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 대상 국내 분수 중재 연구의 동향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수 중재 연구의 최근 동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분수 중재를 위한 구체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3년 사이에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수 중재 연구를 수집하여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이를 일반적인 연구 특성과 구체적인 중재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인 연구 특성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8년에 출판된 연구와 학술지 논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고학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40; no. 3; pp. 211 - 238
Main Authors 이형식(Lee, Hyeongshik), 홍정순(Hong, Jeongsun), 박진석(Park, Jinse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8.2024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4.08.40.3.211

Cover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수 중재 연구의 최근 동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분수 중재를 위한 구체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3년 사이에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수 중재 연구를 수집하여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이를 일반적인 연구 특성과 구체적인 중재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인 연구 특성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8년에 출판된 연구와 학술지 논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고학년, 1~3명,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 설계 방법으로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많이 활용하였고, 중재 충실도 평가는 실시한 연구가 많았지만, 유지와 일반화 평가는 실시하지 않은 연구가 더 많았다. 관찰자 간 신뢰도 평가와 사회적 타당도 평가는 실시한 연구와 그렇지 않은 연구의 수가 비슷하였다. 구체적인 중재 특성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장소는 교실, 중재자는 연구자, 집단 크기는 1:1, 중재 기간은 16~20회기, 중재 시간은 회기당 31~40분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중재 내용으로 분수의 의미는 측정, 중재 초점은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교육과정 내용은 분수의 이해와 분수의 크기 비교,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지도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중재 방법으로 길이 모델, 다양한 표상을 활용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 방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 도구를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분수 중재와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specific and useful information for fraction intervention by systematically reviewing recent trends in domestic fraction intervention research targeting struggling learners in mathematics. Method: We collected and analyzed 16 domestic fraction intervention studies from 2014 to 2023, focusing on general study and specific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regarding general research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any studies were published in 2018 and in academic journals. Second, many studies targeted upper elementary students, involved one to three participants, and selected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Third, a 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predominantly used as a research design method, with frequent intervention fidelity evaluations but fewer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evaluations.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 social validity evaluations were similarly distributed between conducted and non-conducted studies. The analysis of specific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classroom settings, with researchers as interventionists, utilizing 1:1 group size, 16 to 20 sessions, and 31 to 40 minutes per session. Second, many studies emphasized teaching the meaning of fractions through measurement concepts. The interventions focused on both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and covered curriculum content such as understanding fractions, comparing fractions, and adding and subtracting fractions. Third, as intervention methods, many studies employed length models and various representations. Fourth, many studies adopted evaluation tools developed by researcher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raction intervention and research for learners struggling in mathematics.