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원 버퍼 탱크와 인버터 펌프를 이용하여 지중 순환수 유량 및 열원 입구온도를 제어하는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본 연구는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원측 지중 순환루프에 버퍼탱크를 설치하고 변유량 지중 순환펌프를 조건에 따라 가동하여 ① 순환수 유량을 조절하고 ② 버퍼탱크 내 난류충돌을 유도하여 순환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운전정지 후 재가동시 피크부하를 줄이고 EWT를 낮게(냉방 시) 또는 높게 (난방 시) 유지하여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기존 시스템과(베이스 시스템: 정유량 지중 순환펌프, 열원 버퍼 탱크 미설치) 비교하였을 때 신규 시스템의 냉난방 성능은 다음과 같다. (1) 베이스...
Saved in:
| Published in | 설비공학 논문집, 35(8) Vol. 35; no. 8; pp. 412 - 420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설비공학회
01.08.2023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6422 2465-7611 |
| DOI | 10.6110/KJACR.2023.35.8.412 |
Cover
| Abstract | 본 연구는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원측 지중 순환루프에 버퍼탱크를 설치하고 변유량 지중 순환펌프를 조건에 따라 가동하여 ① 순환수 유량을 조절하고 ② 버퍼탱크 내 난류충돌을 유도하여 순환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운전정지 후 재가동시 피크부하를 줄이고 EWT를 낮게(냉방 시) 또는 높게 (난방 시) 유지하여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기존 시스템과(베이스 시스템: 정유량 지중 순환펌프, 열원 버퍼 탱크 미설치) 비교하였을 때 신규 시스템의 냉난방 성능은 다음과 같다.
(1) 베이스 시스템 vs. VF 시스템: 냉방 실험 결과 지중 순환펌프가 변유량으로 제어되어 순환수 유량이 31% 줄어들면 지중 순환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56% 줄어들고 열원 입출구 온도차는 2℃ 정도 상승하였다. 난방 실험 결과 순환수 유량이 44% 줄어들면 지중 순환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68% 줄어들고 열원 입출구 온도차는 2.2℃ 정도 상승하였다.
(2) 베이스 시스템 vs. CF+BT 시스템: 냉방 실험 결과 실험 초기에는 CF+BT 시스템의 EWT는 베이스 시스템의 EWT와 유사하였으나 버퍼탱크 및 지중열교환기를 통과한 지중순환수가 히트펌프에 유입되면서 결국 베이스 시스템의 EWT보다 2℃ 정도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방 실험 결과 베이스 시스템의 EWT보다 1.3~1.5℃ 정도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베이스 시스템 vs. VF+BT 시스템: 냉방 실험 결과 변유량 제어로 순환수 유량이 33% 줄어들면 지중 순환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58% 줄어들고 열원 입출구 온도차는 2℃ 정도 상승하였으며 지중 순환수가 버퍼탱크에 유입되면서 EWT는 2℃ 정도 낮아졌다. 따라서 VF+BT 시스템의 히트펌프는 압축비가 줄어들어 히트펌프 평균 소비전력은 평균 7.4% 낮아졌다. 최종적으로 VF+BT시스템의 시스템 평균 냉방 소비전력은 베이스 시스템 대비 15.8% 줄어들었고 평균 냉방 시스템 COP는 21.7% 향상되었다.난방 실험 결과 순환수 유량이 44% 줄어들면 지중 순환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68% 줄어들고 열원 입출구 온도차는 2.5℃ 정도 상승하였다. 지중 순환수가 버퍼탱크에 유입되면서 EWT는 1.5℃ 정도 높아졌다. 따라서 VF+BT 시스템의 히트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평균 0.3% 낮아졌다. 최종적으로 VF+BT시스템의 시스템 평균 난방 소비전력은 베이스 시스템 대비 8.4% 줄어들었고 평균 난방 시스템 COP는 14.5% 향상되었다.
