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 영웅서사시 『마나스』에 드러난 ‘내전(內戰)’ 양상 연구
본고는 구비문학의 관점에서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서사시 『마나스』에 대한 독해를 시도하였다. 마나스는 전쟁영웅으로 그의 아버지와 주변 종족들이 계속해서 숨어 살며 겨우 얻은 삶의 평화를 깨뜨리려 한다는 점에서 불행의 씨앗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서사에서 마나스의 첫 행보가 주변 종족인 칼믹의 내전(內戰)을 불러일으키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마나스는 더 불행의 근원으로 인식된다. 『마나스』에 여러 차례 드러내는 내전은 형제와 적, 내부와 외부의 구분을 무화시킨다. 적대 관계였던 이들이 우호 관계를 맺기도 하고 때로는 그 역의 관계 변화가 나...
Saved in:
Published in | 동서인문학 Vol. 63; pp. 173 - 19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01.08.2022
인문과학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6493 2671-9258 |
DOI | 10.37498/HSEW.2022.08.63.173 |
Cover
Abstract | 본고는 구비문학의 관점에서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서사시 『마나스』에 대한 독해를 시도하였다. 마나스는 전쟁영웅으로 그의 아버지와 주변 종족들이 계속해서 숨어 살며 겨우 얻은 삶의 평화를 깨뜨리려 한다는 점에서 불행의 씨앗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서사에서 마나스의 첫 행보가 주변 종족인 칼믹의 내전(內戰)을 불러일으키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마나스는 더 불행의 근원으로 인식된다. 『마나스』에 여러 차례 드러내는 내전은 형제와 적, 내부와 외부의 구분을 무화시킨다. 적대 관계였던 이들이 우호 관계를 맺기도 하고 때로는 그 역의 관계 변화가 나타나기도 하는 등 그야말로 비정치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사이의 비식별역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듯 『마나스』의 내전은 종족 정체성보다 씨족 정체성이 더 강고하던 중앙아시아 초원의 소수민족이 맞닥뜨릴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직접적으로 은유한다. 중요한 것은 씨족 중심의 정치 질서가 팽배한 상황 속에서 내전이 상당히 복잡한 맥락을 지니게 된다는 점이다. 종족 내부 차원에서는 씨족 정체성을 넘어 단일한 종족 정체성으로 단결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했고 종족 외부 차원에서는 타 종족의 씨족 정체성을 적절히 이용하여 그 종족이 단결할 수 없도록 공략해야 했다. 물론 이때의 내외부도 내전의 특성을 고려할 때 균질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마나스는 이러한 내전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세력을 규합해나가는 일을 지속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ad the heroic epic “Manas” of the Kyrgyz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oral literature. Manas, a war hero, is recognized as a source of unhappiness in that he tries to break the peace of life that his father and his surrounding tribes continue to hide forever. Moreover, Manas is considered more of a seed of misfortune in that Manas’ first move in the narrative was to provoke the internal war of the surrounding tribe, Kalmyks. The internal war which appears several times in “Manas”, neutralizes the distinction between brothers, enemies, inside and outside. The non-identification zone between political and non-political is formed, with those who were hostile to each other establish friendly relations and sometimes reverse relationships. As such, the internal war in “Manas” is a metaphor for the situation that the ethnic minorities in the Central Asia steppes, where their clan identity was stronger than their tribal identity, had to face.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internal war takes on a fairly complex context in the situation of a clan-centered political order. Manas understood the complexity of this internal war and continued to rally his forces. KCI Citation Count: 0 |
---|---|
