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토양수은 농도의 장기적 추세 및 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고찰
수은은 인체 및 생태 독성이 큰 오염물질로서, 다중 환경매체를 활발히 순환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1997년부터 토양측정망과 토양오염실태조사를 통해 전국의 토양수은 농도를 측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토양수은 농도에 대한 장기적 추세 및 공간분포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의토양수은농도의 연평균값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토지 이용도와 토양 깊이에 따른 수은의 장기적 추세 및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두 측정조사에서 보고된 토양수은의 연평균 농도범위는 0.019...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41; no. 6; pp. 346 - 35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환경공학회
01.06.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9.41.6.346 |
Cover
Abstract | 수은은 인체 및 생태 독성이 큰 오염물질로서, 다중 환경매체를 활발히 순환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1997년부터 토양측정망과 토양오염실태조사를 통해 전국의 토양수은 농도를 측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토양수은 농도에 대한 장기적 추세 및 공간분포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의토양수은농도의 연평균값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토지 이용도와 토양 깊이에 따른 수은의 장기적 추세 및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두 측정조사에서 보고된 토양수은의 연평균 농도범위는 0.0196 ~ 0.0909 mg・kg-1로 나타났다. 1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지점은 대부분 공장용지와 철도용지, 그리고 광산인근 지역과 폐기물 처리지역으로 나타났으나, 3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시료는 없었다. 두 측정조사 모두 2011년 이후부터 토양수은의 연평균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나타나 향후 예의주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시료채취 깊이에 따른 토양수은농도 특성을 살펴보면, 뚜렷한 지상 오염원이특정된 지역의 경우 표토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지하수 오염지역의 경우 심토의 수은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양수은의 공간적 농도 분포는 매년 유사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상북도 석포제련소 인근 시료의 경우 꾸준히 높은 값이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토양측정망과 토양오염실태조사의 측정값 중 검출한계 이하의 값이 전체 시료의 5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검출 시료의 빈도수는 지자체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검출한계를 낮출 수있는 동일한 분석방법을 모든 측정기관에 제시하는 한편, 엄격한 정도관리 지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Soil mercury (Hg) concentrations have been measured in soil monitoring network and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in Korea since 1997; however, extensive data analysis has not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long-term trends and/or spatial distributions. This study shows the long-term and spatial trends of soil Hg by land use and by depth as well as the yearly averaged concentrations. Hg concentration found in some of industrial, railroad-related, mining, and waste treatment areas exceeded the soil quality standard for Region 1, but not for Region 3. Hg in topsoil showed higher concentration than in deep soil when there was a clear ground pollution source while the Hg in deep soil was higher than that in topsoil for groundwater pollution area. The soil Hg did not show similar spatial distribution every year, but the Hg near the Seokpo smelter has been steadily high. The number of samples having the soil Hg below the detection limit was more than 50% of the total, and the frequency of non-detectable sampl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e analytical method and the relevant strict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should be provided to all measurement institutions. KCI Citation Count: 4 |
---|---|