Table 2의 초기 온도로 베이스 시스템 가동을 시작한 후 실내 설정온도를 만족하여 시스템이 일시 가동 정지할 때까지 보통 2시간 정도 소요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 시간을 2시간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냉난방 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난 VF+BT 시스템을 계절과 부하 조건을 달리하여 장기간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VF+BT 시스템은 간헐 운전 시 강점이 있으므로 봄 가을철 현실적인 부분부하 조건에서 2달 이상 연속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본 시스템의 열원 버퍼탱크는 지중 순환수의 난류 충돌을 유도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자 하나, 축열탱크(Thermal Energy Storage)의 성층화가 열원 기기의 냉난방 효율 향상에 더 유리하다는 점을 차용하여 열원 버퍼 탱크의 성층화에 대한 연구개발도 진행할 예정이다. A new geothermal heat pump system that could control ground loop flow rate was developed by installing a variable volume ground loop pump. It could manage ground loop water temperature by installing a ground loop buffer tank to maintain water temperature within a fixed range by promoting turbulence crossflow. This new system could minimize peak loads when resuming operations after a pause. It could increase the system's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by lowering the EWT during cooling and raising the EWT during heating. This new system consumes 15.8% less electricity than the base system for cooling and increases the cooling system's COP by an average of 21.7%. Additionally, it consumes 8.4% less electricity than the base system for heating and increases the heating system's COP by an average of 14.5%. KCI Citation Count: 0 |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원측 지중 순환루프에 버퍼탱크를 설치하고 변유량 지중 순환펌프를 조건에 따라 가동하여 ① 순환수 유량을 조절하고 ② 버퍼탱크 내 난류충돌을 유도하여 순환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운전정지 후 재가동시 피크부하를 줄이고 EWT를 낮게(냉방 시) 또는 높게 (난방 시) 유지하여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기존 시스템과(베이스 시스템: 정유량 지중 순환펌프, 열원 버퍼 탱크 미설치) 비교하였을 때 신규 시스템의 냉난방 성능은 다음과 같다.
(1) 베이스 시스템 vs. VF 시스템: 냉방 실험 결과 지중 순환펌프가 변유량으로 제어되어 순환수 유량이 31% 줄어들면 지중 순환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56% 줄어들고 열원 입출구 온도차는 2℃ 정도 상승하였다. 난방 실험 결과 순환수 유량이 44% 줄어들면 지중 순환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68% 줄어들고 열원 입출구 온도차는 2.2℃ 정도 상승하였다.
(2) 베이스 시스템 vs. CF+BT 시스템: 냉방 실험 결과 실험 초기에는 CF+BT 시스템의 EWT는 베이스 시스템의 EWT와 유사하였으나 버퍼탱크 및 지중열교환기를 통과한 지중순환수가 히트펌프에 유입되면서 결국 베이스 시스템의 EWT보다 2℃ 정도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방 실험 결과 베이스 시스템의 EWT보다 1.3~1.5℃ 정도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베이스 시스템 vs. VF+BT 시스템: 냉방 실험 결과 변유량 제어로 순환수 유량이 33% 줄어들면 지중 순환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58% 줄어들고 열원 입출구 온도차는 2℃ 정도 상승하였으며 지중 순환수가 버퍼탱크에 유입되면서 EWT는 2℃ 정도 낮아졌다. 따라서 VF+BT 시스템의 히트펌프는 압축비가 줄어들어 히트펌프 평균 소비전력은 평균 7.4% 낮아졌다. 최종적으로 VF+BT시스템의 시스템 평균 냉방 소비전력은 베이스 시스템 대비 15.8% 줄어들었고 평균 냉방 시스템 COP는 21.7% 향상되었다.난방 실험 결과 순환수 유량이 44% 줄어들면 지중 순환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68% 줄어들고 열원 입출구 온도차는 2.5℃ 정도 상승하였다. 지중 순환수가 버퍼탱크에 유입되면서 EWT는 1.5℃ 정도 높아졌다. 따라서 VF+BT 시스템의 히트펌프의 평균 소비전력은 평균 0.3% 낮아졌다. 최종적으로 VF+BT시스템의 시스템 평균 난방 소비전력은 베이스 시스템 대비 8.4% 줄어들었고 평균 난방 시스템 COP는 14.5% 향상되었다.
