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차량 테마 공유 모바일 앱 서비스 제안 :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서는 차량의 내부 공간이 ‘운전’ 이외에 다양한 행위들이 가능한 생활공간으로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완전 자율주행차의 내부 공간의 가변적 설계가 가능하고 탑승자는 운전 이외의 행위들을 통해 새로운 주행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율주행 기술에 따른 변화가 예견됨에 따라 그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자율주행차의 내부 공간에서도 탑승자에게 긍정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중 하나인...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3; no. 10; pp. 1997 - 200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0.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2.23.10.1997 |
Cover
Summary: |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서는 차량의 내부 공간이 ‘운전’ 이외에 다양한 행위들이 가능한 생활공간으로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완전 자율주행차의 내부 공간의 가변적 설계가 가능하고 탑승자는 운전 이외의 행위들을 통해 새로운 주행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율주행 기술에 따른 변화가 예견됨에 따라 그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자율주행차의 내부 공간에서도 탑승자에게 긍정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중 하나인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에 기초하여 심층 인터뷰, 페르소나, 유저 시나리오, 컨셉 도출 방법론, 프로토타입 구현 등 단계별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 수동 운전 환경에서 벗어나 맞춤형 자율주행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fully automated vehicles, drivers can engage in multiple non-driving related tasks. The autonomous vehicle will no longer have to be equipped with manual controls such as pedals and a steering wheel. The obvious interior changes in the autonomous vehicles will make drivers have more freedom for other non-driving related tasks. As the degree of automation increases, drivers will have some new mobility experience, and the appropriate service design need to be made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new in-vehicle service idea that will provide a positive mobility experience for passengers while self-driving. In this study,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model was employed to identify and analyze specific user needs and requirements, and, as a result, we suggest a conceptual design for theme-sharing mobile application for the autonomous vehicl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2.23.10.1997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2.23.10.19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