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와 관련된 언어이해력 및 언어표현력 문헌연구
목적: 이 연구에서는 노화와 관련된 언어이해력과 언어표현력 변화에 대한 국내의 연구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의 언어 특징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방법: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및 포스터 문헌에서 ‘노인, 노년, 노화, 의사소통, 언어’ 등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1차 수집하였다. 그 중 연구자의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총 90편을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 2002년부터 노화와 관련된 언어능력 연구가 시작되어 2014년 이후로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 유형으로는 일반...
Saved in:
|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9; no. 1; pp. 49 - 57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202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587X 2671-7158 |
| DOI | 10.15724/jslhd.2020.29.1.049 |
Cover
| Summary: | 목적: 이 연구에서는 노화와 관련된 언어이해력과 언어표현력 변화에 대한 국내의 연구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의 언어 특징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방법: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및 포스터 문헌에서 ‘노인, 노년, 노화, 의사소통, 언어’ 등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1차 수집하였다. 그 중 연구자의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총 90편을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 2002년부터 노화와 관련된 언어능력 연구가 시작되어 2014년 이후로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 유형으로는 일반적인 노인집단,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를 포함하는 병리적인 집단, 청년집단 등이 있었으며, 주로 일반적인 노인집단과 각각의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서 정상적인 노화와 병리적인 노화로 인한 언어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언어 구성영역에서는 언어표현력이 언어이해력보다 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언어 평가과제에서는 언어이해력 평가과제의 경우 규준화 된 검사도구보다는 연구자가 제작한 평가도구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언어표현력 평가과제는 기존 규준화 된 도구의 일부를 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언어이해력 평가과제의 주제에 비하여 언어의 세부 영역의 주제가 편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언어표현력에서 편중된 주제 영역을 살펴보면 의미론으로 이는 노화로 인한 많은 변화가 나타나는 이름대기영역에서 주로 연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노화와 관련된 언어 능력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언어 영역, 평가 과제, 주제 측면에서 한정적이므로 다양한 언어 영역들의 연구와 규준화 된 도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elderly language by examining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change of language reception and language expression related to aging. Methods: Keywords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posters published from 2000 to 2019 realted to ‘old people, old age, aging, communication, language, and the like’ were searched and collected. Among them, a total of 90 instances that met the researcher's purpose were analyzed. Results: Research on language skills related to aging began in 2002 an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4. The types of study included general elderly group, pathological group includ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due to degenerative disease, and young group. The research on the change of language ability due to normal aging and pathological ag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by comparing the general elderly group with each group. In the language constructing area, language expression is discussed more than language reception, and the task of evaluating language reception tends to use evaluation tools made by researchers rather than standardized test tools. The task of evaluating language expression primarily used some standardized tool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 of language expression was biased according to the specific area rather than the subject of language recep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increasing interest in language ability related to aging, but suggests that research and standardized tools in various language areas are needed because they are limited in terms of language domains, evaluation tasks, and topics.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5724/jslhd.2020.29.1.049 |
| ISSN: | 1226-587X 2671-7158 |
| DOI: | 10.15724/jslhd.2020.29.1.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