Table 2의 초기 온도로 베이스 시스템 가동을 시작한 후 실내 설정온도를 만족하여 시스템이 일시 가동 정지할 때까지 보통 2시간 정도 소요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 시간을 2시간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냉난방 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난 VF+BT 시스템을 계절과 부하 조건을 달리하여 장기간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VF+BT 시스템은 간헐 운전 시 강점이 있으므로 봄 가을철 현실적인 부분부하 조건에서 2달 이상 연속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본 시스템의 열원 버퍼탱크는 지중 순환수의 난류 충돌을 유도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자 하나, 축열탱크(Thermal Energy Storage)의 성층화가 열원 기기의 냉난방 효율 향상에 더 유리하다는 점을 차용하여 열원 버퍼 탱크의 성층화에 대한 연구개발도 진행할 예정이다. A new geothermal heat pump system that could control ground loop flow rate was developed by installing a variable volume ground loop pump. It could manage ground loop water temperature by installing a ground loop buffer tank to maintain water temperature within a fixed range by promoting turbulence crossflow. This new system could minimize peak loads when resuming operations after a pause. It could increase the system's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by lowering the EWT during cooling and raising the EWT during heating. This new system consumes 15.8% less electricity than the base system for cooling and increases the cooling system's COP by an average of 21.7%. Additionally, it consumes 8.4% less electricity than the base system for heating and increases the heating system's COP by an average of 14.5%. KCI Citation Count: 0 |
| Author | 박종갑(Jong Gab Park) 김선혜(Sean Hay Kim) 신정수(Jeong Soo Shin)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박종갑(Jong Gab Park) – sequence: 2 fullname: 김선혜(Sean Hay Kim) – sequence: 3 fullname: 신정수(Jeong Soo Shin)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8477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tkMtKw0AYhQdRsFafwM1s3AiJM5PJZLIs9VYVC9J9mJhEgtpKiwt3ii3Uege1rcbLQlGhC5UKLnwiM_MORtvV-Tl85_xwRsBgsVT0ARjHSGcYo6nFhUx2RSeIGLph6lynmAyAFKHM1KwEGAQpTIitMUrIMBirVEIXIYypTW2SAley2ZU3ZzD-qKrjb6j239VeR7Z3obz9-vOqb1CdHKmLavz0nXhdef2qLluy2YHyeVc-nkNZj1S7JestKKOH-P4Axm-nsF8q72o_nx3ZeolPe_mHSF51k3zcuPjPN7tQ3dVV46v3A8rDSDYeVS0aBUOB2Kj4Y31Ng8LsTCE7ry3l53LZzJJWZCbWhBcwYZkBtnxBqcVsI-Autz0uKOPEcCliq57pUd9yqW1j4TGXYoMzRHliEmGkwWSvtlgOnPXV0CmJ8F_XSs562cmsFHIORoTbFPEEnujD2-Vw0_dC4WwlhyjvOMv56ZlkUo45w8YvLAGmbw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DBRKI TDB ACYCR |
| DOI | 10.6110/KJACR.2023.35.8.412 |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누리미디어 DBpia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ocumentTitleAlternate | Geothermal Heat Pump System that Controls Ground Loop Flow Rate and EWT Using Ground Loop Buffer Tank and Inverter Pump |
| DocumentTitle_FL | Geothermal Heat Pump System that Controls Ground Loop Flow Rate and EWT Using Ground Loop Buffer Tank and Inverter Pump |
| EISSN | 2465-7611 |
| EndPage | 420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289408 NODE11481861 |
| GroupedDBID | .UV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TDB ACYCR |
| ID | FETCH-LOGICAL-n651-adf6a75f17ea447693f8b89d8a46823b406cd5d4e7b4991ad6b41386048d4e2a3 |
| ISSN | 1229-6422 |
| IngestDate | Thu May 30 20:50:03 EDT 2024 Thu Feb 06 13:26:55 EST 2025 |
| IsPeerReviewed | true |
| IsScholarly | true |
| Issue | 8 |
| Keywords | Ground loop pump(열원 순환펌프) EWT control(열원 입구온도 제어) Flow rate control(유량 제어) Ground loop buffer tank(열원 버퍼탱크) Geothermal heat pump system(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n651-adf6a75f17ea447693f8b89d8a46823b406cd5d4e7b4991ad6b41386048d4e2a3 |
| Notes | http://journal.auric.kr/kjacr |
