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ADHD 아동과 말더듬 아동의 구어유창성 및 읽기유창성
목적: 본 연구는 말더듬 아동과 ADHD 아동, 일반 아동의 구어유창성 및 읽기유창성을 살펴봄으로써 학령기 ADHD 및 말더듬 아동의 평가 및 중재를 위한 임상적 결정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부산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ADHD 아동, 학년을 일치시킨 말더듬 아동, 일반 아동 각 15명, 총 45명을 대상으로 말하기, 읽기 과업을 통해 수집한 표본으로 비유창성 백분율과 구어속도, 읽기정확도와 읽기속도, 말하기 오류유형, 읽기 오류유형을 분석하고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세 집단의...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30; no. 4; pp. 95 - 10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21.30.4.095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말더듬 아동과 ADHD 아동, 일반 아동의 구어유창성 및 읽기유창성을 살펴봄으로써 학령기 ADHD 및 말더듬 아동의 평가 및 중재를 위한 임상적 결정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부산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ADHD 아동, 학년을 일치시킨 말더듬 아동, 일반 아동 각 15명, 총 45명을 대상으로 말하기, 읽기 과업을 통해 수집한 표본으로 비유창성 백분율과 구어속도, 읽기정확도와 읽기속도, 말하기 오류유형, 읽기 오류유형을 분석하고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세 집단의 구어유창성을 살펴본 결과, 비유창성 백분율에서는 ADHD 아동과 말더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높았다. 구어속도에서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세 집단의 읽기유창성을 살펴본 결과, 읽기정확도, 읽기속도에서 모두 ADHD 아동과 말더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집단 간 말하기, 읽기 오류유형을 분석한 결과, 말하기 과업에서 말더듬 아동은 삽입과 단어부분반복을 ADHD 아동과 일반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많이 산출하였다. 읽기 과업에서 말더듬 아동은 단어부분반복을 ADHD 아동과 말더듬 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많이 산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과 말더듬 아동의 구어유창성 및 읽기유창성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현장에서 학령기 ADHD 아동과 말더듬 아동 중재 시, 비유창성 백분율, 구어속도, 읽기정확도, 읽기속도에 초점을 맞추어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 중재 방향이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reading fluency and speech fluency of stuttering children and ADHD children and to assist in clinical decisions for th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age ADHD and stuttering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45 children: 15 ADHD children, 15 stuttering children who were matched in same grade, and 15 general children. All of the subjects were in the lower grades (from first to third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Results: First, The ADHD children and stuttering children were higher than general children in percentage of disfluency. However, in speaking rates, the ADHD children showed lower result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ADHD children and the stuttering children showed meaningfully lower results than the general children in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rates. Third, in the speaking task, the stuttering children produced meaningfully more inserts and within-word repetition than the ADHD children and the general children. In the reading task, the stuttering children produced meaningfully more within-word repetition than the ADHD children and the general childre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fluency and speech fluency in the ADHD and stuttering group. Therefore, it suggests when mediating school-age ADHD children and stuttering children in the field, the direction of treatment should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s, focusing on the disfluency percentage, speaking rates, read accuracy, and reading rat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21.30.4.0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