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상세화 유형에 따른 설명글 이해 특성

연구목적: 경계선 지능 아동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읽기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글 읽기 과정에서 제공되는 정보 중 어떠한 형태의 단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상세화 유형에 따른 설명글 이해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5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 12명과 일반 아동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과제는 설명글 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40; no. 2; pp. 53 - 69
Main Authors 최하은(Choi, ha Eun), 최소영(Choi, So Young), 김가림(Kim, Ga R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5.2024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4.05.40.2.53

Cover

Abstract 연구목적: 경계선 지능 아동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읽기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글 읽기 과정에서 제공되는 정보 중 어떠한 형태의 단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상세화 유형에 따른 설명글 이해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5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 12명과 일반 아동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과제는 설명글 내 어려운 어휘에 대한 의미나 이미지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기본 텍스트’, ‘의미 상세화’, ‘이미지 상세화’ 세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각 조건이 구성된 과제를 읽은 후 읽기 이해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으며, 두 집단의 상세화 유형에 따른 읽기 이해 수행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경계선 지능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읽기 이해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상세화 유형 조건에 따른 설명글 읽기 이해 점수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기본 텍스트, 의미 상세화, 이미지 상세화 순으로 읽기 이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경계선 지능 아동은 다른 조건보다 이미지 상세화 조건에서 읽기 이해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경계선 지능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낮은 읽기 이해 특성을 보이나 텍스트 내 언어적인 정보와 이미지를 제공하였을 때 읽기 이해 수행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중재 시 언어적 결함을 고려하여 텍스트와 관련한 이미지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reading difficulties in borderline intelligent children as they advanced in school and explored how they processed various reading cues. It compared the comprehensive abilities of borderline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wenty-four students(12 borderline intelligent and 12 typically developing) in grades 4~5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asks included reading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basic text, semantic elaboration, and image elaboration. After the reading tasks for each condition, participants answered comprehension questions, and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laboration type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Significantly low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observed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Both groups performed better with an increasing depth of information, including basic text, semantic elaboration, and image elaboratio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particularly excelled in comprehension when images were included. Conclusio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encounter challenges in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providing verbal information and images within texts can enhance their comprehension performance.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t is advisable to include images with text in reading interventions to address language weaknesses.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연구목적: 경계선 지능 아동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읽기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글 읽기 과정에서 제공되는 정보 중 어떠한 형태의 단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상세화 유형에 따른 설명글 이해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5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 12명과 일반 아동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과제는 설명글 내 어려운 어휘에 대한 의미나 이미지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기본 텍스트’, ‘의미 상세화’, ‘이미지 상세화’ 세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각 조건이 구성된 과제를 읽은 후 읽기 이해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으며, 두 집단의 상세화 유형에 따른 읽기 이해 수행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경계선 지능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읽기 이해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상세화 유형 조건에 따른 설명글 읽기 이해 점수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기본 텍스트, 의미 상세화, 이미지 상세화 순으로 읽기 이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경계선 지능 아동은 다른 조건보다 이미지 상세화 조건에서 읽기 이해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경계선 지능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낮은 읽기 이해 특성을 보이나 텍스트 내 언어적인 정보와 이미지를 제공하였을 때 읽기 이해 수행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중재 시 언어적 결함을 고려하여 텍스트와 관련한 이미지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reading difficulties in borderline intelligent children as they advanced in school and explored how they processed various reading cues. It compared the comprehensive abilities of borderline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wenty-four students(12 borderline intelligent and 12 typically developing) in grades 4~5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asks included reading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basic text, semantic elaboration, and image elaboration. After the reading tasks for each condition, participants answered comprehension questions, and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laboration type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Significantly low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observed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Both groups performed better with an increasing depth of information, including basic text, semantic elaboration, and image elaboratio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particularly excelled in comprehension when images were included. Conclusio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encounter challenges in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providing verbal information and images within texts can enhance their comprehension performance.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t is advisable to include images with text in reading interventions to address language weaknesse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김가림(Kim, Ga Rim)
