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백가의 치란(治亂)에 대한 인식과 처방

제자백가의 치란에 대한 인식은 크게 두 계열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유가와 법가는 ‘혼란의 원인은 이기심에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도, 그에 대한 처방은 전혀 달리했다. 유가는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하는 것[克己復禮]’이 평화와 안정의 길이라고 보고, 그 방법론으로 인간의 도덕적 본성에 호소하는 덕치와 예치를 강조했다. 그러나 법가는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고 보고, 대신 인간의 타산능력을 이용하여 이기심을 통치에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이른바 ‘신상필벌(信賞必罰)’이 그것이다. 묵가와 도가는 ‘혼란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Yulgok sasang yŏn'gu pp. 343 - 377
Main Author 이상익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율곡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236
2713-7236
DOI10.35436/yulgok.2025.59..343

Cover

Abstract 제자백가의 치란에 대한 인식은 크게 두 계열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유가와 법가는 ‘혼란의 원인은 이기심에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도, 그에 대한 처방은 전혀 달리했다. 유가는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하는 것[克己復禮]’이 평화와 안정의 길이라고 보고, 그 방법론으로 인간의 도덕적 본성에 호소하는 덕치와 예치를 강조했다. 그러나 법가는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고 보고, 대신 인간의 타산능력을 이용하여 이기심을 통치에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이른바 ‘신상필벌(信賞必罰)’이 그것이다. 묵가와 도가는 ‘혼란의 원인은 시비를 다투는 것에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도, 역시 그에 대한 처방은 전혀 달리했다. 묵가는 ‘통일된 옳음의 기준을 확립하는 것[尙同]’이 평화와 안정의 길이라고 보고, 그 방법론으로 아랫사람들이 ‘윗사람에게 동조하게 할 것[上同]’을 강조했다. 그러나 도가는 옳음의 기준을 통일시키려고 하는 것이야말로 혼란의 근원이라고 보고, 대신 세상 만물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고 방임할 것을 강조했다. 이른바 ‘제물론(齊物論)’과 ‘재유(在宥)’가 그것이다. 네 학파의 이러한 주장은 각각의 의의와 한계를 지닌 것으로, 어느 하나만으로는 현실의 혼란 규명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므로 네 학파의 주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양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Hundred School can be classified into two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s of being organized and chaotic. Although the Confucians and the Legalists both consider the cause of chaos to be selfishness, they diverged in dealing with chaos. The Confucians, believing that to ‘subdue one’s self and return to propriety’ (克己復禮) is the way to peace, insist upon the rule of virtues and rituals as its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Legalists, considering the Confucian solution to be impracticable, focus on how to make use of the selfish human nature in ruling the people by using ‘Reward for an achievement, punishment for a violation without fail’ (信賞必罰) principle. The Mohists and the Daoists, sharing that the cause of chaos is from judging what is right and wrong, suggest different solutions. The Mohists hold that to ‘set up a single standard for what is right’ (尙同) is the way to peace, suggesting ‘to be same with the top’ (上同) as the 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Daoists, considering the Mohist solution as another cause of chaos, emphasize ‘accepting all and letting it be’ (在宥). As all these four arguments hav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our task should be to synthesize them.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제자백가의 치란에 대한 인식은 크게 두 계열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유가와 법가는 ‘혼란의 원인은 이기심에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도, 그에 대한 처방은 전혀 달리했다. 유가는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하는 것[克己復禮]’이 평화와 안정의 길이라고 보고, 그 방법론으로 인간의 도덕적 본성에 호소하는 덕치와 예치를 강조했다. 그러나 법가는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고 보고, 대신 인간의 타산능력을 이용하여 이기심을 통치에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이른바 ‘신상필벌(信賞必罰)’이 그것이다. 묵가와 도가는 ‘혼란의 원인은 시비를 다투는 것에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도, 역시 그에 대한 처방은 전혀 달리했다. 묵가는 ‘통일된 옳음의 기준을 확립하는 것[尙同]’이 평화와 안정의 길이라고 보고, 그 방법론으로 아랫사람들이 ‘윗사람에게 동조하게 할 것[上同]’을 강조했다. 그러나 도가는 옳음의 기준을 통일시키려고 하는 것이야말로 혼란의 근원이라고 보고, 대신 세상 만물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고 방임할 것을 강조했다. 이른바 ‘제물론(齊物論)’과 ‘재유(在宥)’가 그것이다. 