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신경근차단술의 효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하부 경추의 퇴행성 추간판 변성으로 인한 골극으로 신경공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상지 방사통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추간공 신경근차단술 후 추시 경과 및 그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상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140명 중 약물및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었던 73명에게 초음파 유도하 추간공 신경근차단술을 시행하였다. 그 중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으로 확인된 46명과 연성 추간판 탈출증 27명을 대상...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8; no. 2; pp. 133 - 14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4.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3.58.2.133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하부 경추의 퇴행성 추간판 변성으로 인한 골극으로 신경공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상지 방사통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추간공 신경근차단술 후 추시 경과 및 그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상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140명 중 약물및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었던 73명에게 초음파 유도하 추간공 신경근차단술을 시행하였다. 그 중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으로 확인된 46명과 연성 추간판 탈출증 27명을 대상으로, 6주 후 추시하여 통증의 호전이 50% 이상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50% 이상 호전이 있는 경우에서 환자가 원할 경우 2–3차례 추가 시술을 시행하였다. 효과 평가는 시술 전, 시술 후1주 및 시술 후 12주 때 통증호전 정도와 경부 기능적 향상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시술 과정과 직후, 다음 날까지 발생한 부작용을조사하여 시술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방사통 환자군에서 통증호전은 시술 전 6.16점에서 시술 후 12주 2.80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시술후 증상의 재발 및 악화된 환자수 19명(41.3%), 증상 재발현 시점 평균 17.41주, 경추 전방고정술 시행 환자 5명(10.9%)으로 최종추시까지 41명(89.1%)에서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호전되었으며, 이 중 24명(52.2%)은 추가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받았다. 연성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통증호전은 시술 전 6.31점에서 시술 후 12주 2.79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시술 후 증상의 재발 및 악화된환자수는 9명(33.3%), 증상 재발현 시점은 평균 11.65주, 경추 전방고정술 시행 환자는 1명(3.7%)이었다.
결론: 퇴행성 경추 골극에 의한 상지 방사통 환자에서 신경근차단술은 통증증상의 재발이 많고, 수술적 치료의 비율이 높으나, 연성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같이 통증에 유의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퇴행성 경추 골극으로 인한 방사통 환자에서 초음파하 추간공 신경근차단술은 고려할 수 있는 보존적 요법 중 하나로 판단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up progress and the usefulness of treating transforaminal nerve root block using ultrasound in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caused by the osteophytes of spondylo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6 to January 2021, among 140 patients who presented with cervical radiculopathy, 73 who did not improve with conservative treatment were treated with an ultrasound-guided transforaminal nerve root block. The subjects comprised 46 confirmed cases of spondylotic radiculopathy caused by osteophytes and 27 cases of soft disc herniation.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if the pain did not improve by more than 50% after a six-week follow-up. If 50% or more improvement was achieved, additional procedures were performed an extra two–three times at the patient’s discre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dure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pain and functional improvement before, after, and 12 weeks after the procedure. The safety of the procedure was evaluated by examining the side effects that occurred during, immediately after, and the day after the procedure. Additional procedures or surgeries were checked at the last follow-up of more than one year.
Results: Among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the degree of pain decreased from 6.16 to 2.80. Nineteen patients (41.3%) showed symptom recurrence, and the average recurrence duration was 17.41 weeks. Five patients (10.9%)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Until the final follow-up, 41 patients (89.1%) improved without surgery, and 24 (52.2%) received additional conservative treatment. Among soft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the degree of pain decreased from 6.31 to 2.79. Nine patients (33.3%) showed symptom recurrence, and the average recurrence duration was 11.65 weeks. One patient (3.7%)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caused by osteophytes, a transforaminal root block showed significant pain improvement similar to soft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Therefore, ultrasound-guided transforaminal root block can be considered a conservative treatment method for patients with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caused by osteophyt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3.58.2.133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3.58.2.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