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로컬리티 실천현황과 네트워킹 방안

근대성과 중심성에 따른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탈중심, 탈근대 담론이 확산되면서 그 동안 배제되었던 주체, 대상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지역/지방, 소수자, 주변성, 장소성, 탈식민성 등의 개별 영역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중층적이고 복합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로도 확산되어지고 있다. 나아가 지역/지방, 로컬리티가 갖고 있는 개별적 특수성을 발견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로, 내부 성원들의 삶의 뿌리라 할 수 있는 공동체 복원 혹은 만들기를 위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운동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 논문은 로컬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학논집 Vol. 42; pp. 121 - 138
Main Author 정혜숙(Jung Hye-su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01.03.2011
한국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902
2671-7492
DOI10.18399/actako.2011..42.005

Cover

Abstract 근대성과 중심성에 따른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탈중심, 탈근대 담론이 확산되면서 그 동안 배제되었던 주체, 대상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지역/지방, 소수자, 주변성, 장소성, 탈식민성 등의 개별 영역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중층적이고 복합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로도 확산되어지고 있다. 나아가 지역/지방, 로컬리티가 갖고 있는 개별적 특수성을 발견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로, 내부 성원들의 삶의 뿌리라 할 수 있는 공동체 복원 혹은 만들기를 위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운동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 논문은 로컬에 대한 연구가 어떠한 형태로 구체화되고 실천되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점검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로컬리티가 미리 규정되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점검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로컬리티가 미리 규정되어지는 어떤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구성되어져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먹거리 중심의 생협운동, 교육영역의 도서관, 생활영역의 풀뿌리자치공동체, 문화영역의 문화공동체를 대상으로 삼았다. 더 많은 풀뿌리활동들이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활동내용들이 많지 않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가 없어 소개하지 못한 곳도 있으며 시간과 역량부족으로 더 많은 곳의 사례를 포함하지 못한 곳도 있다. 로컬 내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풀뿌리 공동체들은 공동체들의 형성, 발전과정 속에서 비슷한 경험을 가지게 되는데 이 때 공동체가 경험한 성공과 실패는 다른 공동체의 발전과정에 모델이 되어준다. 동시에 비슷한 내용으로 기획된 사업이 중복되어 풀뿌리 전체의 역량을 소진하거나 성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풀뿌리 자치운동을 하는 활동가뿐만 아니라 시민사화영역의 단체 활동가, 지역연구자, 전문가들 모두가 네트워킹에 대한 필요와 요구를 가진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modernity and centrality, postmodern arguments for decentralization have recently been proliferating. Concerns about subject and object have spread not only to individual research projects on locality, minority, circumambiency, ‘placeness’ and decolonization, but also to research into other complex phenomena. As a result, research into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areas is now on the increase, and autonomous and active campaigns for the creation or restoration of communities are multiply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current research on localities has been concretized and actualized. This is because locality is not predefined but is something composed from a wide variety of research. This article focuses on a living-cooperative association’s food campaign, an educational library, a grass-roots community and a cultural community. There are still more grass-roots community activities to be introduced, but the sources of information are insufficient and the communities’ activities are also not yet mature enough. The successes or failures of one community become a model for other communities since many local grass-roots communities go through similar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their formation and developmen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hat simultaneous and similar community events are duplicated, resulting in the exhaustion of the overall ability of the grass-roots community to take action or in the communities missing chances to multiply their outcomes. Therefore, there is a clear need for networking among grass-roots community activists, civil-society movement activists, and local researchers and experts. KCI Citation Count: 3
