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서의 네트워크 의제설정과 정서적 효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전후 뉴스와 댓글의 QAP 상관분석

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이슈와 관련된 언론매체의 뉴스와 댓글 공중의 반응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방류 전후 기간 동안 유튜브에서 수집한 뉴스 동영상과 댓글 데이터를 대상으로 의미 네트워크 분석과 QAP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상관계수를 바탕으로 의제 속성 네트워크를 도출하였다. 인공신경망 모델로 부정적 댓글을 분류해 의제설정 효과에서 정서의 역할 또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언론매체와 댓글 공중 간의 의제 속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론정보연구 Vol. 61; no. 4; pp. 106 - 149
Main Authors 양명충(Ming Chong Yang), 주가회(Jia Hui Zhou), 왕흔욱(Xin Yu Wang), 이신행(Shin Hae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01.11.2024
언론정보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6195
2508-8629
DOI10.22174/jcr.2024.61.4.10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이슈와 관련된 언론매체의 뉴스와 댓글 공중의 반응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방류 전후 기간 동안 유튜브에서 수집한 뉴스 동영상과 댓글 데이터를 대상으로 의미 네트워크 분석과 QAP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상관계수를 바탕으로 의제 속성 네트워크를 도출하였다. 인공신경망 모델로 부정적 댓글을 분류해 의제설정 효과에서 정서의 역할 또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언론매체와 댓글 공중 간의 의제 속성 네트워크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방류 후 의제설정 효과가 더욱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뉴스는 인지적 뉴스에 비해 의제설정 효과가 낮았으며, 방류 후에는 그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정서적 요소와 불확실성이 의제설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network agenda-setting by analyzing the news and comments on YouTube related to the Fukushima nuclear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issue. For this purpose,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QAP analysis were conducted on news videos and comment data collected from YouTube du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discharge in 2023. In addition, major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and agenda attribute networks were derived based 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ole of sentiment in agenda-setting effect was also explored by classifying negative comments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agenda attribute networks between media outlets and the commenting public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the agenda-setting effect was further strengthened after the release. The agenda-setting effect of affective news was lower than that of cognitive news, and the effect decreased sharply after the dischar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sentiment and uncertainty on agenda setting in today’s social media environment. KCI Citation Count: 0
ISSN:1738-6195
2508-8629
DOI:10.22174/jcr.2024.61.4.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