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골관절염의 치료: 생물학적표지자, 진단 및 분류, 예방
환자 수의 급격한 증가와 이로 인한 사회적 부담의 급격한 증가로, 초기 무릎 골관절염(osteoarthritis) 해결을 위한 즉각적인 조치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초기 골관절염의 치료는 정확한 진단 및 분류 기준, 효과적인 위험 요인 평가, 환자 분류, 질환 조절 요법(disease modifying therapies) 및 포괄적인 관리 전략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각 환자군의상태를 정의하고 분류하는 데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입증된 분류 기준을 통한 증상이 있는 초기 골관절염 환자군의...
Saved in:
|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9; no. 5; pp. 319 - 326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10.2024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2102 2005-8918 |
| DOI | 10.4055/jkoa.2024.59.5.319 |
Cover
| Summary: | 환자 수의 급격한 증가와 이로 인한 사회적 부담의 급격한 증가로, 초기 무릎 골관절염(osteoarthritis) 해결을 위한 즉각적인 조치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초기 골관절염의 치료는 정확한 진단 및 분류 기준, 효과적인 위험 요인 평가, 환자 분류, 질환 조절 요법(disease modifying therapies) 및 포괄적인 관리 전략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각 환자군의상태를 정의하고 분류하는 데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입증된 분류 기준을 통한 증상이 있는 초기 골관절염 환자군의 계층화(stratification)를 시도하고 있다. 정확한 질병 단계는 초기 단계 환자군을 이른 시기에 치료 과정으로 유도하여 효과적인 환자관리를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질병 부담을 완화하는 사전 조치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초기 단계 환자군을 적절하게 식별하는 것이중요하다. 생물학적 표지자는 초기 골관절염을 식별하고 이해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검증된 표지자는 질병 위험도, 진행상황, 잠재적 치료 목표 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환자군을 임상 연구에 참여할 수 있게끔 하고 개입 시점을 앞당겨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생활습관 교정 및 개개인별 표적 치료법을 포함한 예방 전략은 잠재적으로 무릎 골관절염의 장기적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여기에는 체계적인 교육, 운동, 체중 관리 및 질병 진행과 관계된 생활습관 관련 위험요소의 해결이 포함된다. 이 모든 것들이 이루어지기 위해선 의료 전문가, 연구원, 정책 입안자 및 환자를 포함하는 협력적이고 다학제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과 함께 골관절염에 대한 이해, 관리 및 예방을 향상시켜, 최종적으로 이 질병에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imperative for immediate action to address early-stage osteoarthritis (OA) arises from the rapid increase in patient numbers and the considerable economic impact. Currently, managing early-stage OA is fraught with difficulties, encompassing the absence of precise diagnostic and classification criteria, effective risk factor assessment, patient stratification, disease-modifying therapies,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strategies. Considerable efforts are being made to define and categorize patient populations, so-called stratification with symptomatic early-stage OA, through validated classification criteria. Accurate disease staging is essential for guiding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ffective patient management. Proper identification of early-stage cases is vital for implementing proactive measures that alleviate the disease burden. Biomarkers play a pivotal role in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early-stage OA. Validated biomarkers could offer insights into disease risk, progression, and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This holds promise for guiding clinical studies, facilitating intervention trials, and advancing novel therapies. Preventive strategies, including lifestyle modifications and targeted interventions, can potentially reduce the long-term impact of OA. This involves structured education, exercise, weight management, and addressing lifestyle-related risk factors for disease progression. Implementing these actions requires a collaborative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volving healthcare professionals,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patients. Embracing these strategies can advance the understanding,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OA, ultimately improving the lives of those affected by this challenging condition.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4.59.5.319 |
| ISSN: | 1226-2102 2005-8918 |
| DOI: | 10.4055/jkoa.2024.59.5.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