AbstractList 근대성과 중심성에 따른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탈중심, 탈근대 담론이 확산되면서 그 동안 배제되었던 주체, 대상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지역/지방, 소수자, 주변성, 장소성, 탈식민성 등의 개별 영역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중층적이고 복합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로도 확산되어지고 있다. 나아가 지역/지방, 로컬리티가 갖고 있는 개별적 특수성을 발견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로, 내부 성원들의 삶의 뿌리라 할 수 있는 공동체 복원 혹은 만들기를 위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운동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 논문은 로컬에 대한 연구가 어떠한 형태로 구체화되고 실천되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점검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로컬리티가 미리 규정되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점검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로컬리티가 미리 규정되어지는 어떤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구성되어져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먹거리 중심의 생협운동, 교육영역의 도서관, 생활영역의 풀뿌리자치공동체, 문화영역의 문화공동체를 대상으로 삼았다. 더 많은 풀뿌리활동들이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활동내용들이 많지 않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가 없어 소개하지 못한 곳도 있으며 시간과 역량부족으로 더 많은 곳의 사례를 포함하지 못한 곳도 있다. 로컬 내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풀뿌리 공동체들은 공동체들의 형성, 발전과정 속에서 비슷한 경험을 가지게 되는데 이 때 공동체가 경험한 성공과 실패는 다른 공동체의 발전과정에 모델이 되어준다. 동시에 비슷한 내용으로 기획된 사업이 중복되어 풀뿌리 전체의 역량을 소진하거나 성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풀뿌리 자치운동을 하는 활동가뿐만 아니라 시민사화영역의 단체 활동가, 지역연구자, 전문가들 모두가 네트워킹에 대한 필요와 요구를 가진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modernity and centrality, postmodern arguments for decentralization have recently been proliferating. Concerns about subject and object have spread not only to individual research projects on locality, minority, circumambiency, ‘placeness’ and decolonization, but also to research into other complex phenomena. As a result, research into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areas is now on the increase, and autonomous and active campaigns for the creation or restoration of communities are multiply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current research on localities has been concretized and actualized. This is because locality is not predefined but is something composed from a wide variety of research. This article focuses on a living-cooperative association’s food campaign, an educational library, a grass-roots community and a cultural community. There are still more grass-roots community activities to be introduced, but the sources of information are insufficient and the communities’ activities are also not yet mature enough. The successes or failures of one community become a model for other communities since many local grass-roots communities go through similar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their formation and developmen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hat simultaneous and similar community events are duplicated, resulting in the exhaustion of the overall ability of the grass-roots community to take action or in the communities missing chances to multiply their outcomes. Therefore, there is a clear need for networking among grass-roots community activists, civil-society movement activists, and local researchers and experts. KCI Citation Count: 3
Author 정혜숙(Jung Hye-su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혜숙(Jung Hye-su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4159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DFLw0AYxvFDFKy138Ahi-CSeO_d5XLnVmrVQrEg3cM1uUioJtLq4CbSQayrWLEOQlEKFYouin4ic_kOFu30f4YfzwpaTNJEI7QG2AFBpdxUwalqpw7BAI7DiIOxu4AKhHtge0ySRVQAjwpbSEyWUanbjVt4Rl2QLhTQlnm5MHev5nFgZU9D8zXJnid5f2qZ_si8DfNBL78f_7x_W1lvlF9_mIeb_PLTyqZjc3u1ipYiddTVpXmLqLlTbVb27Hpjt1Yp1-2EU7AZliTULsOsxRkDLaSgKvI8CTjQquXJSHkk5BJHOAAliSIiglBrygXngVC0iDb-b5NO5LeD2E9V_NfD1G93_PJBs-a7wKhLZ3R9Ts868bEOY-WfzIbqnPv7je0qBk44cYH-AruObIc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18399/actako.2011..42.005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DBPIA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Locality Practice and Plan for Local Networking