| PageCount | 9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289408 nurimedia_primary_NODE11481861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3-08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3-08-0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8 year: 2023 text: 2023-08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설비공학 논문집, 35(8) |
| PublicationYear | 2023 |
| Publisher | 대한설비공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대한설비공학회 |
| SSID | ssib001149492 ssib001106820 ssib044760736 ssib036278689 ssib006781537 ssib053377000 |
| Score | 2.2411206 |
| Snippet | 본 연구는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원측 지중 순환루프에 버퍼탱크를 설치하고 변유량 지중 순환펌프를 조건에 따라 가동하여 ① 순환수 유량을 조절하고 ② 버퍼탱크 내... |
| SourceID | nrf nurimedia |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 StartPage | 412 |
| SubjectTerms | 기계공학 |
| Title | 열원 버퍼 탱크와 인버터 펌프를 이용하여 지중 순환수 유량 및 열원 입구온도를 제어하는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48186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84774 |
| Volume | 35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설비공학 논문집, 2023, 35(8), , pp.412-420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465-7611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60736 issn: 1229-642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La9RAOJR60IsoKtZHCeicyq55zCQzxyTdtVZaQSr0tiSbXZHCVkp78SAVW6j1UYXabnWtPVRU6KHKCj30F7mT_-A3M9ls-kCql_Dx5XvPJPN9wzw07aZRhVzIJtB5KQsLOAaIVR2nYMU1k1A7omYo5jvGxp2RB3h0kkz29d_OrVqam42K1SfH7iv5n1YFHLSr2CX7Dy2bCQUEwNC-8IQWhueJ2hiVAsRc5GMJ-IgZQ6jkI99CFFDDiA4jPxiSkI18UwIm8gJJzhAV5AABFT3Ih5FvKL4SooEAGJbvfOQRJVPxKc0e8pgkIojR1ChPEXmuWEshAIyYKVGUIqZkspRcYKiSCYSGUMPKiDLljYFoeehYVwEC-wgqecgnXb8o8qQ3tHzEYhDNFJEjJWUWA7UHLh60WKqTURBaqAyHJ0N1OC7KLT8VDkSeCiMID_LZv3yL5Vvwi0n7QKItrE-NUT5TYbK0PZAKpVXMFN-DTaAmoLkJnDRGwCzIrG48AGP2SDypzugaYEh1tGueJJEeeEY3TiRrmPzEkGVnyxLVpyytDaRo5UBwEicl4AFjbky0xAoprLaPF2sSZ2GHFFwnHSfV2IfT9fAqjcJyj-ORERpYxJLWu6NecL8orC7apEiLGW_-PPRDecqBE9Gnqo8qD6crUzMVqPvuVESazLDY9H_KguFd3OEy9rTUqwtMw8mfC2ma4lCmXl4PGRuM_FkeDkmdS53eNQwYuw4MhVneDiWS6xpye1sWHHWimXDv1jHOQebamIGE93RjTtzaAb_-XBY7cU47m5afuqf-Jee1vqnpC9oaX2_zj2_1zs-F5PW-njz_kTzb4RvzOv-0J3ALu3ry5lWyutD5sg-4Nv_wPXnf5Os7Ov86z7ff6XyplWw0-VJT562tzucXemd3RU-F8s3F3792ePNbZ0Xxb7X4Whv4O8urkn-9rSebS8nyntKh85ctvrydLLYuahPl0kQwUkjvayk0HGIWwrjuhC6pm24tFBFjdp1GlMU0xBB8O4LSoRqTGNfcCENVGsZOBBk0dSCHAKQV2pe0_sZ0o3ZZ07FjxCALxziOMIkIq4ZRZMRmXGc1q05qA9oNCKfsBH_pDAPaYBbuymN1eE9l_N5wScwBmdQxr5xIzFXtTO_zuqb1z87M1a5DJTIbDcpe9gdm5AC9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7%B4%EC%9B%90+%EB%B2%84%ED%8D%BC+%ED%83%B1%ED%81%AC%EC%99%80+%EC%9D%B8%EB%B2%84%ED%84%B0+%ED%8E%8C%ED%94%84%EB%A5%BC+%EC%9D%B4%EC%9A%A9%ED%95%98%EC%97%AC+%EC%A7%80%EC%A4%91+%EC%88%9C%ED%99%98%EC%88%98+%EC%9C%A0%EB%9F%89+%EB%B0%8F+%EC%97%B4%EC%9B%90+%EC%9E%85%EA%B5%AC%EC%98%A8%EB%8F%84%EB%A5%BC+%EC%A0%9C%EC%96%B4%ED%95%98%EB%8A%94+%EC%A7%80%EC%97%B4+%ED%9E%88%ED%8A%B8%ED%8E%8C%ED%94%84+%EC%8B%9C%EC%8A%A4%ED%85%9C&rft.jtitle=%EC%84%A4%EB%B9%84%EA%B3%B5%ED%95%99+%EB%85%BC%EB%AC%B8%EC%A7%91%2C+35%288%29&rft.au=%EB%B0%95%EC%A2%85%EA%B0%91&rft.au=%EA%B9%80%EC%84%A0%ED%98%9C&rft.au=%EC%8B%A0%EC%A0%95%EC%88%98&rft.date=2023-08-01&rft.pub=%EB%8C%80%ED%95%9C%EC%84%A4%EB%B9%84%EA%B3%B5%ED%95%99%ED%9A%8C&rft.issn=1229-6422&rft.eissn=2465-7611&rft.spage=412&rft.epage=420&rft_id=info:doi/10.6110%2FKJACR.2023.35.8.41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289408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6422&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6422&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6422&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