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수 중재 연구의 최근 동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분수 중재를 위한 구체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3년 사이에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수 중재 연구를 수집하여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이를 일반적인 연구 특성과 구체적인 중재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인 연구 특성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8년에 출판된 연구와 학술지 논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고학년, 1~3명,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 설계 방법으로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많이 활용하였고, 중재 충실도 평가는 실시한 연구가 많았지만, 유지와 일반화 평가는 실시하지 않은 연구가 더 많았다. 관찰자 간 신뢰도 평가와 사회적 타당도 평가는 실시한 연구와 그렇지 않은 연구의 수가 비슷하였다. 구체적인 중재 특성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장소는 교실, 중재자는 연구자, 집단 크기는 1:1, 중재 기간은 16~20회기, 중재 시간은 회기당 31~40분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중재 내용으로 분수의 의미는 측정, 중재 초점은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교육과정 내용은 분수의 이해와 분수의 크기 비교,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지도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중재 방법으로 길이 모델, 다양한 표상을 활용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 방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 도구를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분수 중재와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specific and useful information for fraction intervention by systematically reviewing recent trends in domestic fraction intervention research targeting struggling learners in mathematics. Method: We collected and analyzed 16 domestic fraction intervention studies from 2014 to 2023, focusing on general study and specific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regarding general research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any studies were published in 2018 and in academic journals. Second, many studies targeted upper elementary students, involved one to three participants, and selected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Third, a 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predominantly used as a research design method, with frequent intervention fidelity evaluations but fewer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evaluations.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 social validity evaluations were similarly distributed between conducted and non-conducted studies. The analysis of specific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classroom settings, with researchers as interventionists, utilizing 1:1 group size, 16 to 20 sessions, and 31 to 40 minutes per session. Second, many studies emphasized teaching the meaning of fractions through measurement concepts. The interventions focused on both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and covered curriculum content such as understanding fractions, comparing fractions, and adding and subtracting fractions. Third, as intervention methods, many studies employed length models and various representations. Fourth, many studies adopted evaluation tools developed by researcher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raction intervention and research for learners struggling in mathematics.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이형식(Lee, Hyeongshik)
홍정순(Hong, Jeongsun)
박진석(Park, Jinseo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형식(Lee, Hyeongshik)
– sequence: 2
  fullname: 홍정순(Hong, Jeongsun)
– sequence: 3
  fullname: 박진석(Park, Jinseo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281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TE1LAkEYHsKgMn9CMJcuwW7zzszOzh7F7ItIKA_dlll3N5ZKQ-nQzdKDSFBB-UEoHexm0EH7Ue74H1rMw8Pz8HxtoFS5Ug4Q2gJiMpCC7R6f501KKDeJNHlimhRgBa1TYVMDCL9IJZoLYYC06RrK1GqRRzi3BXUoXUeubvXm732cQLenuvuCdWcSf470R10PJlgPW3H7bZE2Bjh-quvGA55Nv-PHCY5_m8kY69GrHo6x7v7MpmM96OH4uT_vfC3i5mATrYbquhZklpxGxf18MXdonBQOjnLZE6MsLGZ4ioQhd8ASDMCSqlSSwHngSFsFjPqgfN-TdokJEgQKiAU2D5QXKmmD9LllsTTa-b8tV0P3qhS5FRUt-LLiXlXd7FnxyE12jgACSXl7Wb6rRjeBHyn3NhGqeu-eFvbyAA6XtmDsD8rlgf8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31863/JSE.2024.08.40.3.211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Korean Research Trends on Fraction Interventions for Struggling Learners in Mathematics
