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이야기글과 설명글에서의 듣기이해

목적: 듣기는 학교 학습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이며, 학령기 아동들은 학습을 위해 많은 시간을 듣기에 사용한다. 학령기가 되면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한데,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낮은 언어능력으로 인하여 텍스트를 듣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지도하기에 앞서 우선 국어 학습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야기글과 설명글에서 학령기언어장애아동들이 보이는 듣기이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초등학교 4, 5학년에 재학 중인 학령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4; no. 3; pp. 51 - 62
Main Author 이현정(Hyun Ju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9.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5.24.3.005

Cover

Abstract 목적: 듣기는 학교 학습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이며, 학령기 아동들은 학습을 위해 많은 시간을 듣기에 사용한다. 학령기가 되면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한데,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낮은 언어능력으로 인하여 텍스트를 듣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지도하기에 앞서 우선 국어 학습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야기글과 설명글에서 학령기언어장애아동들이 보이는 듣기이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초등학교 4, 5학년에 재학 중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듣기검사 지문은 이야기글 4개와 설명글 4개로 구성된 총 8개의 지문을 들려주고, 각각 사실적 이해 4문항, 추론적 이해 4문항으로 구성된 문항을 풀도록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듣기이해 총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야기글과 설명글 모두에서 듣기이해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이야기글과 설명글 모두에서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듣기이해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모두 사실적 이해능력이 추론적 듣기이해 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글의 유형에 따라 약간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일반아동 집단은 설명글보다 이야기글에서 추론적 듣기이해 능력이 높았던 반면,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이야기글보다 설명글에서 추론적 듣기이해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듣기이해 능력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글의 유형에 따라 일반아동들과 유사한 패턴의 듣기이해 능력을 보이기는 하나, 일반아동과는 다르게 설명글보다 이야기글에서 추론적 이해에 더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의 듣기이해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 외에도, 추상적 어휘나 교훈과 같은 비유적 언어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Listening comprehension is a primary skill for learning and school-aged children spend much time listening in school. School-aged children need good listening comprehension with various text types. However,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may have listen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due to their reduced language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LI according to text types. Methods: A total of 30 children in fourth and fif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15 children have SLI and 15 children having typical development (TD). Four narrative texts and 4 expository texts were used to test literal and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Results: First, children with SLI had low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otal scores, narrative text scores, expository text scores) compared children with TD. Second, children with SLI had low liter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as well as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compared with children with TD. However, both groups showed higher liter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an inferenc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e children with TD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narrative than expository texts, otherwise children with SLI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expository than narrative texts. Conclusions: As a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with SLI showed lowe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an children with TD.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groups in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by text type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with SLI need to learn particular skills for improving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by text types and need to improve their language knowledge for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KCI Citation Count: 2
AbstractList 목적: 듣기는 학교 학습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이며, 학령기 아동들은 학습을 위해 많은 시간을 듣기에 사용한다. 학령기가 되면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한데,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낮은 언어능력으로 인하여 텍스트를 듣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지도하기에 앞서 우선 국어 학습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야기글과 설명글에서 학령기언어장애아동들이 보이는 듣기이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초등학교 4, 5학년에 재학 중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듣기검사 지문은 이야기글 4개와 설명글 4개로 구성된 총 8개의 지문을 들려주고, 각각 사실적 이해 4문항, 추론적 이해 4문항으로 구성된 문항을 풀도록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듣기이해 총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야기글과 설명글 모두에서 듣기이해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이야기글과 설명글 모두에서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듣기이해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모두 사실적 이해능력이 추론적 듣기이해 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글의 유형에 따라 약간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일반아동 집단은 설명글보다 이야기글에서 추론적 듣기이해 능력이 높았던 반면,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이야기글보다 설명글에서 추론적 듣기이해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듣기이해 능력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글의 유형에 따라 일반아동들과 유사한 패턴의 듣기이해 능력을 보이기는 하나, 일반아동과는 다르게 설명글보다 이야기글에서 추론적 이해에 더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의 듣기이해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 외에도, 추상적 어휘나 교훈과 같은 비유적 언어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Listening comprehension is a primary skill for learning and school-aged children spend much time listening in school. School-aged children need good listening comprehension with various text types. However,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may have listen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due to their reduced