AbstractList | 수은은 인체 및 생태 독성이 큰 오염물질로서, 다중 환경매체를 활발히 순환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1997년부터 토양측정망과 토양오염실태조사를 통해 전국의 토양수은 농도를 측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토양수은 농도에 대한 장기적 추세 및 공간분포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의토양수은농도의 연평균값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토지 이용도와 토양 깊이에 따른 수은의 장기적 추세 및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두 측정조사에서 보고된 토양수은의 연평균 농도범위는 0.0196 ~ 0.0909 mg・kg-1로 나타났다. 1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지점은 대부분 공장용지와 철도용지, 그리고 광산인근 지역과 폐기물 처리지역으로 나타났으나, 3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시료는 없었다. 두 측정조사 모두 2011년 이후부터 토양수은의 연평균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나타나 향후 예의주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시료채취 깊이에 따른 토양수은농도 특성을 살펴보면, 뚜렷한 지상 오염원이특정된 지역의 경우 표토의 수은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지하수 오염지역의 경우 심토의 수은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양수은의 공간적 농도 분포는 매년 유사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상북도 석포제련소 인근 시료의 경우 꾸준히 높은 값이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토양측정망과 토양오염실태조사의 측정값 중 검출한계 이하의 값이 전체 시료의 5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검출 시료의 빈도수는 지자체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검출한계를 낮출 수있는 동일한 분석방법을 모든 측정기관에 제시하는 한편, 엄격한 정도관리 지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Soil mercury (Hg) concentrations have been measured in soil monitoring network and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in Korea since 1997; however, extensive data analysis has not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long-term trends and/or spatial distributions. This study shows the long-term and spatial trends of soil Hg by land use and by depth as well as the yearly averaged concentrations. Hg concentration found in some of industrial, railroad-related, mining, and waste treatment areas exceeded the soil quality standard for Region 1, but not for Region 3. Hg in topsoil showed higher concentration than in deep soil when there was a clear ground pollution source while the Hg in deep soil was higher than that in topsoil for groundwater pollution area. The soil Hg did not show similar spatial distribution every year, but the Hg near the Seokpo smelter has been steadily high. The number of samples having the soil Hg below the detection limit was more than 50% of the total, and the frequency of non-detectable sampl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e analytical method and the relevant strict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should be provided to all measurement institutions. KCI Citation Count: 4 |
Author | 김평래(Pyung-Rae Kim) 김대영(Dae-Young Kim) 한영지(Young-Ji Han)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평래(Pyung-Rae Kim) – sequence: 2 fullname: 김대영(Dae-Young Kim) – sequence: 3 fullname: 한영지(Young-Ji Han)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7857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k9LAkEAxYcwyMwv0GkvHTrsNrPzZ2ePYltJklDel3HdicXSWOnQzWKRiMKC_khkeKmTh41IDPpE7vgd0vLy3uPx4_GWQareqPsArCJoEGKjjd0DxzFMiGyDIIMZmLAFkDYxx7rFEUyBNDJNqlNo0iWQbTaDCiTEwgRykgZCPcfJ-yC56Ca9H23S7qvHO3XZVb2WlrRvkk6kel1Nvb6NR7Hqn2tqeK-ikZbEHW38-TWOo1mZDKNJZ6BNrr5V9KGebrXkujV5eJkSfRXHK2BRiqOmn517BpS3nHJ-Ry-Wtgv5XFGvM0J0AblNPV5hjPrSm_7FHvcktIUluekhJGmFUYaqFZ8KJCFlFEuJhcX5VCzEcQas_8_WQ-nWvMBtiODPDxtuLXRz--WCS22EGJyxa3P2NAyO_Wog3JNpEOGZu1fadCC3iM05wb8XUoN6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DBRKI TDB ACYCR |
DOI | 10.4491/KSEE.2019.41.6.346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Engineering |
DocumentTitleAlternate | A Review for the Long-Term Trend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ercury Concentration in South Korea |
DocumentTitle_FL | A Review for the Long-Term Trend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ercury Concentration in South Korea |
EISSN | 2383-7810 |
EndPage | 355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5911608 NODE08749884 |
GroupedDBID | 9ZL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GROUPED_DOAJ GW5 JDI MZR TDB ZZE .UV 85H ACYCR |
ID | FETCH-LOGICAL-n644-a0895c8b665efc2253c8cf09a7f82c11f5b6561dbe5a1f05653ff3a7883a77183 |
