9, Control=11) and were subjected to 8-week TSE. The AEM group performed exercise by applying AEM techniques during TSE, and control group performed TSE without breathing-related instructions. Both groups measured postural stability with lower-quarter Y-balance test (LQYBT) and functional movement with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before and after applying TSE to verify th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his study with the two groups. Two-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ime for an absolute value of LQYBT and FMS, followed by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 tests for post-hoc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left and right LQYB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x group (p=.041, p=.033), and post-hoc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EM and control groups (p=.000, p=,000). Furthermore, the FMS total score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 group (p=.039), and the post-hoc analysis showed the AEM group had significant results (p=.001),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p=.255). CONCLUSIONS Application of AEM during TSE seems to be effective with regard to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movement in college athletes.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2.33.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