AbstractList | 본고는 구비문학의 관점에서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서사시 『마나스』에 대한 독해를 시도하였다. 마나스는 전쟁영웅으로 그의 아버지와 주변 종족들이 계속해서 숨어 살며 겨우 얻은 삶의 평화를 깨뜨리려 한다는 점에서 불행의 씨앗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서사에서 마나스의 첫 행보가 주변 종족인 칼믹의 내전(內戰)을 불러일으키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마나스는 더 불행의 근원으로 인식된다. 『마나스』에 여러 차례 드러내는 내전은 형제와 적, 내부와 외부의 구분을 무화시킨다. 적대 관계였던 이들이 우호 관계를 맺기도 하고 때로는 그 역의 관계 변화가 나타나기도 하는 등 그야말로 비정치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사이의 비식별역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듯 『마나스』의 내전은 종족 정체성보다 씨족 정체성이 더 강고하던 중앙아시아 초원의 소수민족이 맞닥뜨릴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직접적으로 은유한다. 중요한 것은 씨족 중심의 정치 질서가 팽배한 상황 속에서 내전이 상당히 복잡한 맥락을 지니게 된다는 점이다. 종족 내부 차원에서는 씨족 정체성을 넘어 단일한 종족 정체성으로 단결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했고 종족 외부 차원에서는 타 종족의 씨족 정체성을 적절히 이용하여 그 종족이 단결할 수 없도록 공략해야 했다. 물론 이때의 내외부도 내전의 특성을 고려할 때 균질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마나스는 이러한 내전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세력을 규합해나가는 일을 지속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ad the heroic epic “Manas” of the Kyrgyz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oral literature. Manas, a war hero, is recognized as a source of unhappiness in that he tries to break the peace of life that his father and his surrounding tribes continue to hide forever. Moreover, Manas is considered more of a seed of misfortune in that Manas’ first move in the narrative was to provoke the internal war of the surrounding tribe, Kalmyks. The internal war which appears several times in “Manas”, neutralizes the distinction between brothers, enemies, inside and outside. The non-identification zone between political and non-political is formed, with those who were hostile to each other establish friendly relations and sometimes reverse relationships. As such, the internal war in “Manas” is a metaphor for the situation that the ethnic minorities in the Central Asia steppes, where their clan identity was stronger than their tribal identity, had to face.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internal war takes on a fairly complex context in the situation of a clan-centered political order. Manas understood the complexity of this internal war and continued to rally his forces.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이소윤(Lee, Soyun)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소윤(Lee, Soyun)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7136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MtKAlEAhg9hkJlv0GI2QQUzndvMmVmKWQqSUEKbYDhzi8HSUFq0GycFKehCkEZCLQw3LlwY9DxKLZzTOzRUq--D_-NfBolqreoCsIqgQhg19K38Qe5QwRBjBeqKRhTEyAJIYo0h2cCqnoidISJr1CBLIN1o-BakhsGQinESHH2Hg-htMv8Yi6uBJHpN8dwWrb4IR-K6L82Cm2jYicJePM6CW9G9k6KHfvQyisK-NA16UTgRr631z_bwqzPemAZPkni8F5dNSXTH8_fRClj0-EnDTf8zBco7uXI2LxdLu4VspihXNVWVLcQNl0KHOCpRXcMlkHHICfMcpFMPUU1zbERtTJHNLctxPIu7zILMsyjmBkIkBTb_bqt1z6zYvlnj_i-Pa2albmb2ywUTQUhUpGlxvPYfn9f9U9fxuXkWC69fmHul7RyK_yCmKvkBgMCBSw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DBRKI TDB ACYCR |
DOI | 10.37498/HSEW.2022.08.63.173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A Study on the Aspect of Internal War Revealed in the Kyrgyz Heroic Epic 『Manas』 |
DocumentTitle_FL | A Study on the Aspect of Internal War Revealed in the Kyrgyz Heroic Epic 『Manas』 |
EISSN | 2671-9258 |
EndPage | 196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035166 NODE11130245 |
GroupedDBID | DBRKI GW5 TDB ACYCR |
ID | FETCH-LOGICAL-n655-b1a9e40d3d535e9e307a0a37fd184f1466dc14c241cabbddfbae7b07fb42a9113 |
ISSN | 2713-6493 |
