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불완전등가어휘의 한국어 번역 표현에 대한 고찰 - 투르게네프 산문시 속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비칭형어휘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러시아 자연주의 문학의 완성자로 평가되는 작가 투르게 네프(И.С.Тургенев)의 작품 중 그의 산문시를 대상으로 하여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한국어 번역 표현을 다루었다. 투르게네프 산문시에는 러시아의 자연과 농촌에 대한 그의 짙은 애정이 담겨 있으며, 사실적인 묘사와 예리한 심리관찰로 유려한 문장들이 그의 산문시 속에 녹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그의 산문시에 쓰인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는 러시아 민중의 역사와 생활 및 아름다운 자연을 예술적으로 부각시키는데 중요한 키워드로 사...
Saved in:
Published in | 동서인문학, 0(51) pp. 39 - 6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과학연구소
01.06.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6493 2671-9258 |
Cover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러시아 자연주의 문학의 완성자로 평가되는 작가 투르게 네프(И.С.Тургенев)의 작품 중 그의 산문시를 대상으로 하여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한국어 번역 표현을 다루었다. 투르게네프 산문시에는 러시아의 자연과 농촌에 대한 그의 짙은 애정이 담겨 있으며, 사실적인 묘사와 예리한 심리관찰로 유려한 문장들이 그의 산문시 속에 녹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그의 산문시에 쓰인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는 러시아 민중의 역사와 생활 및 아름다운 자연을 예술적으로 부각시키는데 중요한 키워드로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민속어휘는 주로 함축적 의미(connotative meaning)가 아닌 지시적 의미(denotive meaning)를 지닌 어휘이다. 그 속에 러시아의 문화적 요소와 배경이 내재하고 있어 한국의 독자가 해당 문화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경우, 원문의 의미를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할 뿐 아니라 나아가 원문의 미학적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деревня≸라는 산문시의 원문에서 러시아 북부 시골 특유의 평화로움과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심미적 묘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때, 번역문에서는 이러한 심미적 기능이 제대로 살려지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 러시아어 민속어휘와 해당 어휘의 한국어 번역 비교와 이들 작품에서의 미학적 기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경우 한국어에는 러시아어와 같이 접사법(аффиксация) 을 이용해 대상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평가와 정서를 나타내는 문법적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러시아어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 전달은 매우 어려운 과제 임에 틀림없다. 본 연구는 한국어 번역 시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함축적 의미를 최대한 전달할 수 있는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이들을 대신 표현해 줄 수 있는 형용사 및 부사와 같은 수식어를 사용하여 의미전달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좋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has presented how the vocabularies of Turgenev's prose poems are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regarding semantic views. Primarily, it covers vocabularies of folklore that belong to incomplete equivalent words concerning referential meanings and also includes diminutive and pejorative that belong to incomplete equivalent words in terms of implicational meanings.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role they play in Turgenev's prose poems and how they affect the main theme of the prose poems.
