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배분과 R&D 투자

성과배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성과배분이 R&D 투자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과배분제는 R&D 투자를 비롯한 혁신에 있어서 대리인 문제를해소하고 R&D 투자 과실의 전취와 관련된 근로자 대표조직의 홀드업(hold-up)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기때문에 R&D 투자를 촉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15년 사업체패널조사의 3,331개 사업체 자료를 사용하여 성과배분제도가R&D 투자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31; no. 11; pp. 2079 - 2102
Main Authors 이인재(Injae Lee), 김동배(Dong-Ba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11.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18.31.11.20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성과배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성과배분이 R&D 투자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과배분제는 R&D 투자를 비롯한 혁신에 있어서 대리인 문제를해소하고 R&D 투자 과실의 전취와 관련된 근로자 대표조직의 홀드업(hold-up)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기때문에 R&D 투자를 촉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15년 사업체패널조사의 3,331개 사업체 자료를 사용하여 성과배분제도가R&D 투자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본고의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배분제도는 R&D 투자와 정(+)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성과배분제도와 R&D 투자와 정(+)의 관계는 소규모 기업에서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셋째, 성과배분제도와 R&D 투자와 정(+)의 관계는 유노조 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날것이다. 본고는 성과배분제와 R&D 투자 사이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선택편의(selection bias)의 문제를 교정하기 위해 매칭추정(matching estimation) 방법을 사용한다. 추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배분제는 R&D 투자 확률과 근로자 1인당 R&D 투자 금액을유의하게 증가시킨다. 이는 성과배분제도의 도입과 관련된 선택편의 문제를 통제한 추정결과에서도 확인된다. 둘째, 성과배분제의 R&D 효과는 성과배분제에 수반하는 무임승차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은 300인 미만의소규모 사업체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반면 300인 이상의 대규모 사업체에서는 R&D 투자 여부에는 영향을미치지만 R&D 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성과배분제는 노동조합이 R&D 투자에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하는 기제로 기능한다. 유노조 사업체에서 성과배분제가 존재하는 기업은 R&D 투자 확률이 성과배분제가 없는 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높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이 다소 낮기는 하지만 R&D 투자 강도도 높다. 반면 무노조 사업체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확인되지 않는다. Compared to the vast body of researc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sharing and firm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sharing and R&D has remained unexplored. Profit sharing can settle agency problem arising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and also can mitigate the so-called hold-up problem regarding the appropriation of return on R&D investment. Using 2015 Workplace Panel Survey by Korea Labor Institut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sharing and R&D investment. The research hypothe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Hypothesis 1: Profit sharing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D investment. Hypothesis 2: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sharing and R&D investment is stronger in small firms (free-riding problem). Hypothesis 3: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sharing and R&D investment is stronger in the unionized establishment (mitigation of hold-up problem). To accurately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sharing and R&D investment, the selection bias that may exist between profit sharing and R&D investment should be controlled.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of selection bias using a matching estimation method. The estim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ult 1: Profit shar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pensity of R&D investment and the amount of R&D investment per employee. These results are also confirmed in the matching estimations that control for the problem of selection bia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profit sharing. Result 2: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sharing and R&D investment is strong in small establishments with fewer than 300 employees, which have relatively few problems of free riding inherent in the profit sharing scheme. On the other hand, in the subsample of large establishment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profit shar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opensity of R&D investment, but not on R&D intensity. Result 3: Unionized establishment with profit sharing have higher propensity of R&D investment and invest more on R&D than their counterparts without profit sharing. On the other hand, this result is not confirmed in non-union subsample. This implies that profit sharing functions as a mechanism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trade unions on R&D investment. KCI Citation Count: 2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18.31.11.2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