DocumentTitle_FL Korean Research Trends on Fraction Interventions for Struggling Learners in Mathematics
EISSN 2672-104X
EndPage 23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96101
NODE11948763
GroupedDBID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53-ba0ff4915631158acc8144e987ae32d1addb87c360eea105174eabfa8718d4553
ISSN 2466-1872
IngestDate Sun Apr 20 03:10:41 EDT 2025
Thu Feb 06 13:29:40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Learning difficulty
분수
장애
Trend analysis
수학
Disabilities
Fraction
Mathematics
학습부진
동향분석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53-ba0ff4915631158acc8144e987ae32d1addb87c360eea105174eabfa8718d4553
PageCount 2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96101
nurimedia_primary_NODE1194876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8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8-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4
  text: 2024-0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특수교육논총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특수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name: 특수교육연구소
SSID ssib044762922
ssib031948378
Score 1.8913064
Snippe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수 중재 연구의 최근 동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분수 중재를 위한 구체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11
SubjectTerms 교육학
Title 수학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 대상 국내 분수 중재 연구의 동향 분석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4876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2817
Volume 4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특수교육논총, 2024, 40(3), , pp.211-23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2-104X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62922
  issn: 2466-187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V3Na9RAFA-1HvQiior1owR0TkvWTDLJzhzzVWqh9WCF3kKSzYoUtlLaiweptodSBBW0H8gWD_VWwUPrn-Af003_B9-8yaa76yLVg4cNk5k3v_fmvSHzXnbyRtMeOFkmk5g3jZZLIUBJ0sRIBaOGlbkiTWgTllz5ofDsnDv9lM0sOAtj4z_7di2trqT17OXI70r-xapQB3aVX8n-hWUrUKiAMtgXrmBhuJ7LxiQKCOdEcBKFRDhEQITfK2GbR3xHFkSDCLOGJZf4jEQ-8UziMazx5W4HWQihSRFFEhaIAECwIUwbCGvYGJQdoYpTqEJuXohtlsLyie8SzipBER74Clry8YJaKaBv9hCCUhokB6wpZB1K2T1nCBSgwn4HW9LJYYs-3SCqUGME7hRBHeIjH18iyInGTHC2-987VzpB3lyqQGL6SK_UA2rkg-NWOqn0VbKu9bAClN5EsX6nRmMI80wA6G6XApedKu0NsxgQPJQtPERysyc4l6P_T4IryyhDAhQfNS3RsnxwDsKtZBVioRpT-VbKYtWeSPUcOZ-xR80uDhMoOFsELea6BuXqeKd6rurchgXug9rZWy28tM-Hs1TGoGH3ANYvV-YpmXkS1aXQMnkvg-p61bs_HfuQmzSQkH0xex4_W4oXl2MIOx_FMkiBOIRe0C5a4F3II2RmX0W9dQ1WOTy3oXfPGNAI_IOzGp76uBAFfDhKPHB928vgMV9qr8pjP2Dt6HOD569qV8r4VffUw-iaNra4dF2Li83d0097OvyKreNi571ebB91vxwUn9eKzpFe7G92tz5i63pH775dK9Zf6yfH37pvjvTujw3orBcHH4r9Q73Y-X5yfFh0dvXuu73T7a_YvNG5oc1PRfPBtFGe3GK0Xcc20sRstZigjitzefEkyzhlLBe8keS21aTgU6W8kdmumecJxWT5eZK2Eg6OcpM5jn1TG28vtfNbmt6ybGhhmUmbOUsgmuNuzprgZrTMTO4ymNDug17QHn-wy4Q2WektfqHS-MRzj8OIStOAi3X7XDB3tMtnc_2uNr6yvJrfg5hkJZ1Eg_8CoVfpY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8%98%ED%95%99+%ED%95%99%EC%8A%B5%EC%97%90+%EC%96%B4%EB%A0%A4%EC%9B%80%EC%9D%B4+%EC%9E%88%EB%8A%94+%ED%95%99%EC%83%9D+%EB%8C%80%EC%83%81+%EA%B5%AD%EB%82%B4+%EB%B6%84%EC%88%98+%EC%A4%91%EC%9E%AC+%EC%97%B0%EA%B5%AC%EC%9D%98+%EB%8F%99%ED%96%A5+%EB%B6%84%EC%84%9D&rft.jtitle=%ED%8A%B9%EC%88%98%EA%B5%90%EC%9C%A1%EB%85%BC%EC%B4%9D%2C+40%283%29&rft.au=%EC%9D%B4%ED%98%95%EC%8B%9D%28%EB%8B%A8%EA%B5%AD%EB%8C%80%ED%95%99%EA%B5%90+%EC%9D%BC%EB%B0%98%EB%8C%80%ED%95%99%EC%9B%90&rft.au=%EA%B3%A1%EB%B0%98%EC%A4%91%ED%95%99%EA%B5%90%29&rft.au=%ED%99%8D%EC%A0%95%EC%88%9C%28%EB%8B%A8%EA%B5%AD%EB%8C%80%ED%95%99%EA%B5%90+%EC%9D%BC%EB%B0%98%EB%8C%80%ED%95%99%EC%9B%90&rft.au=%EC%84%9C%EC%9A%B8%ED%95%99%EC%8A%B5%EB%8F%84%EC%9B%80%EC%84%BC%ED%84%B0%29&rft.date=2024-08-01&rft.pub=%ED%8A%B9%EC%88%98%EA%B5%90%EC%9C%A1%EC%97%B0%EA%B5%AC%EC%86%8C&rft.issn=2466-1872&rft.eissn=2672-104X&rft.spage=211&rft.epage=238&rft_id=info:doi/10.31863%2FJSE.2024.08.40.3.21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59610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466-187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466-187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466-187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