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대상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생태순간중재 연구 전략: 주제범위 문헌고찰
최근 기술 향상에 따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정신건강 증진 중재가 시도되고 있으며 그중 생태순간중재(EMI; ecological momentary intervention)은 대상자의 실생활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자 중심의 중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EMI를 적용한 성인 대상 정신건강 증진 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해 현황을 분석하고 중재에 적용한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문헌검색은 2017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출판된 문헌을 대상으로 PubMed, CINAHL 및 EMBASE 데이터베이...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5; no. 4; pp. 961 - 970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24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24.25.4.961 |
Cover
| Summary: | 최근 기술 향상에 따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정신건강 증진 중재가 시도되고 있으며 그중 생태순간중재(EMI; ecological momentary intervention)은 대상자의 실생활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자 중심의 중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EMI를 적용한 성인 대상 정신건강 증진 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해 현황을 분석하고 중재에 적용한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문헌검색은 2017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출판된 문헌을 대상으로 PubMed, CINAHL 및 EMBAS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총 689개 연구가 검색되었고 최종적으로 총 10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각 연구에서 중재 목적은 걱정 및 불안 감소, 주관적 웰빙 및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증진 등이 있었다. 마음챙김 명상 기반으로 수행된 연구가 총 8편이었고 연구목적으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연구가 총 8편이 있었다. 중재 효과가 있었던 변수는 불안, 우울, 업무 긴장, 사회적지지, 주관적 웰빙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MI 연구의 현황과 중재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성인 대상 정신건강 중재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recent improvements in technology, mental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have been attempted using applications, and such ecological momentary interventions(EMI) have the advantage of being patient-centered intervention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s’ real lif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adult mental health promotion studies using EMI to explore the strategies used in the PubMed, CINAHL, and EMBASE databases from January 2017 to January 2023. A total of 689 studies were retrieved and 10 studies were finally analyzed. In each study, the intervention goals were to reduce worry and anxiety,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and promote resilience. The interventions included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seven studies and purposeful applications in eight studies. The intervention variables were anxiety, depression, work strai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review confirm the EMI intervention strategies of existing studies and can be used to inform the futur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interventions and applications for adults.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24.25.4.9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