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의 피질골 지주 중첩 동종골 이식술 유무에 따른 결과 비교

목적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은 안정된 고정의 어려움과 골유합 후에도 골질 약화로 해리 및 재골절 위험이 많다. 피질골 지주 중첩 동종골 이식술을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에 적용하면 내고정도 쉽고, 골유합 기간도 단축되며, 합병증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 27예(30 골절)의 골절의 양상과 치료 후 재건 술식에 따른 생존율 및 합병증, 중첩 동종골 이식술 추가 여부에 따라 골유합 기간 및 기능적 결과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골절 치료 시 판형 동종골 이식을 한 군 16예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6; no. 1; pp. 42 - 50
Main Authors 김용성(Yongsung Kim), 조완형(Wan Hyeong Cho), 송원석(Won Seok Song), 이규평(Kyupyung Lee), 전대근(Dae-Geun J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1.56.1.4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은 안정된 고정의 어려움과 골유합 후에도 골질 약화로 해리 및 재골절 위험이 많다. 피질골 지주 중첩 동종골 이식술을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에 적용하면 내고정도 쉽고, 골유합 기간도 단축되며, 합병증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 27예(30 골절)의 골절의 양상과 치료 후 재건 술식에 따른 생존율 및 합병증, 중첩 동종골 이식술 추가 여부에 따라 골유합 기간 및 기능적 결과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골절 치료 시 판형 동종골 이식을 한 군 16예와 시행하지 않은 군 14예를 비교하였다. 분석항목은 종양인공관절 치환술부터 골절까지 기간, 골절의 양상, 골유합 기간 차이, 합병증, 및 기능적 결과를 기술하였다. 결과골절 양상은 unified classification system (UCS) B형이 21예(70.0%, 21/30)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 B1이 14예(46.7%, 14/30), B2가 1예(3.4%, 1/30), B3가 6예(20.0%, 6/30)였고 C형이 9예(30.0%, 9/30)였다. Kaplan–Meier 법에 의한 30 재건 부위의 5년, 10년 생존율은 각각 84.5%±4.18%, 42.2%±7.83%였다. 전체 30예의 골유합 기간은 평균 5.1개월(범위, 2.0–11.2개월)이었다. 동종골 이식군은 평균 3.5개월(범위, 2.0–6.26개월)로 고식적 고정군의 평균 7.2개월(범위, 4.0–11.2개월)보다 짧았다(p<0.0001). 최종 기능평가상 동종골 이식군은 평균 26.1점으로 고식적 고정군의 평균 20.9점보다 높았다(p<0.0001). 합병증은 4예로 모두 동종골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있었다. 결론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은 드물고 골유합도 비교적 잘 이루어지나 유합 후 합병증 최소화가 중요하다. 판형 중첩 동종골 이식술은 골유합 기간을 단축, 골질 증가, 해리위험성 감소 효과가 있으며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에 유용한 방법이다. Purpose Periprosthetic fractures of a tumor prosthesis are rare but have difficulties in achieving sound fixation because of the poor bone quality, which increases the risk of loosening or re-fracture, even after bone union. A cortical strut onlay allograft was adopted for peri-prosthetic fractures after hip arthroplasty into the periprosthetic fracture of a tumor prosthesis, assuming that it would assist in firm fixation, shorten the time to union, and increase the bone stock, thereby, lower the chance of loosening and re-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27 patients (30 cases) of periprosthetic fracture of tumor prosthesis. Sixteen cases (allograft group) had augmentation with an onlay allograft, while 14 cases (conventional group) had internal fixation or conservative treatment. The following were assessed; mode of periprosthetic fracture, difference in the time to union between a strut cortical onlay allograft and without it, and survival of prosthesis, complication, and functional outcom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ccording to the unified classification system (UCS), 21 cases were type B (70.0%; B1, 14; B2, 1; B3, 6) and 9 cases were type C. The five-, 10-year survival of the 30 reconstructions by Kaplan–Meier plot was 84.5%±4.18% and 42.2%±7.83%, respectively. The average time to bone union of the entire cohort was 5.1 months (range, 2.0–11.2 months). The allograft group (3.5 months) showed a shorter period for union than the conventional group (7.2 months) (p<0.0001). All four cases of major complications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group. Two cases with loosening and anterior angulation were treated with a change of prosthesis, and another with infection underwent amputation. The remaining case with loosening had conservative management. At the final follow-up, the average Musculosketal Tumor Society score of the allograft group (26.1)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group (20.9). Conclusion Bone union in periprosthetic fractures of a tumor prosthesis can be achieved, but the minimization of complications is important. An onlay allograft facilitates firm fixation and increases the bone stock with a shortened time to union. This simple method can minimize the risk of loosening, joint contracture, and re-fractur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search.php?where=aview&id=10.4055/jkoa.2021.56.1.42&code=0043JKOA&vmode=FULL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1.56.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