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네트워크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를 위한 방향 선정과 연구주제 선정을 위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15년 4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학습 네트워크 관련 11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학술지별 현황 분석 및 연구방법, 연구범위, 연구대상, 네트워크 유형 등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 분석을 통한 색인어 선정 및 색인어와 초록 간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 분석 결과,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평생학습사회 Vol. 11; no. 4; pp. 25 - 48
Main Authors 김영환(KIM YOUNG HWAN), 강두봉(Kang Doobong), 정주훈(Jeong Juh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01.11.2015
미래원격교육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15.11.11.4.2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를 위한 방향 선정과 연구주제 선정을 위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15년 4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학습 네트워크 관련 11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학술지별 현황 분석 및 연구방법, 연구범위, 연구대상, 네트워크 유형 등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 분석을 통한 색인어 선정 및 색인어와 초록 간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 분석 결과,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인·평생교육 및 교육공학·교육미디어 관련 학술지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분석 결과, 연구방법은 조사 연구와 사례 연구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연구범위는 학교, 가상공간, 지역사회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인적자원, 사이버 네트워크, 지역자원 순으로 나타났고, 네트워크 형태 분석 결과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형태가 거의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 주제어 빈도수는 ‘네트워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평생학습’, ‘교육’, ‘교육복지’, ‘평생교육’, ‘온라인’, ‘학습네트워크’, ‘사회연결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언으로 초중등교육 및 비형식·무형식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문헌 연구 및 개념 정립에 대한 이론적 탐구가 먼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교육심리나 교육사회학 분야에서의 개인 수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제대로 된 연결(connect)을 위해서는 다양한 비형식·무형식 교육과 형식 교육의 블랜딩에 대한 연구 및 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learning networks and provide the basic data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and research subjects for the future learning network. 115 academic articles on learning networks published by domestic journals from 1996 to 2015 April wer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was developed from analysis by year and journal,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research methodology, scope, target, and network type. Also, the network texts between index terms and abstract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rom the current analysis, it was shown that researches on learning network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the publications have been produced mainly in the field of adult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education media journals.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survey research and case study had the highest rate of usage in methodology. In order of frequency, the scope of research were school, virtual space, community, and the objects were human resources, cyber network, local resources accordingly. The most types were appeared as offline and online from the outcome of network type analysis. As the result of network text analysis, the most frequent word was ‘Network’, followed by ‘Social network service (SNS)’, ‘Lifelong education’, ‘Online’, ‘Learning network’, and ‘Social connection’. This result leads the suggestions that the discussion on elementary middle school education and non-formal informal education is needed, the theoretical research on literature review and concept establishment is required, the individual level researches in education psychology or sociology of education have to be conducted, and various researches and policies on blended education combining of non-formal informal education and formal education are necessary for the proper connect. KCI Citation Count: 10
Bibliography:G704-SER000015054.2015.11.4.005
ISSN:1738-0057
2671-8332
DOI:10.26857/JLLS.2015.11.1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