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가 높은 차량을 위한 통과 높이 경고 시스템

Recently, as the number of high-height vehicles such as double-decker buses has increased, collision accidents have occurred in bridges and tunnels due to the deviation from the designated routes and driver's carelessnes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front collision warning system, it is limit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4; no. 7; pp. 849 - 856
Main Authors 김태원(Tae-Won Kim), 옥승호(Seung-Ho Ok), 허경용(Gyeongyong Heo), 이임건(Imge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20.24.7.84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Recently, as the number of high-height vehicles such as double-decker buses has increased, collision accidents have occurred in bridges and tunnels due to the deviation from the designated routes and driver's carelessness. In the case of the existing front collision warning system, it is limited to vehicles and pedestrians, so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 pass height warning system for the high height vehic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generates a warning by determining the correlation and time series characteristics of data for each segment using multiple lidar sensors and then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i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Also, the proposed system confirmed the proper operation through a real-time driving test and a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by the Korea Automobile Testing & Research Institute. 최근 2층 버스 등 전고가 높은 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정된 경로 이탈 및 운전자 부주의로 인해 교량 및 터널 등에서 차량 상부 충돌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기존 전방 충돌 경고 시스템의 경우 차량 및 보행자 등에 한정되어 경고를 발생하기 때문에 전고가 높은 차량을 위한 통과 높이 경고 시스템으로는 사용이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복수개의 라이다 센서를 사용하여 세그먼트별 데이터의 상관도 및 시계열 특성을 판단한 후 차량 상부 충돌 가능성을 미리 판단하여 경고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은 실도로 주행 테스트 및 한국 자동차 안전 연구원에서 시스템 성능 평가를 통해 정상 동작을 확인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05653790249
http://jkiice.org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20.24.7.849