The vocabularies of folklore presented in six prose poems take place in the Russian rural setting along with different Russian cultural elements. Through these, the writer, Turgenev, shows readers the great wisdom, talents, kindness and the pure spirit of the people of the countryside in Russia. In the prose poems exists a lot of vocabularies that have an equivalent form of translation generally regarding referential meaning, but not equal regarding implicational meaning. This article shows the difficulties that exists in translating them into the Korean language. KCI Citation Count: 0 |
---|---|
AbstractList |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러시아 자연주의 문학의 완성자로 평가되는 작가 투르게 네프(И.С.Тургенев)의 작품 중 그의 산문시를 대상으로 하여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한국어 번역 표현을 다루었다. 투르게네프 산문시에는 러시아의 자연과 농촌에 대한 그의 짙은 애정이 담겨 있으며, 사실적인 묘사와 예리한 심리관찰로 유려한 문장들이 그의 산문시 속에 녹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그의 산문시에 쓰인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는 러시아 민중의 역사와 생활 및 아름다운 자연을 예술적으로 부각시키는데 중요한 키워드로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민속어휘는 주로 함축적 의미(connotative meaning)가 아닌 지시적 의미(denotive meaning)를 지닌 어휘이다. 그 속에 러시아의 문화적 요소와 배경이 내재하고 있어 한국의 독자가 해당 문화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경우, 원문의 의미를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할 뿐 아니라 나아가 원문의 미학적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деревня≸라는 산문시의 원문에서 러시아 북부 시골 특유의 평화로움과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심미적 묘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때, 번역문에서는 이러한 심미적 기능이 제대로 살려지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 러시아어 민속어휘와 해당 어휘의 한국어 번역 비교와 이들 작품에서의 미학적 기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경우 한국어에는 러시아어와 같이 접사법(аффиксация) 을 이용해 대상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평가와 정서를 나타내는 문법적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러시아어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 전달은 매우 어려운 과제 임에 틀림없다. 본 연구는 한국어 번역 시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함축적 의미를 최대한 전달할 수 있는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이들을 대신 표현해 줄 수 있는 형용사 및 부사와 같은 수식어를 사용하여 의미전달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좋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has presented how the vocabularies of Turgenev's prose poems are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regarding semantic views. Primarily, it covers vocabularies of folklore that belong to incomplete equivalent words concerning referential meanings and also includes diminutive and pejorative that belong to incomplete equivalent words in terms of implicational meanings.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role they play in Turgenev's prose poems and how they affect the main theme of the prose poems.
The vocabularies of folklore presented in six prose poems take place in the Russian rural setting along with different Russian cultural elements. Through these, the writer, Turgenev, shows readers the great wisdom, talents, kindness and the pure spirit of the people of the countryside in Russia. In the prose poems exists a lot of vocabularies that have an equivalent form of translation generally regarding referential meaning, but not equal regarding implicational meaning. This article shows the difficulties that exists in translating them into the Korean language.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이새봄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새봄 organization: (한국외국어대학교)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7466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qVjU1Kw1AUhR9Swardw506CLT5NUMRRafSeajSSqgk0GwgyKMEGtGisSk8sUKLAxOMtYqFrCjvvj0Yajfg6Dv3nMO526TiuE57g1Rl3WhIpqztV0ptNBRJV01li9Q8zz6vq6ZpNDRZrpI3_pzggGFE8XEB_DvAMcUJ5fcfReaXlmAxPsUgIlZ8pavKPMBRCmLIRExxdAc89MsUis8JZhlIIIKEzxbFPOR0Kh4o4HXGk5_yB2D_Bvh7XmI9PPYBX33shyKOgGe3fElxmZbHX85nOeB0iIMEWc5f2C7Z7LSuvHZtzR2yd3zUPDyRnF7H6l7YltuyV7x0rW7POjhrnlpy3VAVTVf-0_0F2aSa-A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ACYCR |
