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변화와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다문화수용성의 예측변인들을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자료 가운데 중학교 1학년 패널의 3차, 5차, 6차 1,97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자료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증가하는양상을 나타내었고 증가의 폭은 3차년(중학교 3학년)에서 5차년으로 넘어가는 시점의 변화의 폭이컸다. 둘째, 다문화수용성 예측 변인으로 초기치에서는 또래의사소...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6(4) pp. 189 - 19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4.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1.26.04.18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다문화수용성의 예측변인들을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자료 가운데 중학교 1학년 패널의 3차, 5차, 6차 1,97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자료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증가하는양상을 나타내었고 증가의 폭은 3차년(중학교 3학년)에서 5차년으로 넘어가는 시점의 변화의 폭이컸다. 둘째, 다문화수용성 예측 변인으로 초기치에서는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변화율에서는 삶의 만족도,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oint of this research is verif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yout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verify predictive variabl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al data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hildren and Youth Policy, 1,972 data from the 3rd, 5th, and 6th data of the first-year middle school panal were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latent growth model, an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and the extent of the increase was large at the point of transition from the 3rd year(3rd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5th year. Second, predicting the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initial values of peer communic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in the rate of change, life-satisfaction, peer communic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This study proposed some plans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dolescence basing on these resul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1.26.04.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