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과 회복과정에서의 트라우마: 질적 메타합성

트라우마와 중독의 높은 상관성으로 트라우마에 기반한 실무가 필요함이 강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질적연구들을 합성하여 중독 및 회복과정에 관여하는 트라우마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메타합성 방법으로 중독과 회복을 다룬 질적연구를 검색하여 17편의 문헌, 80명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트라우마 경험, 이것이 중독과정 및 회복과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범주화했다. 과거의 트라우마 경험은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부정적 감정을 야기했으며, 그 대처로 중독 물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과거와는 다른 타인과의 신뢰를 형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9; no. 1; pp. 45 - 59
Main Authors 김잔디(Jandi Kim), 김미숙(Misook Kim), 신유진(Youjin Shin), 김병희(Byunghee Kim), 김성재(Sungja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03.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1.29.1.4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트라우마와 중독의 높은 상관성으로 트라우마에 기반한 실무가 필요함이 강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질적연구들을 합성하여 중독 및 회복과정에 관여하는 트라우마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메타합성 방법으로 중독과 회복을 다룬 질적연구를 검색하여 17편의 문헌, 80명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트라우마 경험, 이것이 중독과정 및 회복과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범주화했다. 과거의 트라우마 경험은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부정적 감정을 야기했으며, 그 대처로 중독 물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과거와는 다른 타인과의 신뢰를 형성하고 자신의 존재가치를 되찾아가며 회복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중독 영역에서 트라우마 기반의 실무가 활성화되어야 할 당위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Trauma is a physically or emotionally harmful or life-threatening event that negatively affects well-being. Recently, a high correlation between trauma and substance addiction has been recogniz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qualitative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rauma involved in the addiction and recovery process. Methods: By searching qualitative studies about addiction and recovery, 17 Korean studies (80 subjects) were finally included in our analysis. Results: We recorded the traumas experienced, and their effects on addiction and recovery. Trauma reduced self-esteem and triggered psychological pain, while addiction was perceived as a countermeasure. As the trauma became accepted,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mselves, realized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and formed trust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Recovery progressed as the trauma healed. Conclusions: Our study facilitat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rauma on addic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1.29.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