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간호사를 위한 중독예방간호 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 예방에 필요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과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그룹토의를 거쳐 중독예방간호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그 자료를 토대로 총8개 모듈을 개발하였다. 각 모듈의 교육주제는 중독에 대한 이해, 중독의 유형, 4대 중독(알코올/ 인터넷게임‧스마트폰/도박/약물)의 예방과 간호, 대상자별 중독(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스마트폰중독, 직장인의 알코올중독)의 예방과 간호 등이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내용타당도 계수를 산출하여 교육의 질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4대중독의 예...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7; no. 4; pp. 389 - 395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9.27.4.389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간호사들이 중독문제 예방에 필요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과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그룹토의를 거쳐 중독예방간호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그 자료를 토대로 총8개 모듈을 개발하였다. 각 모듈의 교육주제는 중독에 대한 이해, 중독의 유형, 4대 중독(알코올/ 인터넷게임‧스마트폰/도박/약물)의 예방과 간호, 대상자별 중독(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스마트폰중독, 직장인의 알코올중독)의 예방과 간호 등이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내용타당도 계수를 산출하여 교육의 질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4대중독의 예방과 의뢰 및 연계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한 점, 중독 문제 선별의 관문에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for nurses, which will improve nurses’ general competency of preventing the addiction problem.
Methods: The develop process is in 3 steps. First, We analyzed the studies. A group of addiction experts did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drew out the core competency that is necessary to the general nurses. At the second step of the process, we developed 8 modules of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For the last step, we calculated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from the expert, and the average of CVI was 0.9.
Results: Each module’s topic is; Overall understanding of addiction, Type and characteristic of addiction, Addiction preventing program with SBIRT (Alcoholism, Addiction of internet-game and smartphone, Gambling addiction, Substance addiction), and the Addiction management for internet-game and smartphone addicted adolescent, and employee’s alcoholism).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educational information of the four major addiction prevention.
Since nurses are the first line medical staff who is responsible for the screening,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and educate nurse.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7547/kjsr.2019.27.4.389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9.27.4.3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