네 학파의 이러한 주장은 각각의 의의와 한계를 지닌 것으로, 어느 하나만으로는 현실의 혼란 규명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러므로 네 학파의 주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양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Hundred School can be classified into two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s of being organized and chaotic. Although the Confucians and the Legalists both consider the cause of chaos to be selfishness, they diverged in dealing with chaos. The Confucians, believing that to ‘subdue one’s self and return to propriety’ (克己復禮) is the way to peace, insist upon the rule of virtues and rituals as its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Legalists, considering the Confucian solution to be impracticable, focus on how to make use of the selfish human nature in ruling the people by using ‘Reward for an achievement, punishment for a violation without fail’ (信賞必罰) principle. The Mohists and the Daoists, sharing that the cause of chaos is from judging what is right and wrong, suggest different solutions. The Mohists hold that to ‘set up a single standard for what is right’ (尙同) is the way to peace, suggesting ‘to be same with the top’ (上同) as the 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Daoists, considering the Mohist solution as another cause of chaos, emphasize ‘accepting all and letting it be’ (在宥). As all these four arguments hav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our task should be to synthesize them.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상익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상익
  organization: (부산교육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9343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MTTQMzY1MTbTryzNSc_P1jMyMDLVM7XU0zM2MWZi4DQyNzTWNTcyNmNh4DQ0N7bQtQCyORh4i4szkwwMDA1NDQwMTDgZLN8smPNm3oTXGza-2tDwZu4MhTc7Z7ye16DxbNPuJ7uaNN9Mn6Dwuqfh7dQ5Cm_m7njTPffV5j0KbzbNeL1hJQ8Da1piTnEqL5TmZtBycw1x9tDNK0qLz07OjM9PzATT6fnx2UXxjkEhnvGGBuYGhhYGlsYkKQYAjvJWH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35436/yulgok.2025.59..343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Philosophy
DocumentTitleAlternate The Hundred Schools’ Perceptions on Being Organized and Being Chaotic
EISSN 2713-7236
EndPage 37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01809
GroupedDBID ACYCR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018093
ISSN 1738-8236
IngestDate Sat Apr 26 03:27:00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01809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9343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0180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3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3-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3
  year: 2025
  text: 2025-03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Yulgok sasang yŏn'gu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사)율곡학회
Publisher_xml – name: (사)율곡학회
SSID ssib001150004
ssj0000740385
ssib022001623
ssib044765234
Score 3.8313277
Snippet 제자백가의 치란에 대한 인식은 크게 두 계열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유가와 법가는 ‘혼란의 원인은 이기심에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도, 그에 대한 처방은 전혀 달리했다. 유가는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하는 것[克己復禮]’이 평화와 안정의 길이라고 보고, 그 방법론으로 인간의 도덕적...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343
SubjectTerms 기타인문학
Title 제자백가의 치란(治亂)에 대한 인식과 처방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9343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율곡학연구, 2025, 59(0), 59, pp.343-37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27jtNAcBWO5hrEU7xlCVYCrBhnvV57S6_x6UA6RHFIRxV5nVyEghIplxShQBEtFNcgUlxOtHThaHh1_AqiuJh_YHZtJ-Z0QoHGGo3X89hZ7cwmOzMI3aQJBTeXwOKNIXyjTDaqMvFZlThxTKXyMTopbOMhW39MH2y5W5XK99KtpUFfWsnzY_NK_seqgAO7qizZf7DsnCggAAb7whMsDM-lbIyjEAc25qECeIS5jSOBhY1FDUeBAnxbv7qHuW8qSHCA1CAYrW79AcywIFgIHFEsAuwTTLj-xgNyphrqh5oM0HCBlZkTFL4CfKFgxcvBInsH1DIWwD7g5eD3yeBZq9s2d-KduNMyhzh0sb-mWrq0BoXdC-JUE3cgzi0wbvn3CeIuLmjpFaU1CZX0QVgoAHPj56IFtUJ-rgHQMyxtxx5sx6ole-atNI7AsbrqFbhs23WyUk-5B3eyxjBHnYPjUt2-ZqiVtZSslssta_5xuRb3ER_5RzXudvK03urW2706nDnu1-EAraugnUAniceYaqOx8SJaxKQ11XNivukRdYmtFHNS6jGX5DX6dPjgUfVvrU7kzbXPUj61_HePkR7Cok5vuxQWbZ5Gp_LzjBFki_MMqrS7Z9Hqo6JBxvAc4um7vXR_dzb9cDgdpZOxkX4ez_ZHt34efP3x5eXt9O2uMXs9-vVmz0gnn9JXk8OP34z0YDybvj-P7qxFm-F6Ffjq6fjLtDgX0Eqn22leREbsUuk3WLNGJKOJzWPGJfEarNZMpCeJcwndWILg5aVGXUGri9V4Fa30e4PmNYgf-_K6ts9vXjVdK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0%9C%EC%9E%90%EB%B0%B1%EA%B0%80%EC%9D%98+%EC%B9%98%EB%9E%80%28%E6%B2%BB%E4%BA%82%29%EC%97%90+%EB%8C%80%ED%95%9C+%EC%9D%B8%EC%8B%9D%EA%B3%BC+%EC%B2%98%EB%B0%A9&rft.jtitle=Yulgok+sasang+y%C5%8Fn%27gu&rft.au=%EC%9D%B4%EC%83%81%EC%9D%B5&rft.date=2025-03-01&rft.pub=%28%EC%82%AC%29%EC%9C%A8%EA%B3%A1%ED%95%99%ED%9A%8C&rft.issn=1738-8236&rft.eissn=2713-7236&rft.spage=343&rft.epage=377&rft_id=info:doi/10.35436%2Fyulgok.2025.59..34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0180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823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823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823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