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슈트의 중량물 부하 보행 시 보행조건(평지, 경사, 계단오르기)에 따른 근활성도와 안정성에 미치는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2kg 중량물 부하 시 웨어러블 슈트 착용 전·후의 보행조건(평지, 경사, 계단오르기)에 따른 근활성도와 안정성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 슬관절이나 발목관절 등의 손상과 족부질환 및 보행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20대 남성 10명(나이: 23.8±1.8세, 키:171.8±4.9, 몸무게: 70.8±9.2)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근전도 부착 근육부위는 총 10부분으로 웨어러블 슈트 착용 전·후에 따라 근활성도와 보행안정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3; no. 1; pp. 33 - 40
Main Authors 송주원, Ju-won Song, 문영진, Young-jin M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1.03.2022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2.33.1.3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2kg 중량물 부하 시 웨어러블 슈트 착용 전·후의 보행조건(평지, 경사, 계단오르기)에 따른 근활성도와 안정성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 슬관절이나 발목관절 등의 손상과 족부질환 및 보행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20대 남성 10명(나이: 23.8±1.8세, 키:171.8±4.9, 몸무게: 70.8±9.2)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근전도 부착 근육부위는 총 10부분으로 웨어러블 슈트 착용 전·후에 따라 근활성도와 보행안정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계한 실험 내용으로, 세 가지 보행 조건(평지, 경사, 계단오르기)을 변인으로 설계하였으며, 12kg의 중량물을 들고 착용 변인(웨어러블 슈트 미착용, 웨어러블 슈트 착용)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 근전도 측정 결과 평지보행에서 R.RF근육의 근활성도(p <.05), 경사보행에서 R.RF와 L.RF근육의 근활성도(p <.01), 계단오르기에서 L.RF와 L.BF근육의 근활성도(p <.05)가 통계적으로 감소하였다. 족저압 측정 결과 모든 보행조건에서 양발의 신체의 압력중심점(COP)의 내·외측 이동폭이 통계적으로 감소하였다(p <.05, p <.01, p <.001). [결론] 웨어러블 슈트 착용 후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웨어러블 슈트 착용 후 넙다리곧은근의 근력 보조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웨어러블 슈트 착용 후 보행 안정성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upport effect of muscle activity and stability according to walking conditions (Level, Ramp, and Stair) before and after wearing a suit with a 12kg heavy weight load. METHOD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subjects (n=10) underwent Electromyography (EMG) measure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10 different muscles, and COP width was calculated through foot pressure measurement. The experimental movement was level walking, Ramp walking, and stair walking, each carrying a 12kg load, and measured once before and after wearing a wearable suit. RESULTS Electrolyography (EMG) measuremen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EMG values of muscle activity of R.RF in level walking(p<.05), R.RF and L.RF in ramp walking(p<.01), L.RF and L.BF in stair walking (p<.05). COP width measuremen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uction of COP width in all walks (level walking, ramp walking, stair) (p<.05, p<.01, p<.001). CONCLUSIONS The effects of wearing a wearable suit are as follows. First, the wearable suit has a significant effect of assisting the Rectus Femoris muscle. Second, there is a gait stability effect by wearing a wearable sui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22.3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