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오페라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형 특성 연구

본 연구는 유형연구로서, 한국오페라에 나타난 인물을 대상으로 한다. 이 중에서여성의 인물 유형과 관련된 서사구조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특성과 전개양상을 분석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오페라에서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존재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오페라 소재 선택의 다변화를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 이론적인 관점에서 한국오페라의 여성 인물이 재현되는 형태를 유형화했다. 현재 한국오페라의 인기가 높지 않은 원인 중 하나로 진부한 소재에 따른 평면적인 서사 전개가 꼽히고 있다. 때문에 등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문화콘텐츠연구 no. 25; pp. 105 - 132
Main Author 손수연(Sohn, Sooyeo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01.08.2022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2256
2671-7026
DOI10.34227/tjocc.2022..25.1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유형연구로서, 한국오페라에 나타난 인물을 대상으로 한다. 이 중에서여성의 인물 유형과 관련된 서사구조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특성과 전개양상을 분석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오페라에서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존재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오페라 소재 선택의 다변화를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 이론적인 관점에서 한국오페라의 여성 인물이 재현되는 형태를 유형화했다. 현재 한국오페라의 인기가 높지 않은 원인 중 하나로 진부한 소재에 따른 평면적인 서사 전개가 꼽히고 있다. 때문에 등장인물의 유형또한 정형화 되어 나타나는데 특히 남성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한국오페라에서 여성인물은 더욱 피상적이며 전근대적 형태로 재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양 오페라에등장한 여성의 인물유형을 희생자. 방해자, 보조자, 구원자 등 4개 유형으로 나누고우리 오페라와 대조했을 때, 한국오페라의 여성 인물유형은 희생자, 보조자 등 2개유형으로만 분류되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첫 번째 유형인 희생자형은 유교이념이 강하게 작용하는 우리 오페라에서 열녀 혹은 효녀 프레임에 따른 억압으로볼 수 있고, 자신을 철저히 희생하지 않는 여성 인물들은 대부분 남성 인물의 보조자나 주변인에 그치는 것을 한국오페라 여성 인물의 두 번째 유형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국오페라 속 여성도 개성과 주체성을 표출할 수 있는 진취적 인물로 형상화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 같은 변화는 제재의 다변화와 다각화 경향과도연관이 있다. 또한 페미니즘적인 시각에서도 현대 오페라로서 공감할만한 시대정신을 담아내기 시작한 것이라고 파악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아본 한국오페라 여성인물의 유형 특성이 향후 한국오페라 발전에 전향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기대한다. As a tangible study, this study is targeting people who appeared in theKorean Contemporary Opera. Among them, the purpose is to find newpossibilities by identifying the types of female characters and related narrativestructures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Koreanopera, analyzing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centering on female charactersis considered a necessary task to diversify the selection of opera materials. To this end, from a feminist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forms of femalecharacters are reproduced in the Korean opera was classified. One of thereasons for the lack of popularity of Korean opera is the flat narrativedevelopment based on the selection of clichéd materials. Therefore, the typeof character also shows a stereotyped pattern, and in particular, which hasbeen centered on men, it can be seen that female characters are moresuperficial and reproduced in pre-modern forms. When Western opera,which is divided into four types of female characters as victims, obstructors,assistants, and saviors, was compared to Korean opera, the female charactersof Korean opera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victims and assistants,showing different patterns. The first type, victims can be seen as oppressionaccording to the frame of a virtuous woman or filial daughter in our opera,where Confucian ideology works strongly, and as the second type, most female characters who do not sacrifice themselves are only assistants or justneighbors of male characters. However, in recent years, women in theKorean opera have also tended to be portrayed as enterprising people whocan express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These changes are also related tothe tendency of diversification and multilaterality of sanctions. In addition,from a feminist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modern opera has begun tocapture the spirit of the times that can be sympathized. It is hoped that thechange in the type of female Korean opera characters examined through thisstudy will have a forward-looking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Contemporary opera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0
ISSN:2287-2256
2671-7026
DOI:10.34227/tjocc.2022..25.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