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와 수면부족이 평형기능에 미치는 영향
현대사회의 스트레스의 증가는 과로와 수면부족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부족은 안전사고의 빈도를 증가시키므로 사람의 수면박탈과 이에 따른 피로감의 정도를 조기에 알아낼 수 있는 진단법의 고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람의 자세바로잡기와 적응도가 수면박탈에 의한 졸리움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자세측정기를 사용하여 알아보고 이 검사가 피로도의 측정에 실용적이고 간편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30명의 정상인을 24시간동안 수면박탈의 전후에 각각 동적자세측정기검사와 졸리움지수 조사를 시행하였다. CDP검사는 지각계를 평가...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18; no. 4; pp. 327 - 33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Cover
Summary: | 현대사회의 스트레스의 증가는 과로와 수면부족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부족은 안전사고의 빈도를 증가시키므로 사람의 수면박탈과 이에 따른 피로감의 정도를 조기에 알아낼 수 있는 진단법의 고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람의 자세바로잡기와 적응도가 수면박탈에 의한 졸리움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자세측정기를 사용하여 알아보고 이 검사가 피로도의 측정에 실용적이고 간편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30명의 정상인을 24시간동안 수면박탈의 전후에 각각 동적자세측정기검사와 졸리움지수 조사를 시행하였다. CDP검사는 지각계를 평가하는 감각조절 검사와 운동계를 평가하는 운동조절 검사의 두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주관적인 졸리움은 스탠포드 졸리움지수로 측정하였다. 수면박탈상태에서 대상자들의 피검자가 서 있는 동안에 평판에 가하는 압력의 중심이 동요하면서 생긴 진폭의 동요거리와 동요면적이 수면박탈 이전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감각조절검사에서 수면박탈은 피검자의 시각의존성을 증가시키고 전정감각에 장애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운동조절검사에서 긴고리반사의 잠복기가 수면박탈 후에 이전보다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었다. 적응도에서도 평판의 반복되는 움직임에 대한 자세바로잡기 반응이 느려져 있었다. 스탠포드 졸리움지수도 수면박탈 후에 증가하였으며 자세측정기 검사 결과와 연관성이 있었다. 수면박탈은 피로감을 증가시키며 자세조절능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정량적이고 동적인 자세측정기 검사를 통하여 보여주었으며, 긴고리반사와 적응도의 잠복기가 길어진 것은 수면박탈이 중추에서의 자세조절 과정의 지연을 초래시켰다는 증거로 사료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자세조절기 검사법은 수면박탈로 인한 피로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에 간편하고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atigue accompanying sleep deprivation due to stressful conditions has become an issue of major concern in modern technological socie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postural control and to assess the efficacy of a short objective posturographic test as an indicator of fatigue. Postural sway using static posturography, subjective fatigue assessment (Stanford Sleepiness Scale) and 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 (CDP) test were assessed in 30 healthy male subjects before and after 24 h of sustained wakefulness. After sustained wakefulness, center-of-pressure swa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pectral power at high frequencies. CDP test showed decreased vestibular ratio after sleep deprivation. Also i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latencies and slowed adaptations after sleep deprivation. Subjective fatigue assessment score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estibular function appears to be affected by fatigue. The reduction of adaptation is likely related to slowed central postural reflexes. Fatigue caused by sleep deprivation can be objectively assessed by a short, non-invasive, postural test. (Korean J Str Res 2010;18:327∼335) KCI Citation Count: 7 |
---|---|
Bibliography: | G704-002182.2010.18.4.003 |
ISSN: | 1225-665X 2234-16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