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유색미와 잡곡류의 품종별 기능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유색미와 잡곡류의 기능성 식품 소재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색미, 팥, 기장, 조, 및 수수에서 각각 신규 육성 품종 2종을 선정하여 이들의 기능성분과 생리활성을 대조품종과 비교하였다. 팥은 다른 작목에 비해 조단백함량이 높았으며, 이에 따라 구성아미노산 함량도 높았다. 조, 기장 및 수수의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팥보다 낮았으나, 분지사슬아미노산의 함유율은 팥이 더 높았다. 유색미 ‘홍진주’, 팥 ‘홍다’, 조 ‘아리찰’, 기장 ‘연희찰’ 및 수수 ‘고은찰’은 대조품종에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아 곡...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6; no. 5; pp. 564 - 575
Main Authors 한나래(Narae Han), 이진영(Jin Young Lee), 한상익(Sangik Han), 안억근(Eok-Keun Ahn), 함현미(Hyeonmi Ham), 박지영(Jiyoung Park), 김미향(Mihyang Kim), 이유영(Yu-Young Lee), 강문석(Moon Seok Kang), 김현주(Hyun-J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01.10.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24.56.5.56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유색미와 잡곡류의 기능성 식품 소재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색미, 팥, 기장, 조, 및 수수에서 각각 신규 육성 품종 2종을 선정하여 이들의 기능성분과 생리활성을 대조품종과 비교하였다. 팥은 다른 작목에 비해 조단백함량이 높았으며, 이에 따라 구성아미노산 함량도 높았다. 조, 기장 및 수수의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팥보다 낮았으나, 분지사슬아미노산의 함유율은 팥이 더 높았다. 유색미 ‘홍진주’, 팥 ‘홍다’, 조 ‘아리찰’, 기장 ‘연희찰’ 및 수수 ‘고은찰’은 대조품종에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아 곡물 기반 단백질 소재로 활용 가능이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은 팥이 타 작목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홍다’ 품종의 함량은 537.07 mg GAE/ 100 g dw으로 가장 높았다. 조 ‘아리찰’, 기장 ‘연희찰’ 및 수수‘고은찰’도 대조품종보다 기능성분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색미와 잡곡류의 항산화 활성은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작목별 항당뇨 활성은 유색미(59.50- 75.33%), 수수(29.09-47.83%), 팥(20.63-26.12%) 순으로 높았으며, 조(2.99-5.98%)와 기장(5.07-6.29%)은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기능성분 및 생리활성 검정 결과를 통해 국내 육성품종이 영양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otential use of domestically developed grains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Two newly developed cultivars each of adzuki bean, colored rice, Italian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ere selected and their function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cultivars. Adzuki bean had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compared to that in the other grains, resulting in higher levels of constituent amino acids. The newly developed cultivars ‘Hongda’, ‘Hongjinju’, ‘Arichal’, ‘Yeonheechal’, and ‘Goeunchal’ showed higher protein content than that in conventional cultivars.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was the highest in adzuki bean, particularly in the ‘Hongda’. Additionally, ‘Arichal’, ‘Yeonheechal’, and ‘Goeunchal’ exhibit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compared to those in the conventional cultivar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grains followed a similar trend as that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Colored rice showed the highest anti-diabetic activity, followed by sorghum, and adzuki bean. KCI Citation Count: 0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24.56.5.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