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은행 앱의 게이미피케이션 구성요소 및 시각표현요소가 몰입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본 연구는 모바일 은행 앱의 게이미피케이션 구성요소 및 시각표현요소가 사용자의 몰입감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모바일 금융 앱의 제작에 있어 실질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은행 앱의 게이미피케이션 구성요소 및 시각표현요소 중 애니메이션, 지위, 캐릭터, 자기표현은 사용자의 몰입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 레이아웃, 색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한편 색상, 캐릭터, 보상, 레이아웃, 지위는 사용자의 지속 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3; no. 1; pp. 89 - 96
Main Author 이승민(Seung-Mi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2.23.1.8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모바일 은행 앱의 게이미피케이션 구성요소 및 시각표현요소가 사용자의 몰입감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모바일 금융 앱의 제작에 있어 실질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은행 앱의 게이미피케이션 구성요소 및 시각표현요소 중 애니메이션, 지위, 캐릭터, 자기표현은 사용자의 몰입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 레이아웃, 색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한편 색상, 캐릭터, 보상, 레이아웃, 지위는 사용자의 지속 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표현, 애니메이션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사용자의 몰입과 지속적 사용의도의 관계 분석 결과, 모바일 은행 앱에 대한 몰입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용자의 긍정적 반응과 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는 요인과 표현 전략을 분석하여 모바일 UX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mification components and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mobile banking apps on flow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nimation, status, character, and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user flow among the gamification components and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mobile banking apps. But compensation, layout, and color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other hand, color, character, reward, layout, and statu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s' continuous use. But self-expression and anim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Als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flow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user flow in the mobile banking ap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factors and expression strategies that can lead to a positive reaction and flow of users and utilize them for mobile UX.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22.23.1.89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2.23.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