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청년참여기구’ 활동 경험의 교육적 의미

정부와 지자체는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청년을 정책 대상에서 정책 주체로 간주하기 시작하였다. 관이 주도하는 청년정책 전달체계안에 ‘청년참여기구’를 만들어 청년의 능동적 참여를 독려했다. 제주지역청년은 2017년부터 청년참여기구에서 활동하였지만, 청년들이 청년참여기구 활동을 통한 어떤 교육적 성장을 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는 2년 이상의 참여 경험을 지닌 제주지역 청년 6명을 대상으로 ‘청년참여기구’ 활동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는 청년정책에서 당사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평생학습사회 Vol. 20; no. 4; pp. 1 - 27
Main Authors 신효주(Hyojoo Shin), 김민호(Minho Kim), 바트나상 난딩토야(Nandintuya Batnas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11.2024
미래원격교육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24.11.20.4.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정부와 지자체는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청년을 정책 대상에서 정책 주체로 간주하기 시작하였다. 관이 주도하는 청년정책 전달체계안에 ‘청년참여기구’를 만들어 청년의 능동적 참여를 독려했다. 제주지역청년은 2017년부터 청년참여기구에서 활동하였지만, 청년들이 청년참여기구 활동을 통한 어떤 교육적 성장을 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는 2년 이상의 참여 경험을 지닌 제주지역 청년 6명을 대상으로 ‘청년참여기구’ 활동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는 청년정책에서 당사자로서의 주체성과 실천성,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는 정체성, 관 주도 행정체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성 등의 시민성을 학습하였다. 하지만 제주지역 청년이 청년참여기구를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청년참여기구 내 숙의 시간을 보다 확보하고,청년세대의 감수성을 세대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며, 누구나 참여 가능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이 요구되었다. 향후 민간 주도 청년단체 활동을 분석하여 이 연구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면, 제주지역 청년의 시민성 형성과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started to view youth as subjects ofpolicy rather than objects, in response to socioeconomic and democratic changes. They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among youth by establishing Youth ParticipationCommittees as part of the government-led youth policy delivery system. Since2017, young people on Jeju Island have actively engaged in these committees. However,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he educational benefits of their involvementin such committees. This study uses a phenomenological method to analyze the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activities of the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s forsix youths with over two years of participation experience on Jeju Island. Thefindings reveal that these youths, as stakeholders in youth policy, have learnedabout subjectivity and practice, identity to comprehend their differences, andcitizenship, leading to critical reflection on the government-led administrativesystem. Nevertheless, they must ensure adequate deliberation time within theYouth Participation Committees, understand the sensitivities of youth from agenerational perspective, and establish a cooperative governance that allows forinclusive participation to continue their development. Comparing these results withfuture analyses of private sector-led youth group activities could provide a more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youth citizenship of Jeju Island develops. KCI Citation Count: 0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24.11.2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