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가공 부산물 업사이클링을 위한 분리단백질의 이화학적 특성

본 연구는 곡류 및 유지작물 가공 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리 단백질의 조단백질 함량은 미강, 맥강, 밀기울, 대두박, 들깨박 및 참깨박에서 각각 74.72%, 74.35%, 86.84%, 82.07%, 85.52% 및 85.31 %로 미강 및 맥강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회수율은 들깨박에서 77.85%로 가장 높았으며, 밀기울에서 44.17 %로 가장 낮았다.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100 mg당 30.51 ~39.48 mg 범위였으며, arginine과 methionine은 참깨박 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3; no. 11; pp. 1211 - 1218
Main Authors 홍은아(Eun Ah Hong), 송하영(Ha Young Song), 구민경(Min Kyung Gu), 정윤조(Yun Jo Jung), 조연재(Yeon Jae Jo), 김관수(Kwan Soo Kim), 이준수(Junsoo Lee), 정헌상(Heon Sang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4.53.11.12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곡류 및 유지작물 가공 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리 단백질의 조단백질 함량은 미강, 맥강, 밀기울, 대두박, 들깨박 및 참깨박에서 각각 74.72%, 74.35%, 86.84%, 82.07%, 85.52% 및 85.31 %로 미강 및 맥강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회수율은 들깨박에서 77.85%로 가장 높았으며, 밀기울에서 44.17 %로 가장 낮았다.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100 mg당 30.51 ~39.48 mg 범위였으며, arginine과 methionine은 참깨박 분리단백질에서 각각 11.13 및 2.94 mg/100 mg으로 높았고, lysine은 대두박 분리단백질에서 7.08 mg/100 mg으로 가장 높았다. 유지흡수력은 참깨박 분리단백질에서 408.96 %로 가장 높았고, 대두박에서 180.32%로 낮았다. 용해도는 25.97(참깨박)~93.14(대두박)% 범위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품가공 부산물로부터 분리된 단백질 중 참깨박 단백질과 대두박 단백질을 조합하면 아미노산 밸런스를 보완하여 우수한 단백질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oteins isolated from the processing of by-products of cereal and oilseed crops.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isolated proteins was 74.72%, 74.35%, 86.84%, 82.07%, 85.52%, and 85.31% for rice bran, barley bran, wheat bran, soybean meal, perilla meal, and sesame meal, respectively. The protein recovery rate was the highest at 77.85% in perilla meal and the lowest at 44.17% in wheat bran. The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ranged from 30.51 to 39.48 mg/100 mg, with arginine and methionine being the highest in sesame meal protein at 11.13 and 2.94 mg/100 mg, respectively, and lysine the highest in soybean meal protein at 7.08 mg/100 mg. The oil absorption capacity was the highest at 408.96% in sesame meal protein, and the lowest at 180.32% in soybean meal protein. Solubility ranged from 25.97% (sesame meal) to 93.14% (soybean meal).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mbination of sesame meal protein and soybean meal protein, both isolated from food processing by-products, can be utilized as an excellent protein source that complements the amino acid balanc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4.53.1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