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질양토와 양질사토의 혼합에 따른 모래 혼합토의 이화학적 특성

본 연구는 학교운동장에서 주로 조성 토양으로 사용하는 사질양토(SL)와 양질사토(LS)를 모래와 혼합한 토양에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모래 100% 처리구(S), 모래와 토양 1:2 처리구(S:SL=1:2, SSL1; S:LS=1:2, SLS1), 모래와 토양 1:1 처리구(S:SL=1:1, SSL2; S:LS=1:1, SLS2) 및 토양 100% 처리구(SL, LS)로 구분하였다. 토양화학성 조사에서 사질양토와 양질사토의 혼합비율에 따라 모래 혼합토의 pH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모래 혼합토의 물리적 특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ed & turfgrass science Vol. 9; no. 4; pp. 433 - 441
Main Authors 김영선(Young-Sun Kim), 박은혜(Eun-Hye Park), 조문수(Moon-Soo Cho), 함선규(Suon-Kyu Ham), 배은지(Eun-Ji Bae), 이긍주(Geung-Jo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01.12.2020
한국잔디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20.9.4.43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학교운동장에서 주로 조성 토양으로 사용하는 사질양토(SL)와 양질사토(LS)를 모래와 혼합한 토양에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모래 100% 처리구(S), 모래와 토양 1:2 처리구(S:SL=1:2, SSL1; S:LS=1:2, SLS1), 모래와 토양 1:1 처리구(S:SL=1:1, SSL2; S:LS=1:1, SLS2) 및 토양 100% 처리구(SL, LS)로 구분하였다. 토양화학성 조사에서 사질양토와 양질사토의 혼합비율에 따라 모래 혼합토의 pH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모래 혼합토의 물리적 특성 조사 결과 S, SSL1, SSL2, SLS1 및 SLS2는 USGA 규격에 적합하였다. 모래 혼합토에서 토양물리성은 사질양토와 양질사토를 혼합하였을 때 비모세관 공극과 총공극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P<0.001), 모세관 공극과 수리전도도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01).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사질양토와 양질사토는 모래와 혼합하는 경우토양의 공극을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학교운동장의 조성 시 장기간 답압을 통해 토양물리성 악화를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두 토양은 모래 혼합토의 토양개량제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기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zone soil based on sand blending with locally collected sandy loam (SL) and loamy sand (LS) upland soils for mainly a school playground. After categorizing the collected soils according to basic chemical proper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soil mixtures were prepared as follows; sand 100% (S), mixture 1 with 67% sand and 33% soil (SSL1: S 67%+SL 33%; SLS1: S 67%+LS 33%), mixture 2 with 50% sand and 50% soil (SSL2: S 50%+SL 50%; SLS2: S 50%+LS50%) and upland soil 100% (SL or LS). The pH of SSL or SLS soil was related to blending ratio with SL or LS where 100% sand only showed pH 6.8, with tending to lowering pH with mixing with more SL or LS portion. All the physical criteria including total porosity, capillary porosity, air-filled poro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of S, SSL1, SSL2, SLS1 and SLS2 were found to meet the USGA standard. The higher blending ratio of SL or LS for root zone soi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ir-filled porosity and total porosity (P<0.001), and decreased capillary poro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P<0.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ixtures with properly prepared SL and LS as root zone soil alternatives based on sand were improved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oro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alleviating long-term soil compaction in school playgrounds, and expected that SL and LS might replace some soil amendm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20.9.4.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