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과당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있어서 토종보리수 추출물의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과

Purpos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liver which is not a result of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Its global prevalenc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2% in the years 1994-2019. More than half of obese individuals and patients wi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6; no. 6; pp. 629 - 640
Main Authors 최하늘(Ha-Neul Choi), 최지혜(Jihye Choi), 김정인(Jung-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양학회 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3886
2288-3959
DOI10.4163/jnh.2023.56.6.6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liver which is not a result of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Its global prevalenc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2% in the years 1994-2019. More than half of obese individuals and patients with diabetes are reported to have NAFLD as a comorbid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autumn olive (Elaeagnus umbellata Thunb.) berry on insulin resistance and steatosis in rats fed a high-fructose diet. Methods: Six-week-old Wistar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diet consisting of 65% corn starch, while the fructose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a diet comprising 65% fructose (FRU) and an FRU diet containing 0.5% (low-dose autumn olive berry group; LAO) or 1.0% (high-dose autumn olive berry group; HAO) ethanol extract of autumn olive berry, respectively, for 10 weeks. Results: The HAO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the fructose-fed group. Both the LAO and HAO groups showed a substantial reduction in serum insulin levels and insulin resistance when compared to the fructose-fed group. The consumption of LAO and HAO significantly ameliorated dyslipidemia and reduced the levels of triglycerides in the liver compared to the fructose-fed group. Additionally, the consumption of HAO resulted in lower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ctivities compared to the fructose group. The hepatic expression of the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and carbohydrate-responsive element-binding protein (ChREBP)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LAO and HAO groups compared to the fructose group. Conclusion: Autumn olive berries improved steatosis by ameliorating insulin resistance and down-regulating the lipogenesis proteins in rats fed on high fructose diet. 토종보리수 열매 추출물의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개선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흰쥐에게 65% 고과당 식이와 함께 토종보리수 열매 에탄올 추출물을 식이의 0.5%, 1.0% 수준으로 10주간 제공하였다. 고과당군은 대조군에 비해 공복 혈당과 혈청 인슐린, HOMA-IR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군의 공복혈당은 고과당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저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군 및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군의 혈청 인슐린과 HOMA-IR값은 고과당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과당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군 및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군은 고과당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 중성지방 함량은 고과당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농도 및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의 섭취는 고과당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ALT 및 AST 활성은 고과당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저농도 및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군의 ALT 활성은 고과당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군의 AST 활성은 고과당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SREBP-1c 및 ChREBP 단백질 발현도는 고과당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저농도 및 고농도 보리수 열매 추출물군의 SREBP-1c 및 ChREBP 단백질 발현도는 고과당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고과당을 섭취한 흰쥐에서 토종보리수 열매 추출물의 섭취는 고혈당과 인슐린 저항성 상태를 개선하였고, 혈청 지질과 간조직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켰으며, 간조직의 SREBP-1c 및 ChREBP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306447797050
https://e-jnh.org/DOIx.php?id=10.4163/jnh.2023.56.6.629
ISSN:2288-3886
2288-3959
DOI:10.4163/jnh.2023.56.6.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