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야구선수의 포지션별 체격 및 기초체력 평가 기준 개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야구선수의 포지션별 특성을 고려한 체격 및 기초체력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체계적이고과학적인 선수 발굴 및 육성의 기초자료를 현장 지도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측정된 경기도 지역 중학교 야구선수 220명(야수 : 145, 투수 : 75)의 체격 및 기초체력 측정자료를 활용하였다. 체격은 신장, 체중, 체지방률, 상지와 하지 길이 및 전완위와 대퇴위 둘레, 지극의 총 8가지, 기초체력은 좌 ․ 우 ․ 평균 악력, 배근력,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제자리멀리뛰기,...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5; no. 4; pp. 59 - 7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12.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23.25.4.006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야구선수의 포지션별 특성을 고려한 체격 및 기초체력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체계적이고과학적인 선수 발굴 및 육성의 기초자료를 현장 지도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측정된 경기도 지역 중학교 야구선수 220명(야수 : 145, 투수 : 75)의 체격 및 기초체력 측정자료를 활용하였다.
체격은 신장, 체중, 체지방률, 상지와 하지 길이 및 전완위와 대퇴위 둘레, 지극의 총 8가지, 기초체력은 좌 ․ 우 ․ 평균 악력, 배근력,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제자리멀리뛰기, 서전트 점프, 사이드 스텝, 셔틀런, 체후굴과 체전굴총 12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Windows Excel 2021로 정리하고, Windows SPSS 26.0 을 이용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이후, 측정결과의 기술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Cajori 5단계 상대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야수와 투수 및 체력요소별 평가 기준치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실제 중학교 야구선수의 측정결과를바탕으로 야수와 투수의 포지션에 적절한 체격 및 기초체력 항목별 평가 기준치를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설정된 체격 및 기초체력 기준치를 바탕으로 현장의 지도자가 선수를 선발 및 육성하는데 정량적 기준으로 활용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hysique and basic physical fitness evaluation criteria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and provide field coachs with basic data for systematic and scientific player discovery and development. For this study, we used the physique and basic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data of 220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fielder: 145, pitcher: 75) in the Gyeonggi-do area measured from 2016 to 2023. Physique consists of a total of 8 factors and Basic physical fitness were measured total of 12 items. The measured results were summarized in Windows Excel 2021,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using Windows SPSS 26.0. Afterwards, based 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easurement results, the Cajori 5 stage's relative evaluation method was applied to set evaluation critetias for each fielder, pitcher, and physique, basic physical fiteness factor.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actual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evaluation standards for each physique and basic physical fitness item appropriate for the positions of fielder and pitcher were set and presented. Based on the physique and basic physical strength standards set through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field coachs can use them as quantitative standards to discovery and develop baseball player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23.25.4.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