최소영(Choi, So Young)
최하은(Choi, ha Eu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최하은(Choi, ha Eun)
– sequence: 2
  fullname: 최소영(Choi, So Young)
– sequence: 3
  fullname: 김가림(Kim, Ga R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448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LFKw0AAQA-pYK39A4dbXITEu8sluYylVq0UC1rQLVyuiYRqKi0ObhXj0kWHBluw0MEiOFXtkA7-UHL5B4t2em94vE2QC9qBC8A2RqqGmaHtHZ9VVIIIVZGuUqQSVdfWQJ4YJlEwohe5pVPDUDAzyQYodru-gyg1DWIRkgfnWTRKJ4sknsHk6yf5DmU4gfK9l_anUEZh-jSS4yGUD_cyjLPRAMrXSTaM5MszTAezdBpDGb6lH49J3INyPM-iOcz6Cxl-boF1j1913eKKBdA4qDTKR0qtflgtl2pKYOimwijVXUvDyGHY4Z7bJFg0XcdDXHDNcwV1GbcE8zjVhUAOFdhjjmkIiizLExbTCmD3fxt0PLslfLvN_T9etu1Wxy6dNqo2RibSKNOX8c4qvu34127T5_bNUnjnzj6p71cwNi0DIVP7BTdMf0M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31863/JSE.2024.05.40.2.53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Effects on Elaboration of Text on Reading Comprehens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ocumentTitle_FL Effects on Elaboration of Text on Reading Comprehens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EISSN 2672-104X
EndPage 6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03485
NODE11796007
GroupedDBID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57-8445e9310b81bafed21cdebf0aca3fec4e8a9c8fa45cc0b4c1f8b76c4099fc983
ISSN 2466-1872
IngestDate Sun Apr 20 03:10:51 EDT 2025
Thu Feb 06 13:43:19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school-aged children
elaboration type
설명글
읽기 이해
reading comprehension
학령기
expository text
상세화 유형
경계선 지능
borderline intelligenc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57-8445e9310b81bafed21cdebf0aca3fec4e8a9c8fa45cc0b4c1f8b76c4099fc983
PageCount 1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03485
nurimedia_primary_NODE1179600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5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5-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24
  text: 2024-05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특수교육논총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특수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name: 특수교육연구소
SSID ssib044762922
ssib031948378
Score 1.8813167
Snippet 연구목적: 경계선 지능 아동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읽기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글 읽기 과정에서...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3
SubjectTerms 교육학
Title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상세화 유형에 따른 설명글 이해 특성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79600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4485
Volume 4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특수교육논총, 2024, 40(2), , pp.53-69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2-104X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62922
  issn: 2466-187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b9MwFI-2cYALAgFi_JkigU9TS5I6qX1M2kxj0saBIXarGjdBqFKHpu3CAQ1RLuMAh1VsEpN2YELiNGCH7sAXatPvwO856dpNExpcIvfZfu_5vdjvObXfM4yHDZiUEi_TOZ1yUuCcR5hztiqo2E2kDQdaCrqcvLjkzT_jCyvuysTkh7FTSxvrUVG9Pvdeyf9oFTDolW7J_oNmT5ACgDL0iyc0jOeFdMzCKpMuk5KFAfMtFqDgs0CwwJrVJYcFVV0oMcFZWKGnT3UV5pfpkAP6CZ_5rgYBFbUCaE7jBAT4ha4TwGDnGECACEsmedavQsQJJAgHQcpMEpkATcCMZs9Fv9khD5qM7zPh5hyLjCsQDHg-rICwV4m_QA4p2-PO9OlaQeQJGQRiDdmy9XCAq0IQoAYBvFTcgmPtjH0F0bUudclFKnJuhHVOE1DzmNAFNBT2qInmhuTq07AzAfsey_OH519XHD46y6jnw8UGosUaWHmVP-JjtJg73PMKtsjSFBXjDOaVHZjB7IRqbkCyyMm5K5IlsTlr5LAKexRtY-FpWCSWKfIst4pOcdh3PKb4GVt_Kqp4U72svVitNddq2Ds9rtm0-nPhThqXHJhIyoOy-CYcLs5YqnXygeFvztFG6n_pTsaWXU3V_D06hzu4b601eH2XWxuUugLr35grt3zNuJrvwUw_m1DXjYnm6g3j-aCz298_7nUPzd7P371f7bS9b6bfNvtbB2baafc_7qZ7O2b67m3a7g52t830y_5gp5N-_mT2tw_7B10zbX_tf3_f626a6d7RoHNkDraO0_aPm8byXLhcmS_kWUcKLc-Fx8a5G0tseiJs6OpJ3HBs1YijxKqreimJFY9FXSqR1LmrlBVxZSciKnuKY6uVKClKt4yp1morvm2YAnsNCuDolHiJ8wRekSuBTzakB8Oa1KeNB5CHVsNf1DFtzJzIq_YqC0FTW3pSDSmYI2WXuHMhNHeNK6P3-54xtb62Ed-HP70ezWg9_wEEtqKR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99%EB%A0%B9%EA%B8%B0+%EA%B2%BD%EA%B3%84%EC%84%A0+%EC%A7%80%EB%8A%A5+%EC%95%84%EB%8F%99%EC%9D%98+%EC%83%81%EC%84%B8%ED%99%94+%EC%9C%A0%ED%98%95%EC%97%90+%EB%94%B0%EB%A5%B8+%EC%84%A4%EB%AA%85%EA%B8%80+%EC%9D%B4%ED%95%B4+%ED%8A%B9%EC%84%B1&rft.jtitle=%ED%8A%B9%EC%88%98%EA%B5%90%EC%9C%A1%EB%85%BC%EC%B4%9D%2C+40%282%29&rft.au=%EC%B5%9C%ED%95%98%EC%9D%80&rft.au=%EC%B5%9C%EC%86%8C%EC%98%81&rft.au=%EA%B9%80%EA%B0%80%EB%A6%BC&rft.date=2024-05-01&rft.pub=%ED%8A%B9%EC%88%98%EA%B5%90%EC%9C%A1%EC%97%B0%EA%B5%AC%EC%86%8C&rft.issn=2466-1872&rft.eissn=2672-104X&rft.spage=53&rft.epage=69&rft_id=info:doi/10.31863%2FJSE.2024.05.40.2.5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0348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466-187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466-187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466-187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