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싹보리 잎, 뿌리 및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비교

새싹보리는 보리(Hordeum vulgare L.) 종자에서 발생한 싹을 키워 발아한 지 일주일 정도 된 어린 보리이며 완전히 자란 보리보다 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새싹보리의 부위별 생리활성 연구는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싹보리의 잎, 뿌리,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천연물 항산화력의 지표물질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새싹보리의 뿌리, 줄기보다 잎에서 더욱 높게 측정되었으며, 새싹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7; no. 10; pp. 973 - 980
Main Authors 변의홍(Eui-Hong Byun), 김광욱(Kwangwook Kim), 김이은(Yi-Eun Kim), 조은지(Eun-Ji Cho), 민희숙(Hee-Suk Min), 이정현(Jeong-Hyeon Lee), 조규성(Gyu-Seong Cho), 윤우정(Woo Jung Yoon), 김병천(Byung Chean Kim), 안동현(Dong-Hyun Ahn), 박원종(Won-Jong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0.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18.47.10.97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새싹보리는 보리(Hordeum vulgare L.) 종자에서 발생한 싹을 키워 발아한 지 일주일 정도 된 어린 보리이며 완전히 자란 보리보다 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새싹보리의 부위별 생리활성 연구는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싹보리의 잎, 뿌리,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천연물 항산화력의 지표물질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새싹보리의 뿌리, 줄기보다 잎에서 더욱 높게 측정되었으며, 새싹보리 잎이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에서도 뿌리, 줄기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관찰되었다. 또한, 새싹보리 잎, 뿌리 및 줄기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2O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 독성, SOD 활성 및 MDA level을 확인한 결과, 새싹보리 잎에서 세포 생존율 증가, SOD 활성 증가 및 MDA level 감소가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이는 새싹보리의 잎이 다른 부위인 뿌리, 줄기보다 천연 항산화 소재와 신경세포 보호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It is believed that barley sprouts (Hordeum vulgare L.) have antioxidant, lipid metabolic, anti-cancer, and anti-fatty liver formation effects;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onfirm thi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af, root, and stem extracts of barley sprouts in terms of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and neuroprotective effects. To accomplish this, barley sprout leaves, roots, and stems were individually extracted using ethanol.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were observed in barley sprout leaf extract. Similarly, antioxidant activities resulted i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reduced power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tract of barley sprout leaves. In addition, barley sprout leaves, roots, and stems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H2O2-treated HT22 cells. Further, barley sprout leaves increase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decreased the malonaldehyde level.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ves of barley sprouts can be used as a new natural antioxidant source and that they have the potential to prevent and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KCI Citation Count: 9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18.47.10.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