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추구멍 변형: 치료 전 고려사항과 현재의 치료 대안들에 대한 종설

중앙 건(central slip) 손상은 수부 외상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중앙 건의 닿는 부분인 중위지골 배측 기저 부분이 약화 혹은 손상되면, 근위 지관절(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은 신전 지연(extension lag) 혹은 제한이 되고 원위 지관절(distal interphalangeal joint)은 과신전을 보이는 ‘단추구멍 수지 변형(boutonniere or buttonhole deformity)’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수부외과의가 경험할 수 있는 증례가 적고 현재까지도 명확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25(4) pp. 249 - 258
Main Authors 이준구, 김충기, 한수홍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수부외과학회 0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86-3290
2586-3533
DOI10.12790/ahm.20.005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중앙 건(central slip) 손상은 수부 외상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중앙 건의 닿는 부분인 중위지골 배측 기저 부분이 약화 혹은 손상되면, 근위 지관절(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은 신전 지연(extension lag) 혹은 제한이 되고 원위 지관절(distal interphalangeal joint)은 과신전을 보이는 ‘단추구멍 수지 변형(boutonniere or buttonhole deformity)’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수부외과의가 경험할 수 있는 증례가 적고 현재까지도 명확한 치료지침이 없어, 담당 의사의 지식과 경험에 의존해 치료가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단추구멍 변형의 치료 결정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논의하고, 비수술적 혹은 수술적 치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단추구멍 변형에서 근위 지관절의 치료는 어려운 과제이다. 변형의 원인, 변형까지의 경과 시점 및 단계, 인접 관절의 생체역학적 변화와의 관련성, 환자의 기능적 제한점 및 관절 상태에 대한 이해는 치료의 결정과 이로 인한 결과를 향상시킬 것이다. 이런 고려 사항을 바탕으로 비수술적 혹은 수술적 치료 중 적절한 술기를 선택해야 한다. 변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치료 과정, 결과, 재활에 관해 환자와 충분한 상의와 협조가 필요하다. Central slip injury is a common occurrence in hand trauma. When the base of the middle phalanx, which is the contact part of the central tendon, is weakened or damaged, extension lag or restriction would be found in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PIP) joint and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becomes hyperextended, presenting buttonhole or boutonniere deformation. Buttonhole deformation has limited cases that a hand surgeon can experience, and there is still no clear guideline for treatment, so treatment tends to depend o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doctor. In this review,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treatment of boutonniere deformity are discussed, and nonsurgical or surgical treatment is considered. Treatment of the PIP joint in boutonniere deformity is a difficult task. Understanding the cause of the deformity, the time point and the stage of deformity, the relationship to the biomechanical changes in adjacent joints, the patient’s functional limitations, and the condition of the joint will improve treatment decisions and outcomes.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an appropriate treatment should be chosen among nonsurgical or surgical treatments. Various surgical options were introduced but none of method guarantee the optimal outcom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deformity and sufficient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patient regarding the treatment process, outcome, and rehabilitation are necessar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handmicro.org/journal/view.php?doi=10.12790/ahm.20.0056
ISSN:2586-3290
2586-3533
DOI:10.12790/ahm.20.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