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의 상품 구매 보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본 개발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보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점에서 상품 구매 시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보장하고,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현재 시각장애인들이 편의점에서 상품을선택할 때는 제품의 점자 표기가 미흡하거나 제품 상단에 작게 표시되어 있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음료수 캔과 같은 원통형 제품은 점자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인식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발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편의점을 탐색하...
Saved in:
Published in |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11(2) pp. 92 - 10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적정기술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5-9169 2765-6551 |
Cover
Summary: | 본 개발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보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점에서 상품 구매 시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보장하고,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현재 시각장애인들이 편의점에서 상품을선택할 때는 제품의 점자 표기가 미흡하거나 제품 상단에 작게 표시되어 있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음료수 캔과 같은 원통형 제품은 점자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인식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발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편의점을 탐색하여 경로를 안내하고, 편의점 내에있는 다양한 상품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전면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상품의 종류, 브랜드, 주요 성분 등의 정보를 식별한 후 이를 음성으로 안내해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스스로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은 단순한 접근성 향상을 넘어, 시각장애인이 독립적으로 소비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큰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제품 카테고리 확대, 다국어 지원, 가격 정보 및 할인 정보 안내 기능 등으로 확장 가능성이 있으며, 보다 포괄적인 스마트 유통 보조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있다. The purpose of this development is to support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in receiving accurate product information during convenience store purchases, thereby ensuring their rights as consumers. Currently, visually impaired users face significant difficulties in identifying products due to insufficient braille labeling, especially on cylindrical items such as beverage cans, where the braille is often small, inconsistently placed, or even missing. This makes independent product selection challenging and often unreliable.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system provides navigation to the nearest convenience store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Once inside the store, users can scan the front of a desired product using their smartphone camera. The system employs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to analyze the product’s front image and extract key information such as product name, brand, and main ingredients. This information is then conveyed to the user through voice output, enabling them to make informed purchasing decisions independently. This application goes beyond simply enhancing accessibility; it empowers visually impaired users to engage in consumer activities without assistance. Additionally, the solution offers potential for future expansion, including support for multiple product categories, multilingual functionality, and features like real-time pricing and discount alerts. Ultimately, it lays the foundation for a more inclusive and intelligent retail assistance system.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465-9169 2765-65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