DocumentTitle_FL Locality Practice and Plan for Local Networking
EISSN 2671-7492
EndPage 13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14353
NODE0162625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31-4092de5404b6441e8983af77910ceab79fa72d690f0c1a92a28f1dee36866c8a3
ISSN 1738-8902
IngestDate Sun Mar 09 07:50:36 EDT 2025
Thu Feb 06 13:21:16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Keywords 네트워킹
풀뿌리
로컬
locality
grass roots
로컬리티
커뮤니티
networking
community
local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31-4092de5404b6441e8983af77910ceab79fa72d690f0c1a92a28f1dee36866c8a3
Notes G704-001843.2011..42.001
PageCount 1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14353
nurimedia_primary_NODE0162625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1-03
PublicationDateYYYYMMDD 2011-03-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3
  year: 2011
  text: 2011-03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학논집
PublicationYear 2011
Publisher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name: 한국학연구원
SSID ssib001151951
ssib022229946
ssib044738301
ssib006781033
Score 1.4658568
Snippet 근대성과 중심성에 따른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탈중심, 탈근대 담론이 확산되면서 그 동안 배제되었던 주체, 대상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지역/지방,...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21
SubjectTerms 기타인문학
Title 지역의 로컬리티 실천현황과 네트워킹 방안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2625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41592
Volume 4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학논집, 2011, 0(42), , pp.121-13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selected full-text only)
  customDbUrl:
  eissn: 2671-7492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301
  issn: 1738-890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6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T1oBdRVKwfJYJzWlI3k2Q-vCXZyFpovazQW8jHpMjCbll3D3oQkR7EehUr1oNQlEKFohdFf5Gb_Q--mUmzKxa_Lsnjzdd788K89yYz7xnG9bxI8kwktpWnrLBcz0ssxtzc4gKTHGcF4yoP2eoaad91V9a99bn5-ZlTS6Nhupw9PPZeyf9IFXAgV3lL9h8kW3cKCIBBvvAECcPzr2SMohD5VB5WAIBT5LcU0EKcNVAUIN9GPJSoAOBQYYgCWogFKGg2ZBlAvqsqYVVbtkbMVQBHPkeRjwIHBaHqEgp8VcYAy9RwgNRdYhRwVSloqnZQ5iGdTu_I_lW9emocaO8pijWGq949GKfiitcfg0I0ZS1NnOaJMdkIsxVYrhrtB8K6P9o42tfIp_uyzuw2RsWL5A649uV4kSJfTmFNh6KMy9n5DbFqwoHRqiispkJnJa2WeQrLvPzDqrWgwmFCbYu6_CfdoCN_VYu7re9yV3aCraPS_KKCwOKUIVyTbJh0-zpG7LIro8J6U5VbH4Rcu9OKwOjG4IWCC38CU0JkGo7VR9HUprVlAKCZy8GU2TO_nrFMyM6nPr3rAm-OSvtdc1ldGZWU3TiGLjCregOwxk72RjKlBKxLMyZW54xxuvKNTF9_6GeNuW7_nHGzfP-4fPmhfLNjjt_ull8Pxu8OJtuHZrm9V37cnexsTV7tf__0zRxv7U2efS5fP588-WKOD_fLF0_PG51bUSdsW1XCD6tHHLmVwXEuwIVwU2mlC8aZkxSUgkULy0lKeZFQnBPeLJqZnXCcYFbYuRAOYYRkLHEuGAu9fk9cNMxUCFBFnFAXbFABSipNMm7nOZaxj9yMLhrXgOW4m92LZXx1-d7ox91BDF7k7Vg5Ec6isVRPSLypY7_EswK79KcKl41T00_9irEwHIzEVbBhh-mSkvEP3Zd36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7%80%EC%97%AD%EC%9D%98+%EB%A1%9C%EC%BB%AC%EB%A6%AC%ED%8B%B0+%EC%8B%A4%EC%B2%9C%ED%98%84%ED%99%A9%EA%B3%BC+%EB%84%A4%ED%8A%B8%EC%9B%8C%ED%82%B9+%EB%B0%A9%EC%95%88&rft.jtitle=%ED%95%9C%EA%B5%AD%ED%95%99%EB%85%BC%EC%A7%91&rft.au=%EC%A0%95%ED%98%9C%EC%88%99%28Jung+Hye-sug%29&rft.date=2011-03-01&rft.pub=%EA%B3%84%EB%AA%85%EB%8C%80%ED%95%99%EA%B5%90+%ED%95%9C%EA%B5%AD%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738-8902&rft.eissn=2671-7492&rft.volume=42&rft.spage=121&rft.epage=138&rft_id=info:doi/10.18399%2Factako.2011..42.005&rft.externalDocID=NODE0162625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890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890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890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