language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LI according to text types. Methods: A total of 30 children in fourth and fif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15 children have SLI and 15 children having typical development (TD). Four narrative texts and 4 expository texts were used to test literal and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Results: First, children with SLI had low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otal scores, narrative text scores, expository text scores) compared children with TD. Second, children with SLI had low liter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as well as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compared with children with TD. However, both groups showed higher liter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an inferenc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e children with TD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narrative than expository texts, otherwise children with SLI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expository than narrative texts. Conclusions: As a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with SLI showed lowe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an children with TD.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groups in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by text type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with SLI need to learn particular skills for improving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by text types and need to improve their language knowledge for inferenti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KCI Citation Count: 2
Author 이현정(Hyun Jung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현정(Hyun Jung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678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E1LAlEUBuBLGGTmP2jhpkWLme73vS7FrARJCIN2w3zWpI0x0qJdC4OgRUGMJWgIFUSrIBcG_iLn-h-6lav3nPc8nFWQidqRD8A6giZiAtOt007rxDMxRMzE1CQmhGwJZDEXyBCIyQzIIoy5waQ4WgH5Tid0IKWCMsFQFhzOk346-p5NPgvp7bu6GajeRPXG6vlNJSOVdNO7vho-FdRwrJKpVrPJ1exrWlDd1_TjWi_q8V51B78kfXjRdw3nyXgNLAd2q-PnF5kDjZ1Ko7xn1Oq71XKpZkSccoNwyqAkdiC4T11EKCu61LVt5MsAYsfjupaOpNSHDLleEXnYc4gMkCZSa5IDm_9voziwmm5ote3wL4_bVjO2SgeNqoUwwUUitd1Y2Is4PPO90LbO9WDHl9Z-fbsCBcNIUE5-AKE7gG4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15724/jslhd.2015.24.3.005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Using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DocumentTitle_F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Using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EISSN 2671-7158
EndPage 6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232938
NODE07521746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46-3645083af76e4c13459c4caa1e8f02bd66e48b844e051cd91d2db38f1aa183453
ISSN 1226-587X
IngestDate Tue Nov 21 21:37:19 EST 2023
Thu Feb 06 13:15:13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listening comprehension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
글 유형
듣기이해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ext typ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46-3645083af76e4c13459c4caa1e8f02bd66e48b844e051cd91d2db38f1aa183453
Notes G704-000939.2015.24.3.001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32938
nurimedia_primary_NODE0752174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09
PublicationDateYYYYMMDD 2015-09-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5
  text: 2015-09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언어치료연구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언어치료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언어치료학회
SSID ssib044745751
ssib001106864
Score 1.5833218
Snippet 목적: 듣기는 학교 학습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이며, 학령기 아동들은 학습을 위해 많은 시간을 듣기에 사용한다. 학령기가 되면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듣고...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1
SubjectTerms 교육학
Title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이야기글과 설명글에서의 듣기이해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2174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36787
Volume 2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언어치료연구, 2015, 24(3), , pp.51-62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7158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751
  issn: 1226-587X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GjrQS-iqFg_yiLOaUnNx0wyc0zSlLXYetlCbyFfq2UlK-vuQQ_ioYLgQUG2WmiloIJ4EtzDCv1Fu-l_8E0ym0ZcsHrJvn15897MvCTvvcm8F4RuU92KA5NaShCoRCEBBKyhlrQUUVkl5OCisFgkOK9vmI1NsrZFt-bm71V2LfV74XL0bGZeyf9oFXCgV5El-w-aLZkCAmDQLxxBw3A8lY6xt4I5xZxjz8G2ih0AbOww7Kh1gWKAZdhzMWOYuwLgpjgtAZIDHrZpDlDBogAYyZuv5qwBA2JYXUKyGcWOW0qTACsAA07l1MDGzjnZNma0QgTtLcxVSSO7JoU4mBvYNiq8S7H5aB1SdahnDwomgrNcsIGZK-XJbsIwy5Xh33mzfNyumAaQo7PG035aX-uLNLCkLF4lV0g0Wm4BK67pqS7cqZCV03Wt1CAAMEtuxUqAz6pQZm0VRjTH6aalKZZW1KGfmpYiPVzeQkbFTsgiu4XHUZijP2wZtXQijNmTRw9FSVuNLutkWdTjpSe2u9xRuXF_xQPvTwSY5jw6o1umKb7nsf7cO3GONZEOVD59CbGIeOkmViSm45G5pULynRlywf9Ku-C2nU374tsT8ACr-GLNC-i8DKJqdnFHXERz7c4ltHk82Jsc_hyPvtcmr79mr_az3VG2O8w-fskGh9lgZ_JmLzv4UMsOhtngCKjGoxfjH0e1bOfz5NtL-JO9f5vt7AuSybtPcB4IjwfDy6i56jXdhiI_GqKkJjEV8VYdooqgZZkJiTSDUB6RKAi0hLVUPYxNQLOQEZKANYpirsV6HBqspQEJA2rjClpIO2lyFdXUhIc81pmWWBAzkICzCMKdRI3MiIBXZy2iWzAbfjva9kWNdvH7oOO3uz5Eond9Eapwgy2ipXKy_MdFARm_qqxrfyO4js6dXNQ30EKv209ugiPcC5dy_f4CJxuUo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99%EB%A0%B9%EA%B8%B0+%EB%8B%A8%EC%88%9C%EC%96%B8%EC%96%B4%EC%9E%A5%EC%95%A0%EC%95%84%EB%8F%99%EC%9D%98+%EC%9D%B4%EC%95%BC%EA%B8%B0%EA%B8%80%EA%B3%BC+%EC%84%A4%EB%AA%85%EA%B8%80%EC%97%90%EC%84%9C%EC%9D%98+%EB%93%A3%EA%B8%B0%EC%9D%B4%ED%95%B4&rft.jtitle=%EC%96%B8%EC%96%B4%EC%B9%98%EB%A3%8C%EC%97%B0%EA%B5%AC&rft.au=%EC%9D%B4%ED%98%84%EC%A0%95%28Hyun+Jung+Lee%29&rft.date=2015-09-01&rft.pub=%ED%95%9C%EA%B5%AD%EC%96%B8%EC%96%B4%EC%B9%98%EB%A3%8C%ED%95%99%ED%9A%8C&rft.issn=1226-587X&rft.eissn=2671-7158&rft.volume=24&rft.issue=3&rft.spage=51&rft.epage=62&rft_id=info:doi/10.15724%2Fjslhd.2015.24.3.005&rft.externalDocID=NODE0752174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587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587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587X&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