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V)
전세계의 제초제 개발회사에서는 새로운 작용기작을 갖는 신규 화합물을 식물로부터 탐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살초활성이 있는 국내의 자생식물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63종 시료로부터 MeOH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와 나팔꽃(Ipomoea nil [L.] Roth)의 신초길이와 생체중을 측정하여 in vitro살초검정을 수행하였고, 온실에서 토양처리 및 경엽처리 후 다양한 광엽식물과 화본과식물의 잎에서 나타나는 살초증상을 달관...
Saved in:
| Published in | Weed & turfgrass science Vol. 10; no. 3; pp. 265 - 275 |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01.09.2021
한국잔디학회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287-7924 2288-3312 |
| DOI | 10.5660/WTS.2021.10.3.265 |
Cover
| Summary: | 전세계의 제초제 개발회사에서는 새로운 작용기작을 갖는 신규 화합물을 식물로부터 탐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살초활성이 있는 국내의 자생식물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63종 시료로부터 MeOH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와 나팔꽃(Ipomoea nil [L.] Roth)의 신초길이와 생체중을 측정하여 in vitro살초검정을 수행하였고, 온실에서 토양처리 및 경엽처리 후 다양한 광엽식물과 화본과식물의 잎에서 나타나는 살초증상을 달관평가하였다. 자생식물 63종 중 전동싸리와 흰전동싸리 등 29종은 유채에 대하여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며(1,000 μg-1<GR50값< 2,000 μg-1), 4종은 나팔꽃에 대하여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시험에서 추출물을 토양처리한 경우에는 살초효과가 전혀 발현되지 않았으나, 경엽처리의 경우, 금낭화, 말냉이, 소리쟁이, 참새귀리 추출물을 4 kg ai ha-1 약량으로 처리하였을 때 피의 잎이 뒤틀리면서 기형적으로 생장하였으며 생육이 억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의 자생식물 중 살초활성을 나타낸 시료로부터 새로운 작용점을 갖는 살초활성물질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Herbicide production companies around the world are searching for new compounds from plants with new modes of a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Korean native plants with herbicidal activity. After obtaining crude methanol extracts from 63 species of native plants in Korea, in vitro seed germination bioassay was performed by measuring shoot length and weight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and morning glory (Ipomoea nil [L.] Roth) in 24-well plates. After the soil and foliage treatment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e herbicidal symptoms were documented in the leaves of various broadleaf weeds and crops based on visual symptoms. Out of 63 species of Korean native plants, herbicidal activity was observed for 29 species against rapeseed (GR50 value of 1,000 to 2,000 μg-1) and 4 species against morning glory. In particular, Melilotus suaveolens and Melilotus albus exhibited moderate herbicidal activity against both rapeseed and morning glory. In the greenhouse experiment, the application of extracts on the soil did not show any herbicidal effect. In the case of foliage treatment (4 kg ai ha-1) of Dicentra spectabilis, Thlaspi arvense, Rumex crispus and Bromus japonicas, the leaves of Echinochloa crus-galli were twisted and deformed, and the growth was inhibi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plant samples are a potential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bioherbicides with new mechanisms of action.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2287-7924 2288-3312 |
| DOI: | 10.5660/WTS.2021.10.3.2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