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기존토 지반에서 난지형 한국잔디와 주요 한지형 잔디의 잔디밀도, 뿌리생장, 대취축적 및 투수속도 비교

본 연구는 일반 양토의 기존토 지반에서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생육특성 및 투수속도 변화를 연중 계절별로 파악하고자 시작하였다. 공시 초종 처리구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톨 페스큐 및 들잔디 4종류 이었으며, 시험구는 난괴법 4반복으로 배치하였다.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잔디밀도, 뿌리생장, 대취축적 및 투수속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생육특성은 난지형 및 한지형 초종 및 계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잔디밀도는 한지형 잔디가 난지형 들잔디보다 우수하였고, 한지형 초종 간 우열관계는 켄터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Vol. 40; no. 2; pp. 179 - 191
Main Author 김경남(Kyoung-Nam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HST 2022
한국원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763
2465-8588
DOI10.7235/HORT.2022001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일반 양토의 기존토 지반에서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생육특성 및 투수속도 변화를 연중 계절별로 파악하고자 시작하였다. 공시 초종 처리구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톨 페스큐 및 들잔디 4종류 이었으며, 시험구는 난괴법 4반복으로 배치하였다.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잔디밀도, 뿌리생장, 대취축적 및 투수속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생육특성은 난지형 및 한지형 초종 및 계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잔디밀도는 한지형 잔디가 난지형 들잔디보다 우수하였고, 한지형 초종 간 우열관계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 톨 페스큐 순서로 나타났다. 뿌리생장 및 근계발달은 모두 한지형 초종이 난지형 들잔디보다 우수하였다. 뿌리길이 생장은 켄터키 블루그래스 >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 톨 페스큐, 그리고 근계발달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 켄터키 블루그래스 > 톨 페스큐 순서로 나타났다. 대취축적은 난지형 및 한지형 초종간 우열관계는 일정치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한지형 잔디는 톨 페스큐 >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 켄터키 블루그래스 경향으로 나타났다. 투수속도는 뿌리생장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나서, 한지형 잔디가 난지형 들잔디보다 우수하였고, 초종 간 우열관계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 톨 페스큐 > 들잔디 순서로 나타났다. 즉 일반 양토에서 연평균 한지형 잔디의 투수속도는 난지형 들잔디의 투수속도에 비해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2.34배,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2.03배, 그리고 톨 페스큐는 1.36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생육 특성 중 생육형, 뿌리생장 및 대취축적은 일반 양토의 투수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잔디밭 관리 시 초종에 따라 생육형 및 뿌리생장 패턴이 다르고, 동일한 환경 및 관리 조건에서 직근성 B-type 잔디 초종의 투수성능이 더 빨리 저하될 수 있음으로 생육특성 및 배수기능을 연계해서 효율적인 잔디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infiltration rate in warm-season (WSG) and cool-season grasses (CSGs) in the anysoil system. Treatments employed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perennial ryegrass (PR, Lolium perenne L.), tall fescue (TF, Festuca arundinacea Shreb.), and Korean lawngrass (KL, Zoysia japonica Steud.) and were replicated four times in RCB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urfgrass in different seasons for these growth characteristics. Turfgrass density was better in the CSGs than in KL, being KB > PR > TF > KL in order. In our study, the ranking for root growth was KB > PR > TF > KL, while that for rooting system was PR > KB > TF > KL. Thatch accumulation was inconsistent between WSG and CSGs, but its ranking was TF > PR > KB among the CSGs. Evaluation of the water infiltration rate showed the similar results as for root growth, being KB > PR > TF > KL. A higher infiltration rate was observed in CSGs than WSG, being 1.36 to 2.34 times greater than that of KL. Growth habit and root growth pattern vary with turfgrass. Drainage capacity more easily deteriorates with a B-type TF and PR over a R-type KB. Therefore, growing characteristics and drainage capacity should be effectively managed. It was concluded that water infiltration capacity in loamy soil was highly associated with root growth and thatch accumulation. Information on turfgrass density, root growth, rooting development, and thatch accumulation in relation to infiltration rate is useful i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ow-maintenance turf areas. KCI Citation Count: 2
ISSN:1226-8763
2465-8588
DOI:10.7235/HORT.2022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