IngestDate | Fri Sep 26 03:51:26 EDT 2025 Thu Feb 06 13:28:58 EST 2025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Keywords | 키르기스 internal war clan identity 내전 Manas 소수민족 영웅서사시 마나스 씨족 정체성 Kyrgyz ethnic minority heroic epic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n655-b1a9e40d3d535e9e307a0a37fd184f1466dc14c241cabbddfbae7b07fb42a9113 |
PageCount | 24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035166 nurimedia_primary_NODE11130245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2-08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2-08-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8 year: 2022 text: 2022-08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동서인문학 |
PublicationYear | 2022 |
Publisher |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소 |
Publisher_xml | – name: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name: 인문과학연구소 |
SSID | ssib049971522 ssib044734810 |
Score | 1.8165706 |
Snippet | 본고는 구비문학의 관점에서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서사시 『마나스』에 대한 독해를 시도하였다. 마나스는 전쟁영웅으로 그의 아버지와 주변 종족들이 계속해서 숨어 살며... |
SourceID | nrf nurimedia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173 |
SubjectTerms | 기타인문학 |
Title | 키르기스 영웅서사시 『마나스』에 드러난 ‘내전(內戰)’ 양상 연구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13024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71368 |
Volume | 63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동서인문학, 2022, 0(63), , pp.173-195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9258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4810 issn: 2713-6493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QxFB_aetCLKCrWjzKgAaXMOh9JJjnuzM5ShdZDK_YgLPO1IoWtlPbiQbZrC0XBDwRbcUEPlV566KGCf0-LHjrj_-BLsrM7rUWql-GRvI9f8maTl9nkRdNuiuOQJLWoEaapa-A4xUZkR8xwQprEzI1tKxb_6E5O0YkH-N4smR0ani7tWlpajCrxs2PPlfyPV6EM_CpOyf6DZ_tKoQBo8C88wcPwPJGPUVBDzEZVjAIPVQnygKgijyHPRIGPWBWqxgXFGUSMkvAQI7IOI-5LAuQV4UEJcDti8wMLpEoXMSYIYAIVhcqCpy41uoib44KJO1IlEHWpUokJlWo_RaFJoPRR1RQYbCgkAhKYCqiwBtBtXohwhZ4iLtEzsGuN96yKNkJjQdQvR9jSSB1ED7WS10S3iCb5kqghTgQPvGBgj9Hy9-aCX8JkAEppAMi4_I0EltfFDj31Vh9nBwA6yPMHBv_A3jcyGJJtWNIbFKs7HSupKqOuZXBbJaDvTQOW65QiCktdI3p0snJczMUJjInp4GFFoBa5ZKlT6QuXc4MfmbMPZQefi580Hs835hYasAa6K7JQO8SidFg7ZbuUims9Jp8HxSCLschnNIj5YMXrWiqrfr916oipxHfnGHQQhrUWIHo73VoSV1DAOFYKyWbOaWd7aym9qn4Y57WhufkL2qNfnc3s6-7B95385aaebyznn1bzlW7e2c5fdfX99utsay3rbEDlfvtNvv5Wz953s8_bWaer77U3ss5u_mXl1o_VrZ9rO7f32h_1_MO7_MWynq_vHHzbvqjN1IMZf8LoXSFitCghRmSFPMVm4iTEISlPYUILzdBxm4nFcBOCBBiQLBxDFBuHUZQkzShM3ch0mxG2QwgDnEvaSGu-lV7W9ATWPYTHGJtujBmhEUyFhHEz4YmYw5JR7QZ0ivTFX3wyqo31O63xVOWTaUzdrwUQcjhiF8SVE6m5qp0ZvObXtJHFhaX0OgTHi9GYdPZvWAGXjQ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2%A4%EB%A5%B4%EA%B8%B0%EC%8A%A4+%EC%98%81%EC%9B%85%EC%84%9C%EC%82%AC%EC%8B%9C+%E3%80%8E%EB%A7%88%EB%82%98%EC%8A%A4%E3%80%8F%EC%97%90+%EB%93%9C%EB%9F%AC%EB%82%9C+%E2%80%98%EB%82%B4%EC%A0%84%28%E5%85%A7%E6%88%B0%29%E2%80%99+%EC%96%91%EC%83%81+%EC%97%B0%EA%B5%AC&rft.jtitle=%EB%8F%99%EC%84%9C%EC%9D%B8%EB%AC%B8%ED%95%99%2C+0%2863%29&rft.au=%EC%9D%B4%EC%86%8C%EC%9C%A4&rft.date=2022-08-01&rft.pub=%EC%9D%B8%EB%AC%B8%EA%B3%BC%ED%95%99%EC%97%B0%EA%B5%AC%EC%86%8C&rft.issn=2713-6493&rft.eissn=2671-9258&rft.spage=173&rft.epage=195&rft_id=info:doi/10.37498%2FHSEW.2022.08.63.17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03516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13-6493&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13-6493&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13-6493&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