ISSN | 1225-5025 |
IngestDate | Tue Nov 21 21:41:45 EST 2023 Thu Mar 13 19:39:55 EDT 2025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6 |
Keywords | 수은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토양오염실태조사 Soil Monitoring Network 토양측정망 Long-term Trend 장기추세 공간분포 Mercury Spatial Distribution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n644-a0895c8b665efc2253c8cf09a7f82c11f5b6561dbe5a1f05653ff3a7883a77183 |
PageCount | 10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5911608 nurimedia_primary_NODE08749884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9-06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9-06-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6 year: 2019 text: 2019-06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
PublicationYear | 2019 |
Publisher | 대한환경공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환경공학회 |
SSID | ssib044734084 ssib053377094 ssj0002782626 ssib022229522 |
Score | 2.0833883 |
Snippet | 수은은 인체 및 생태 독성이 큰 오염물질로서, 다중 환경매체를 활발히 순환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1997년부터 토양측정망과 토양오염실태조사를 통해 전국의 토양수은 농도를 측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토양수은 농도에 대한 장기적 추세 및 공간분포 특성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 |
SourceID | nrf nurimedia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346 |
SubjectTerms | 환경공학 |
Title | 우리나라 토양수은 농도의 장기적 추세 및 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고찰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74988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78575 |
Volume | 41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대한환경공학회지, 2019, 41(6), , pp.346-355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da9RAMNT6oD6In1g_ShD36ciZj00y-3jJpdSKVbRC344kl9y1hTspLVIfpMpRRJQq-FHESl_0qQ-nYqngL2py_8HZTe4u2oIfL3vD7szs7E52Z3Zvd1aSrkRhHe2OBkrE4yFS36jjkKK6ElsmWkPVwkU0vzt8Y9qavEunZs3ZkUNfCqeWlpeCcvjgwHsl_6NVzEO98luy_6DZAVPMQBj1iylqGNO_0jHxXMIqxFGJ55CKRSouB0AnDDjAqsRxS8SrEsAyVWBbhGkcABBILkcCtSToLAJVAUwQoHkZg5KAPFIxiYd1gajO5fxAE2UO8hToSOSAYIUoMFES-AZxMkI1Z9ondDghz6ryCiu5oIjI-ryEoMwmLJfP5ccyEImZhLl97lm7kLujFh3tqh81cepq3ucbvHZjJeJvKjUwafqNUrMdzc_1PzXBh-WsedOZ6DuP948Ot1ZwNlRu-1FJvDvNDqAaSOZyEkDTAFi7IubRfVS59ENk3iM2J9dBUChTc6VJLjQrbsjwO2BWcUNmf4cIgAmtomg6caqF_s9wmAAqSFiwRTjVKqaa3QsvRyIPHSxDsSE_CZwbsCxyWD5Qi9bIyHd3M8fGyOIh_24zKWXcZl6_43n8pCMrU61slQekv8Qin75Z9VSwKQOgh6TDuo3-Kj8u-9Drz-G6eB9-GBKSUtug6vAuNK4ubLu_pTCf_fGtW-JVxEF7s7ttXK6r-6VCH7C1iK7jkdYyf_8CJ9GCPzhzQjqeL-TkSjYqT0ojC-1T0rFCeM_Tkp--6yaftpPHG8nmD7m3tpW-eZk-2Ug3V-Vk7Xmy3kk3N-T0w8e93W669UhOd16lnV056a7Le1-_7XU7PDPZ6fTWt-Xe0-9p53P69oWcPFvtvX6PGFtpt3tGmpnwZtxJJX_SRGnhwkPxVWBmCIFlmVEcYnuNEMJYZb4dgx5qWmwGuL7S6kFk-lqMaxPTiGPDtwEwQS_SOCuNttqt6Jwkx6qFnkndjMygTplOIYi1gPoh1SOKrM0x6TL2U20hnKvxCPL8t9GuLSzWcJ18rWaij2OpMCaND7qxdi8Lb1MrKvn8nxAuSEeHY-CiNLq0uBxdQjd9KRgX21vj4uv4Ceakw_U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A%B0%EB%A6%AC%EB%82%98%EB%9D%BC+%ED%86%A0%EC%96%91%EC%88%98%EC%9D%80+%EB%86%8D%EB%8F%84%EC%9D%98+%EC%9E%A5%EA%B8%B0%EC%A0%81+%EC%B6%94%EC%84%B8+%EB%B0%8F+%EA%B3%B5%EA%B0%84%EC%A0%81+%EB%B6%84%ED%8F%AC+%ED%8A%B9%EC%84%B1%EC%97%90+%EB%8C%80%ED%95%9C+%EA%B3%A0%EC%B0%B0&rft.jtitle=Daehan+hwan%27gyeong+gonghag+hoeji&rft.au=%EA%B9%80%ED%8F%89%EB%9E%98%28Pyung-Rae+Kim%29&rft.au=%EA%B9%80%EB%8C%80%EC%98%81%28Dae-Young+Kim%29&rft.au=%ED%95%9C%EC%98%81%EC%A7%80%28Young-Ji+Han%29&rft.date=2019-06-01&rft.pub=%EB%8C%80%ED%95%9C%ED%99%98%EA%B2%BD%EA%B3%B5%ED%95%99%ED%9A%8C&rft.issn=1225-5025&rft.eissn=2383-7810&rft.volume=41&rft.issue=6&rft.spage=346&rft.epage=355&rft_id=info:doi/10.4491%2FKSEE.2019.41.6.346&rft.externalDocID=NODE08749884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5025&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5025&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5025&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