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주거급여 제도가 임차가구의 주거비 부담에 미치는 효과 : 성향점수매칭-동적 패널(PSM-DPD) 결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이 연구는 맞춤형 주거급여 정책이 임차가구들의 주거비 부담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개편된 정책이 의도한 대로 주거비 부담이 큰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와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큰 가구에게 더 큰 경감효과를 가져오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자료를활용하였고, 분석과정에서 선택편의 및 자기상관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PSM) 방법과 동적 패널 결합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2장에서는 맞춤형 주거급여정책을 살펴보고, 주거급여와 주거비 부담 간의 관계와 관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Vol. 56; no. 2; pp. 22 - 36
Main Authors 홍철(Hong, Zhe), 박인권(Park, In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4.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21.04.56.2.2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맞춤형 주거급여 정책이 임차가구들의 주거비 부담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개편된 정책이 의도한 대로 주거비 부담이 큰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와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큰 가구에게 더 큰 경감효과를 가져오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자료를활용하였고, 분석과정에서 선택편의 및 자기상관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PSM) 방법과 동적 패널 결합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2장에서는 맞춤형 주거급여정책을 살펴보고, 주거급여와 주거비 부담 간의 관계와 관련된선행연구를 검토한다. 3장에서는 활용한 자료, 변수측정, 그리고방법론을 설명하고, 이어 4장에서는 성향점수매칭의 결과를 제시하고 동적 패널모형을 추정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분석 결과를바탕으로 결론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Although it has been five years since the revised Housing Allowance System was implemented in Korea in 2015,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reform.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revised Housing Allowance System on the housing cost burden of renter household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combined with a dynamic panel data (PSM-DPD) model. For this, we use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from 2011 to 2017.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vised Housing Allowance System had the positive effect of easing the housing cost burden for renter households who benefited from the new policy. Second, the new policy relaxed the housing cost burden for more households composed of only older adults, living in non-public rental housing, living above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or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the policy reform reduced the housing cost burden for multi-person households more tha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Overall, the new policy helped to equalize the housing cost burden across different groups of recipients. These findings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ontinued expansion of the new housing allowance system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21.04.56.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