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애니메이션에서의 Visual Effects 역할 연구

컴퓨터 그래픽스의 발달로 영상 분야에서 비주얼 이펙트(VFX; Visual Effects)의 활용이 확대됨에 따라 VFX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를 2015년 이후 새롭게 등장한 플랫폼인 VR 애니메이션에서 탐구하였다. 먼저 VR 애니메이션만의 특징(360° 공간으로의 확장, 1인칭 시점, 인터랙션)과 함께 이에 따른 새로운 연출적인 시도들을 알아보았다. 이로 인해 VR 애니메이션에서 VFX의 역할이 새로이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VFX는 VR 애니메이션에서 공간감 부여, 시선 유도, 장면 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2; no. 2; pp. 223 - 231
Main Authors 장욱상(Wook-Sang Chang), 박선영(Sun-Young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1.22.2.22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컴퓨터 그래픽스의 발달로 영상 분야에서 비주얼 이펙트(VFX; Visual Effects)의 활용이 확대됨에 따라 VFX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를 2015년 이후 새롭게 등장한 플랫폼인 VR 애니메이션에서 탐구하였다. 먼저 VR 애니메이션만의 특징(360° 공간으로의 확장, 1인칭 시점, 인터랙션)과 함께 이에 따른 새로운 연출적인 시도들을 알아보았다. 이로 인해 VR 애니메이션에서 VFX의 역할이 새로이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VFX는 VR 애니메이션에서 공간감 부여, 시선 유도, 장면 전환, 인터랙션에 관한 정보 전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앞으로 VR 애니메이션에서 VFX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는 향후 VR 콘텐츠 제작 시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수단으로서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the use of visual effects (VFX) in the image field has been expanded, and discussions on the role of VFX have continued. In this paper, discussion on this was explored in VR animation, a platform that has emerged since 2015. First, we explored the unique features of VR animation (expansion into a 360° space, first-person view, and interaction), along with new directing attemp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VFX in VR animation was newly revealed. In VR animation, VFX plays the role of giving spatial feeling, inducing gaze, changing scenes, and delivering information about interaction, and this was analyzed through examples. In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VFX in VR anim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eans for effective storytelling when creating VR contents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21.22.2.223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1.22.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