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외 3D 광고 콘텐츠 제작 기법에 대한 연구

실내외에서 표현되는 디지털 광고는 기존의 2D 방식에서 몰입감을 주는 3D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3D 광고는 3D로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영상화하여, 건물 모서리 두 면에 설치된 대형 LED 장치를통해 광고하는 방식과 실내에서 활용되는 3D 홀로그램 프로젝터 방식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사용되는 3D 홀로그램 프로젝터와 실외에서 활용되는 LED 기반 3D 콘텐츠의 제작과정을 연구하고, 3D 디지털 광고 콘텐츠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제작 방법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실내에서3D 효과를 제공하는 홀로그램 프로젝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9; no. 9; pp. 137 - 144
Main Author 이병권(Byong-Kwo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9.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4.29.09.13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실내외에서 표현되는 디지털 광고는 기존의 2D 방식에서 몰입감을 주는 3D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3D 광고는 3D로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영상화하여, 건물 모서리 두 면에 설치된 대형 LED 장치를통해 광고하는 방식과 실내에서 활용되는 3D 홀로그램 프로젝터 방식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사용되는 3D 홀로그램 프로젝터와 실외에서 활용되는 LED 기반 3D 콘텐츠의 제작과정을 연구하고, 3D 디지털 광고 콘텐츠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제작 방법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실내에서3D 효과를 제공하는 홀로그램 프로젝터 콘텐츠는 장치의 해상도가 낮아 복잡한 콘텐츠 구현이 어렵지만,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운영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했다. 반면, LED 기반 3D 광고 콘텐츠는고해상도로 제작되어 콘텐츠 제작 시간과 하드웨어 설치비용이 많이 들지만, 복잡한 콘텐츠도 쉽게표현할 수 있고, 입체효과로 인해 가시성이 극대화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3D 광고 콘텐츠를제작할 때는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해야 3D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3D 빌보드 형태의 실외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때는 설치된 건물의 형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Digital advertising, both indoors and outdoors, is evolving from traditional 2D formats to more immersive 3D forms. 3D advertising involves creating 3D content and displaying it through large LED installations on two sides of a building's corner, or using 3D hologram projectors indoors. This study examines the production process of 3D hologram projectors used indoors and LED-based 3D content used outdoors, analyzing potential issues and considerations when creating 3D digital advertising content. The findings reveal that while indoor hologram projector content provides 3D effects, the low resolution of the devices makes it challenging to implement complex content. However, they are cost-effective and easy to operate. On the other hand, LED-based 3D advertising content, produced in high resolution, requires more time for content creation and incurs higher hardware installation costs. Despite this, it effectively represents complex content and maximizes visibility due to its enhanced 3D effects. In conclusion, it is crucial to create tailored content that matches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device to maximize 3D effects in advertising. Specifically, when producing 3D billboard-style outdoor advertising content,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on which it will be installed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4.29.09.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