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보: 혼합된 DNA 시료에서 플라스미드 벡터 클로닝에 의한 혈액형 추정 검사 연구

이 연구는 두 사람이 혼합된 DNA에서 피해자의 혈액형을 토대로 용의자의 혈액형을 파악하고자 테스트 되었다. ABO 혈액형은 강력 범죄에서 용의자의 범위를 줄이기 위해 자주 요청되고 있다 범인이 남긴 DNA가 피해자의 DNA와 섞여서 혼합된 디엔에형이 검출되면 현재의 ABO genotyping 분석 기법 으로는 가해자의 혈액형 식별이 어렵다. 혼합 DNA 샘플에서 범인의 혈액형을 결정하기 위해 플라스미드 벡터 클로닝 방법을 고려하였다. 콘트롤 시료로 주로 쓰이는 9947A 및 K562 DNA 동량으로 인위적으로 혼합 시료를 만들었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과학수사학회지, 19(3) pp. 275 - 282
Main Authors 이은정, 문서현, 박현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과학수사학회 01.09.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1422
2466-143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두 사람이 혼합된 DNA에서 피해자의 혈액형을 토대로 용의자의 혈액형을 파악하고자 테스트 되었다. ABO 혈액형은 강력 범죄에서 용의자의 범위를 줄이기 위해 자주 요청되고 있다 범인이 남긴 DNA가 피해자의 DNA와 섞여서 혼합된 디엔에형이 검출되면 현재의 ABO genotyping 분석 기법 으로는 가해자의 혈액형 식별이 어렵다. 혼합 DNA 샘플에서 범인의 혈액형을 결정하기 위해 플라스미드 벡터 클로닝 방법을 고려하였다. 콘트롤 시료로 주로 쓰이는 9947A 및 K562 DNA 동량으로 인위적으로 혼합 시료를 만들었다. 혈액형 9947A는 BO 타입이고, K562는 OO 타입이다. ABO 유전자의 엑손(exon) 6과 중간의 인트론(intron) 및 엑손 7 영역(1,739 bp)을 증폭하는 프라이머 쌍을 설계하여 콘트롤 DNA 각각의 단독 시료와 인위적 혼합 시료를 주형으로 증폭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증폭 산물을 플라스미드, pGEM-T Vector에 결합시켜 클로닝하고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인위적 혼합 시료 에서 O형을 지시하는 대립 유전자의 재조합 클론 11개, B형을 지시하는 대립 유전자 클론은 1개가 검출 되었다. 혼합 시료에서 범인의 혈액형을 결정하기 위해 벡터 클로닝을 이용한 방법은 DNA의 혼합 비율, ABO 유전자의 클론 예상 비율의 불일치 비특이적인 point mutation 발생 가능성 추정 가능한 혈액형의 경우의 수 등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고, 실제 법과학 감정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It was tested to determine the blood type of a suspect based on the victim's blood type from mixed DNA from two people. The ABO blood typing frequently has been requested to reduce the scope of the suspects in the violent crimes. If the DNA left by the criminal is mixed with the victim’s DNA,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blood type of the perpetrator with the current ABO genotyping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blood type of a unknown suspect from mixed DNA sample, the method of plasmid vector cloning is considered. The fake mixed sample is made with the equal amounts of two control DNA, 9947A and K562. The blood type of 9947A is BO type and that of K562 is OO type. The primer pair which amplifies the nearly full region between exon 6 and exon 7 (1,739 base pair in size) is designed. The amplified products from the template of 9947A, K562, and mixed DNA of 9947A and K562 are cloned into the plasmid (pGEM-T Vector) respectively and analyzed with their sequences. In the fake mixed samples, clones harboring allele coding for O-type are much more cloned than those of B-type. The clone carrying B-type allele was appeared just once from 12 recombinant clones.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suspect’s blood type from mixed sample using gene clon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considering the DNA mix ratio, the inconsistency in the expected clone ratio of ABO genes, the possibility of non-specific point mutation, and the possible number of presumable blood types. And it is thought that this method will be difficult to apply to actual forensic case. KCI Citation Count: 0
ISSN:2466-1422
2466-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