DatabaseName |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A Study of Expression in Translating the Russian Incomplete Equivalent Vocabularies into Korean - focusing on a vocabulary of folklore and the diminutive and the pejorative in the Turgenev's prose poems |
EISSN | 2671-9258 |
EndPage | 68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2074356 |
GroupedDBID | ACYCR DBRKI TDB |
ID |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20743563 |
ISSN | 2713-6493 |
IngestDate | Tue Nov 21 21:42:47 EST 2023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20743563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2074356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6-06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6-06-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6 year: 2016 text: 2016-06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동서인문학, 0(51) |
PublicationYear | 2016 |
Publisher | 인문과학연구소 |
Publisher_xml | – name: 인문과학연구소 |
SSID | ssib049971522 ssib044734810 |
Score | 3.2117543 |
Snippet |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러시아 자연주의 문학의 완성자로 평가되는 작가 투르게 네프(И.С.Тургенев)의 작품 중 그의 산문시를 대상으로 하여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한국어 번역 표현을 다루었다. 투르게네프 산문시에는 러시아의 자연과 농촌에 대한 그의 짙은 애정이 담겨... |
SourceID | nrf |
SourceType | Open Website |
StartPage | 39 |
SubjectTerms | 인문학 |
Title | 러시아어 불완전등가어휘의 한국어 번역 표현에 대한 고찰 - 투르게네프 산문시 속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비칭형어휘를 중심으로 |
UR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74669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동서인문학, 2016, 0(51), , pp.39-68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F_anryIouI3gzgHCVt2s9_H3U1CFeqpQm8hmw-RQguhvXiQIEspNKJFY1OIWKHFgwnGWsVC_qLs7H_gwTdvdpO0tFi97L598-Z9_N4O82bZnZWk-4YW6GUjCGS1WgpkvaqW5cC0Ndl0jCrMzyU7G_Dvnecfm3NP9EeLxuLU9O-Jt5bWVoPZ8vNTvyv5n6wCD_LKv5L9h8yOlAIDaMgvHCHDcDxXjmneo06Buj7N-9QGGgnHoLaOhEk9PcOFPJPaNrKcpM1VkIA-GvVUmnepp_C3HtJuNJ_j6hzRC2g7gywDjYC0Qd3cCSPZ1IgFbUJcRXHePfXJoo6C4raP9hKdGVSqcb9ACnzxlIyMOkAnD9CjroF-uWgIOaDSFZ5CRcydAJVZ3plLgxZ7hItoAxRyaNstUM8fsc4IGqBSsJ9rJchw6TQcxxBBA2oFJFJkgeDIJEKn6RahCJ_AfwBJuCnyCEKeiJeDN7l4wJAL3DEur6fpzmGgo4gFoA4fOwosHwx14mFPKo-O2hrmy-OX4gd66eMf1Ry_poYD9jQ7mC7PHxsU2eXoi9tjBLA_nm2ylgojVBe_q5ytCp5pqbKTFXvrJzOc2HoqqZXEH5GO72J-oro4to_5UvlZ8elKcalehNXaw2KW16-GOS1Nayqfo-Zf5NO5QNf5tkvj0hQW5pYqNv8feQrl4HK9NlEOLlySLibrOOKKQXlZmlpauSJ9iT522WaHtUL2_pBEPzfYTsh2w-jtt2G_Aay402Yf2iRudYY_eihysMG2eyTe6sTtkG2_IVGzAa1k-H2X9ftEJvFGN9o_HB40o3AvfhcS9rIfdX-BDcLWX5Ho6wBOieKdBmGfG2y9GbdbJOq_jo5CdtSDC9Ee7Q8I29tim13WGUSfOlelB4X8gj8nQ3CI2NnIadekmeWV5ep1iagVsxYoWqmm1EzATrMrTkUt15ySYVmWUrZuSPf-ru_meYRuSRfGN-JtaWa1vla9A5X5anAXU_gH3CHRUA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9F%AC%EC%8B%9C%EC%95%84%EC%96%B4+%EB%B6%88%EC%99%84%EC%A0%84%EB%93%B1%EA%B0%80%EC%96%B4%ED%9C%98%EC%9D%98+%ED%95%9C%EA%B5%AD%EC%96%B4+%EB%B2%88%EC%97%AD+%ED%91%9C%ED%98%84%EC%97%90+%EB%8C%80%ED%95%9C+%EA%B3%A0%EC%B0%B0+-+%ED%88%AC%EB%A5%B4%EA%B2%8C%EB%84%A4%ED%94%84+%EC%82%B0%EB%AC%B8%EC%8B%9C+%EC%86%8D+%EB%AF%BC%EC%86%8D%EC%96%B4%ED%9C%98%EC%99%80+%EC%A7%80%EC%86%8C%ED%98%95+%EB%B0%8F%EB%B9%84%EC%B9%AD%ED%98%95%EC%96%B4%ED%9C%98%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B%8F%99%EC%84%9C%EC%9D%B8%EB%AC%B8%ED%95%99%2C+0%2851%29&rft.au=%EC%9D%B4%EC%83%88%EB%B4%84&rft.date=2016-06-01&rft.pub=%EC%9D%B8%EB%AC%B8%EA%B3%BC%ED%95%99%EC%97%B0%EA%B5%AC%EC%86%8C&rft.issn=2713-6493&rft.eissn=2671-9258&rft.spage=39&rft.epage=6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207435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13-6493&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13-6493&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13-6493&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