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추적 MRI 검사와 이차 관절경술을 이용한 임상 평가
=목 적: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그 상태를 MRI 및 이차 관절경술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시행한 23예 중 추시가 가능하였던 2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4개월(19개월-87개월), 4예는 내측, 17예는 외측이었고, 평균 연령은 29.6세(16세-47세)였다. 기능적 및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Lysholm 점수, IKDC 주관적 점수와 변형 HSS 점수로 하였고, 11예에서 이차 관절경술, 18예에서 MRI를 시행하였다.결 과:...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2; no. 1; pp. 77 - 8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2.200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 적: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그 상태를 MRI 및 이차 관절경술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시행한 23예 중 추시가 가능하였던 2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4개월(19개월-87개월), 4예는 내측, 17예는 외측이었고, 평균 연령은 29.6세(16세-47세)였다. 기능적 및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Lysholm 점수, IKDC 주관적 점수와 변형 HSS 점수로 하였고, 11예에서 이차 관절경술, 18예에서 MRI를 시행하였다.결 과: Lysholm점수는 60.6에서 추시 시 85.7로 향상되었고, IKDC 주관적 점수는 평균 79.5점, 변형 HSS 점수는 슬관절 점수(Knee score)/기능적 점수(Functional score)가 각각 평균 88점/93점이었다. 6예에서 이차 관절경술을 통해 우수한 변연부 치유를 확인하였고, MRI 검사를 시행한 전 예에서 견고한 골 고정을 확인하였으나 퇴행성 변화, 반월상 연골 위축 및 주변 연골 손상 등이 보였고, 이식 반월상 연골의 변연부 탈구 및 아탈구 소견이 보였다.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7.42.1.007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