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서제시조건과 의미유형에 따른 언어발달장애아동의 다의어 이해능력

연구목적: 학령기가 되면 동음이의어나 다의어처럼 두 가지 이상의 다중적인 의미를 가진 어휘나 문장을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의어 의미유형(중심의미, 주변의미)에 따른 다의어 이해능력 양상과 다의어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의단서와 문맥단서를 비교함으로써 학령기 언어발달장애아동의 다의어 이해 및 습득에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4~5학년 언어발달장애아동 12명,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18개의 다의어를 선정하여 정의단서, 문맥단서에 따른 과제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40; no. 4; pp. 105 - 121
Main Authors 김유림(Yurim, Kim), 심지(Ji, Sim), 이은주(Eunju,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11.2024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4.11.40.4.1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학령기가 되면 동음이의어나 다의어처럼 두 가지 이상의 다중적인 의미를 가진 어휘나 문장을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의어 의미유형(중심의미, 주변의미)에 따른 다의어 이해능력 양상과 다의어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의단서와 문맥단서를 비교함으로써 학령기 언어발달장애아동의 다의어 이해 및 습득에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4~5학년 언어발달장애아동 12명,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18개의 다의어를 선정하여 정의단서, 문맥단서에 따른 과제를 제작하였다. 본 실험은 아동에게 연습문항 2개를 제시한 후 문장을 읽고 답지에서 같은 의미를 가진 다의어를 찾도록 하였다. 이후 단서제시조건에 따라 18문항씩 총 36문항을 아동에게 제시하여 1번부터 문제를 풀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단서제시조건 및 다의어 의미유형에 따른 다의어 이해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삼원혼합공변량분석(three-way mixed 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의어 이해능력에 있어 두 집단의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서제시조건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언어발달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에 비해 다의어 이해과제 수행이 저조하였고 단서서제시조건에서 문맥단서보다 정의단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다중적인 의미를 가진 다의어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발달장애아동을 위해 적절한 어휘 교수법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언어발달장애아동은 문맥을 읽고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의 저하로 문맥 제시만으로 다의어를 습득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그렇기에 어휘의 정의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다의어 이해 및 습득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often have difficulty understading multiple meanings of words. By comparing definition presentation with context presentation, this study examines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help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comprehend and learn polysemous words. Method: We conducted the study with 12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and 2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fourth and fifth grades. We selected 18 polysemous words and created tasks based on definition and context presentations. Result: A significant main effect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understanding of polysemous words, along with notabl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resentation conditions and group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performed worse on polysemy comprehension tasks than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However, they achieved higher scores with definition presentations than with context presentaions. Conclusi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polysemous words and struggle with contextual cues, making it challenging to learn these words through context alone. Therefore, combining definitions with contextual information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comprehension and acquisition of polysemy. KCI Citation Count: 0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24.11.40.4.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