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소리장애 아동의 원격치료에 대한 문헌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말소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간 원격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문헌 분석을 통해 원격 언어치료를 실시한 방법과 원격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 Direct, EBSCO-host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고 검색어는 “telepractice”, “telehealth”, “telerehabilitation”, “on-line speech therapy”, 말소리장애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확인하...
Saved in:
|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9; no. 4; pp. 71 - 78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2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587X 2671-7158 |
| DOI | 10.15724/jslhd.2020.29.4.071 |
Cover
|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말소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간 원격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문헌 분석을 통해 원격 언어치료를 실시한 방법과 원격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 Direct, EBSCO-host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고 검색어는 “telepractice”, “telehealth”, “telerehabilitation”, “on-line speech therapy”, 말소리장애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확인하기 위해 “speech disorders“, ”speech assessment, speech therapy“로 검색하였다. 대상을 말소리장애 아동으로 한정하여 총 11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결과: 말소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원격치료를 실시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2편의 연구에서는 원격과 대면으로 말소리장애 평가를 실시하여 평가 결과 차이를 비교하였고, 나머지 9편은 말소리장애 대상자의 중재 효과를 대면치료와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대상이 된 말소리장애 아동의 연령은 4-12세의 범위로 주로 학령기 아동이었다. 원격으로 말소리 평가를 실시한 2편의 연구는 대부분의 말소리 평가에서 대면평가의 조음능력, 말명료도 결과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구강조음기관의 구조와 기능 평가에서 두 방식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원격치료로 말소리장애 아동의 중재를 실시한 연구들은 중재를 제공한 횟수나 기간은 연구마다 차이를 나타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원격으로 실시한 말소리문제에 대한 중재가 대면치료만큼 중재가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였다. 원격치료에 대한 대상자나 보호자들의 만족도 조사에 의하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언어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원격치료 역시 이용할만한 효과가 있는 방법임을 뒷받침해 준다. 국내 말소리장애 아동의 평가와 중재에 원격치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method and effect of conducting speech therapy with real-time telepractice for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through literature studies.
Methods: Studies from between the years 2000 and 2020 were searched for the following terms: “telepractice,” “telehealth,” “telerehabilitation,” “on-line speech therapy,” “speech sound disorders,” “speech assessment,” and “speech therapy.” Among these studies, 11 were selected by limiting the subjects to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ies that conducted telepractice for children with speech impairments, two studies conducted and compared the evaluation of speech impairment in both telepractice and a face-to-face manner. In most studies, children with speech impairment ranged between the ge of 4 to 12 years old. In the two studies conducted for telepractice evalu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rticulation ability and speech intelligibility results of face-to-face evaluation, but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in the oral structure and function evaluation. In the studies that conducted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speech impairment through telepractice, the number and duration of interventions differed from study to study, but most studies indicated that telepractice for speech problems were as effective as face-to-face therapy. In some studies, when the satisfaction of subjects or caregivers was investigated for telepractice, the result was that they were satisfied.
Conclusions: Th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telepractice is a feasible method for providing intervention to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Various studies an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so that telepractice can be actively used fo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in Korea.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1226-587X 2671-7158 |
| DOI: | 10.15724/jslhd.2020.29.4.0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