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l₄ 응집을 이용한 조류제거
본 연구에서는 응집제 TiCl4의 조류제거 효율을 관찰하기 위해 jar test를 이용하여 급속교반속도(110~170 rpm), 완속교반속도(20~60 rpm), 주입농도(0.02~0.48 mM), pH (1~12) 등에 따른 클로로필 a 및 탁도 제거율을 관찰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사용한 시료의 클로로필 a는 105.7 ± 10.2 μg/L, 탁도는 17.5 ± 5.7 NTU (nephelometry turbidity unit)였다. 급속교반의 경우실험범위 내에선 교반속도에 관계없이 높은 클로로필 a (90~94%) 및 탁도(91...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41; no. 6; pp. 356 - 360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환경공학회
01.06.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9.41.6.356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응집제 TiCl4의 조류제거 효율을 관찰하기 위해 jar test를 이용하여 급속교반속도(110~170 rpm), 완속교반속도(20~60 rpm), 주입농도(0.02~0.48 mM), pH (1~12) 등에 따른 클로로필 a 및 탁도 제거율을 관찰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사용한 시료의 클로로필 a는 105.7 ± 10.2 μg/L, 탁도는 17.5 ± 5.7 NTU (nephelometry turbidity unit)였다. 급속교반의 경우실험범위 내에선 교반속도에 관계없이 높은 클로로필 a (90~94%) 및 탁도(91~93%) 제거효율을 보였다. 완속교반의 경우 클로로필 a는 30 rpm (96%)에서, 탁도는 30 rpm 이상(90% 이상)에서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주입농도 실험에서 클로로필 a와 탁도는 TiCl4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클로로필 a는 0.25 mM, 탁도는 0.39 mM 이상에서 90% 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pH의 경우 클로로필 a는 3~8에서 90% 이상, 탁도는 6 이상에서 87% 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클로로필 a와 탁도를 동시에 90% 이상의 제거효율을 얻기 위한 조건은 급속교반속도에 관계없이 완속교반 30 rpm, 주입농도 0.39 mM, pH 6~8로 나타났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of titanium tetrachloride (TiCl4) on chlorophyll-a (105.7 ± 10.2 μg/L) and turbidity (17.5 ± 5.7 NTU (nephelometry turbidity unit)) removals in a pond water compared to aluminum potassium sulfate (AlK(SO4)2). Jar-test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various mixing speeds (rapid: 110~170 rpm, slow: 20~60 rpm), coagulant doses (0.02~0.48 mM), and pH levels (1~12) to determine the conditions at which chlorophyll-a and turbidity removals were most efficient. Within the experimental range, the chlorophyll-a (90~94%) and turbidity (91~93%) removals were high regardless of rapid-mixing speed. The maximum chlorophyll-a removal was 96% at 30 rpm of slow-mixing speed and turbidity removal was ≥90% at ≥30 rpm of slow-mixing speed. The chlorophyll-a removal and turbidity efficiencies increased as TiCl4 concentration ([TiCl4]) increased. The chlorophyll-a removal at [TiCl4]=0.25 mM and the turbidity removal at [TiCl4]=0.39 mM were ≥90%. The chlorophyll-a removals at pH=3~8 were ≥90% and the turbidity removals at pH≥6 were ≥87%. Therefore, the conditions with ≥90% chlorophyll-a and turbidity removals were slow mixing=30 rpm, [TiCl4]≥0.39 mM, and 6≤pH≤8 regardless of rapid-mixing spe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9.41.6.3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